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lli_HAPPINESS ICO 객관적 분석] Quadrant Protocol ICO — DATA SERVICE 편 -

in #ico6 years ago

callihappiness ico.jpg

시작에 앞서,,

일정한 기준 없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지식을 기반으로 ICO를 분석했다면 이제는 일정한 기준을 만들고 그 기준에 따라 분석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분석하는 것에 있어서 객관적인 기준을 보다 명확하게 세움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이득이 되는 글을 작성하기 위해서 입니다. 스팀잇 글을 제외하고 원문으로 보고 싶으신 분들은 글의 하단에 원본 글 링크를 달아놓았습니다.

ICO 분석 기준서 : http://bit.ly/2zpxYZA

제가 개인적으로 설정한 ICO 분석 기준이며, 이 기준에 따라 분석할 예정입니다.

텔레그램 공지방 : https://t.me/callihappinessICO

텔레그램 수다방 : https://t.me/callihappiness

분석에 있어서 일정한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에 따라 세세히 분석하다 보니 시간상으로 모든 블록체인 ICO를 분석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기에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텔레그램 방을 만들기로 결심했습니다. 정보만을 얻고 싶으신 분들은 공지방에 들어오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Data Service를 지향하는 Traditional ICO


reverse-ICO-traditional-ICO.png
[Credit: bitcoinmagazine.com]

Quadrant Protocol은 기존에 수많은 플랫폼이 등장했던 Data Service 분야에 새로 출범되는 Traditional ICO이다. 블록체인의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이 데이터 보호 및 데이터 관리라는 점에서 어쩌면 당연한 것이지만 Data Service를 제공하는 블록체인은 이미 여럿 존재한다. 대표적으로는 Ocean, Streamr, Synapse. ai, 그리고 IOTA가 있다. 백서를 통해 알아보겠지만, 이들과 직접적인 기술적인 측면에서 겹치는 것은 없으나 Marketplace를 지향하는 Ocean Protocol은 Quadrant Protocol과 컨셉이 유사하다고는 할 수 있다.

qudrant.jpg

이러한 Data Service 산업의 특수성을 이해하자면, Quadrant Protocol은 차별화된 전략은 물론이기와 후발주자이기에 다른 블록체인 서비스보다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을 필요성이 있다. 블록체인 기술이 나날히 발전하는 상황에서 후발주자는 당연히 뛰어난 기술력과 플랫폼 지향성을 갖춰야만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자면, Instargram이 타겟층을 다르게 함으로써 Facebook과 별도로 살아남을 수 있었다는 것이나 Chrome가 단순화라는 차별성을 Explorer를 이겨낸 것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차별성이 없다면 Quadrant Protocol은 Google +이 Facebook에 뒤쳐졌던 것과 같이 기존에 존재하던 블록체인에 뒤쳐지는 결과만을 가져올 것이다. 그렇다면 Quadrant Protocol가지는 차별성은 무엇인지 백서를 통해 알아보자.

2. 블록체인의 비즈니스 모델과 기술력 by Whitepaper


1 ) 블록체인 적용 적합성

blockchain.png

데이터 서비스는 섹션 1에서 이미 말했듯 블록체인이 적용되기 가장 적합한 분야이다. 데이터 분야는 Facebook이나 Google 처럼 데이터를 수집하는 특정의 소수 기업이 데이터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독점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분야 특성을 살표 볼 때, 탈중앙화라는 가치를 내포한 블록체인 기술은 데이터 분야에 적용하기는 더 없이 좋은 기술이다. 그렇기에 블록체인이 이 산업 분야에 적용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변은 당연히 Yes라고 할 수 있겠다.

2) Quadrant Protocol의 비즈니스 모델

백서 사진 0.png

Quadrant Protocol은 진실하게 사용될 가치가 있는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주력을 맞춘다. 말은 쉬워 보이지만, 실질적으로 산업에 종사하다보면 적시적소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기란 매우 어렵다.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위의 사진처럼 보통의 산업 종사자들은 데이터 수요 발생 이후 가공할만한 데이터를 찾거나 가공한 데이터를 찾아 산업에 이용하고자 한다. 하지만 일정한 값을 치르고 얻은 데이터가 원하는 상황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좌절한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사생활 침해라는 권리면에서 보다 깊은 정보에 기업이 접촉할 수 없음에 따라 얻게 되는 정보의 중복 때문이다. 이러한 실패를 맞본 기업은 보다 높은 가격을 치르더라도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 데이터를 얻고 싶어 한다. 이러한 단계에 접어든 기업들에 진실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Quadrant Protocol의 목표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하려 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은 기술적인 측면을 백서에서 분석하면 알아보겠다.

3) Quadrant Protocol 의 생태계 구성요소

백서 사진 1.png

일반적인 데이터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는 데이터 생성자(ADP : 자동으로 데이터를 생산하는 자로써,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생성하는 개인 ), 이 데이터를 가공하는 자(Vendors : ADP가 생성한 원본 데이터를 수요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하는 사람들), 데이터 수요자(Data consumers : 생선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자들)로 나뉠 수 있습니다.

백서 사진 2.png

Quadrant Protocol 블록체인의 경우 이를 Nurseries(ADP와 같이 정보 생산자), Pioneers(생성된 원본 데이터를 집단으로 묶으면서 Constellations(정보의 집합체를 지칭하는 단어)를 만드는 자들), Elons(Constellations들의 관계를 통해 보다 고차원적인 정보를 만들어내는 자들), Data consumers(데이터를 소비하는 사람들)로 나누었습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데이터를 수집하는 사람과 이를 고차원의 생성물로 만드는 집단을 별도로 두었다는 것에 있습니다.

4) Quadrant Protocol의 핵심 기술


stamping vertification.png
Quadrant Protocol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Stamping Verification에 있다. 이전에 말했듯이 이들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는 제공되는 데이터의 중복에서 발생하는 원본 데이터의 오류에 있다. 이러한 오류를 cross pollination라고 백서에서는 지칭하는데 이를 해결해야만 진실되게 유용한 정보를 이 블록체인은 제공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해주는 기술이 Stamping Verification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유효성 검사가 이번에 제공되는 정보가 일전에 제공되었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지 확인해 주면서 정보의 중복성을 없애주고 진실된 정보를 만드는 것에 있어 도와주기 때문이다.
elons development.png
Quadrant Protocol의 핵심 기술 중 다른 것은 Elons가 QUAD 토큰을 스테이킹함으로써 모든 constellations의 접근성을 가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데이터 접근의 한계성은 결국 좋지 않는 정보 집합체 탄생의 원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블록체인은 토큰 이코노미 형성에 있어서 QUAD 코인을 스테이킹 하는 주체로서 ELONS를 만들고 이들이 스테이킹을 하는 보상으로 많은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갖게 하였다. 이는 Elons가 상위 정보 집합체를 만드는 것에 있어서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QUAD 토큰에 대한 대량 구매 수요를 만드는 기반이 되기 때문에 QUAD의 핵심 기술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5) 블록체인의 현실성 (= 실현가능성)


differentiation.png
Quadrant Protocol의 현실성은 기술적인 실현 가능성도 있겠지만, 실질적인 팀에 의한 기술적 실현은 ICO 이후 개발자 스카우트 등 다양한 여건으로 추측 불가능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데이터 산업이라는 생태계 내에서 어느 위치를 가지고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market size.png
Quadrant Protocol은 일단 첫번째 섹션에 말했던 경쟁자들과 자신들만이 갖고 있는 기술의 차별성을 통해 협력을 맺고자 한다. 경쟁자는 결국 최고의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는 퍼스트 리더는 아니지만 그 다음은 될 정도의 블록체인이 되겠다는 목표인데 데이터 관련 시장이 200조라는 것을 생각해 보았을 때, 충분히 여러 블록체인과의 협력적 관계에 위치는 충분히 매력적인 위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백서에서 퍼스트 리더가 되며 기술적인 우위를 통해 200조 시장 전체의 몇퍼센트를 차지하겠다는 과도한 태도 없이 현실적인 산업적 포지셔닝을 선택했다는 면에서 현실성은 뛰어나다고 생각한다.

3. 투자자 매력도

telegram.png

투자자 매력도는 위에서 분석했던 내용과 더불어 추가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산출한다. 일단 커뮤니티 멤버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프로젝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가에 대한 중요한 평가 요소라 생각한다. 그렇기에 텔레그램 멤버수를 확인해 보자면 이들 텔레그램 방에는 15,000명 정도의 사람들이 존재하는데 이는 중간 이상 정도의 커뮤니티 멤버 수이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평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amazix.png

마케팅 사인 Amazix를 보고서에 따라 살펴보자면 ( 보고서 링크 : http://icokr.info/guide/Marketing_Report) 마케팅을 했던 크립토들의 수익률이 그닥 좋지만은 않았다는 것을 볼 수 있기에 플러스 요인이 될 수는 없지만 이것이 마이너스 요인이 될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partnership.png

파너트쉽을 살펴보자면 이들은 백서에 나와 있는 기존의 데이터 분석 기업인 DATAStreamX와의 파트너쉽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기업들과 파트너쉽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단순히 ICO를 자금조달의 목적이 아닌 건실한 Data Service 블록체인의 토큰 이코노미 건설을 위한 수단으로 인지하고 성공적인 토큰 이코노미 건설을 위해 노력하고 있단는 것을 방증하는 사실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이는 백서에서 기술된 이미 존재하는 Data Service 블록체인과는 다르게 갖는 기술적 특성이 단순히 말뿐이 아닌 실질적으로 사업 분야에 필요로 한 특성임을 수많은 파트너들이 방증하는 것과 같다.

건강한 토큰 이코노미를 건설하기에 적절한 수많은 Elons 후보들인 파트너들과 개인 정보를 익명으로 제공하고 ICO를 지지하는 중간 수준 이상의 커뮤니티 멤버 수는 투자자들에게 큰 매력으로 다가간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필자는 이 프로젝트에 A +등급이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단순한 개인의 의견으로 투자에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필자는 어떠한 손해나 피해에 대해 책임이 있지 않음을 명시합니다.

  • 원문 글을 구글을 통해 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로 가보시면 됩니다 : http://bit.ly/2MWQ1bP
  • 추가로 정보를 얻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로 가보시면 됩니다.

Quadrant Protocol Website : https://www.quadrantprotocol.com/

Quadrant Protocol Telegram Link : https://t.me/quadrantprotocol

Quadrant Protocol Ann Thread Link : https://bitcointalk.org/index.php?topic=3676988.0

Quadrant Protocol bounty threadLink : https://bitcointalk.org/index.php?topic=37390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