독서 습관 들이기

in #kr6 years ago

책으로 여는 아침

  • 독서 생활의 습관을 점검하기 위한 독서 습관 일지를 작성한다. 횟수와 독서량뿐만 아니라 그날의 일상적인 고민이나 사색했던 명제도 함께 메모한다.
  • 일지는 생각나면 언제든 꺼내 쓸 수 있도록 항상 휴대한다.

냉정과 열정 사이에서

  • 독서의 냉정과 열정이라는 경계에서 헤매는 것을 막기 위해서 멘토를 구하라.
  • 독서로 인생이 바뀐 사람들이 어떻게 멘토를 찾았는지 알아보라. 또 책을 읽고 변한 사람들의 독서법을 눈여겨보라.
  • 한 책만 읽고 한 가지 주장에 치우치면 위험하다. 교차 독서를 통해 다른 견해의 책도 읽는 것이 좋다.

나를 세우는 자존감 수업

  • 독서를 통해 성정하는 느낌과 과정을 나만의 에세이로 남겨본다.
  • 독서의 본질은 지혜의 '나눔'이다. 나눔의 실천과 독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라.
  • 독서는 성찰의 과정이다. 성찰을 통해 자존감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독서량에 대해 집착보다 성찰의 시간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

나만의 커리큘럼을 만들다

  • 독서 습관 일지와 성장 일지를 함께 쓴다. 이때 독서에 따른 실천 항목을 별도로 정리해둔다. 실천의 이유도 명확하게 써야 동기부여가 확실히 된다.
  • 두 가지 일지는 자신만의 독서 스토리이자 커리큘럼이다. 실행 가능한 계획과 리뷰를 통해 시행착오를 줄여가는 과정도 기록한다.
  • 인문고전을 보면서 시대 상황을 공부하고 현재에 대입해보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결국 자기계발은 '나'를 찾는 과정이다. 문학과 역사, 철학 등 인문고전을 함께 읽어라.

책과 현실, 그리고 꿈

  • 독서할 때 성공한 사람들의 성과나 결과보다 노력에 초첨을 맞춰 읽는다.
  • 성공한 사람들의 기사와 글을 스크랩하거나 메모해서 자주 볼 수 있도록 한다.
  • 독서 실천이 힘들 때 심정적인 편안함을 담은 위로나 조언은 자칫 독이 될 수 있다.
  • 멘토와의 만남은 내가 궁금한 것을 물러보는 인터뷰의 자리가 되어야 한다.

... 나를 바꾼 시간 독서 8년. 황희철 저.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