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gn in
  • Sign up 
  • Welcome
  • FAQ
  • Block Explorer 
  • Night Mode
  • Stolen Accounts Recovery 
  • Change Account Password 
  • Vote for Witnesses 
  • Hive Proposals 
  • OpenHive Chat 
  • Developer Portal 
  • Hive Whitepaper 
  • Privacy Policy
  • Terms of Service
logo
  • Posts
  • Proposals
  • Witnesses
  • Our dApps
LoginSign up

끔-찍한 혼종 (43)Hivebuzz level badge

54 followers27 posts1 following1 HP
Blacklisted Users
Muted UsersFollowed BlacklistsFollowed Muted Lists

Joined January 2018 Active 7 years ago

  • Blog
  • Posts
  • Replies
  • Social
  • Notifications
  • Wallet
  • steemitboard (66)in #kr-science • 6 years ago
    featured

    RE: ABO식 혈액형의 집단유전학: 하디-베인베르크 법칙의 응용

    Congratulations @hanbin973!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2 year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0.00
       0 0
    • steemitboard (66)in #kr-science • 7 years ago
      featured

      RE: ABO식 혈액형의 집단유전학: 하디-베인베르크 법칙의 응용

      Congratulations @hanbin973!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1 year!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Support…
      $0.00
         0 0
      • stans (52)in #kr-science • 7 years ago

        RE: ABO식 혈액형의 집단유전학: 하디-베인베르크 법칙의 응용

        역시 집단유전학은 통계라는 언어를 사용하여 많은 이들을 좌절하게 하는 듯 합니다. ㅠ
        $0.00
           0 0
        • eversloth (62)in #kr-science • 8 years ago

          RE: 적응적인 형질은 반드시 진화하는가? : Background Selection & Hitchhiking Selection

          소설 쓰는 사람들은 그게 소설이라는 생각으로 쓰지 않고 진리를 발견한 것처럼 쓰니까요.. ㅠㅠ 오늘도 잘 읽었습니다.
          $0.00
             0 0
          • stans (52)in #kr-science • 8 years ago

            RE: 적응적인 형질은 반드시 진화하는가? : Background Selection & Hitchhiking Selection

            유전자가 어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지도 중요하지만, 어디에 붙어있느냐도 유전자의 생존이나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봅니다. 생각해보면 당연한 것이긴 한데, 이걸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니... 역시 통계학을 포기한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 게놈프로젝트가 20년은 되었을텐데... 하기사, data…
            $0.00
               0 1
            • hanbin973 (43)in #kr-science • 8 years ago

              RE: 21세기의 정신분석학, 진화심리학 (2) 여성은 왜 하이힐을 신는가?(2017년 연구)

              근데 회귀분석을 시행한 점들을 보면 억지로 이론값 45.5도에 맞추려고 오른쪽 직선의 기울기를 줄인 것 같지 않습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
              $0.00
                 0 0
              • yongja7 (25)in #kr-science • 8 years ago

                RE: 21세기의 정신분석학, 진화심리학 (2) 여성은 왜 하이힐을 신는가?(2017년 연구)

                대강봐도 한심한 논문인게 아주 그냥 제 학사 논문 같네요 ㅎㅎ
                $0.00
                   0 0
                • hanbin973 (43)in #kr-science • 8 years ago

                  RE: 21세기의 정신분석학, 진화심리학 (1) 성선택 성선택 성선택

                  옹골집합이 아니라 연결집합입니다. compact set.. connected set... ㅠㅠㅠ
                  $0.00
                     0 0
                  • oscarpark (44)in #kr-science • 8 years ago

                    RE: 딥러닝이고 뭐고 다 좋은데 제발 자기가 뭘 하는지는 알고 좀..

                    과정생 시절 나름 뉴럴넷을 깊이 공부한 입장에서 딥러닝이란 용어도 썩 좋아하지 않습니다만, 처음 퍼셉트론이 나왔을때도 지금처럼 미디어의 힘으로 펀딩과 유명세를 얻었던 것처럼 변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다만 기승전딥러닝으로 귀결되는 글들을 볼때마다 그냥 웃고 말아버립니다.
                    $0.03
                    • Past Payouts $0.03
                    • - Author $0.03
                    • - Curators $0.00
                     2 0
                  • cheetah (78)in #kr-science • 8 years ago

                    RE: 딥러닝이고 뭐고 다 좋은데 제발 자기가 뭘 하는지는 알고 좀..

                    Hi! I am a robot. I just upvoted you! I found similar content that readers might be interested in: http
                    $0.00
                       0 0
                    • idongkr (39)in #kr-science • 8 years ago

                      RE: 통계유전학 (3): Testing Maker/Disease Association Through Hardy-Weinberg Disequilibrium

                      분야는 다르지만, 비슷한 방법론을 이용하시는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MCS가 비효율적일때 importance sampling으로 접근하면 꽤 경제적이고 효과적인거 같아요!
                      $0.00
                         0 0
                      • steemitboard (66)in #kr-science • 8 years ago
                        featured

                        RE: 통계유전학 (3): Testing Maker/Disease Association Through Hardy-Weinberg Disequilibrium

                        Congratulations @hanbin973!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number of posts published Click on any…
                        $0.00
                           0 0
                        • doctorbme (56)in #kr-science • 8 years ago

                          RE: 통계유전학 (2): Case Control Study & Cohort Study 소개

                          네. Odds ratio의 경우에도 실제 임상 논문에서는 결국 95% 신뢰 구간을 봐야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그 수치 (및 범위) 자체가 중요한 경우가 생깁니다. 이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02
                          • Past Payouts $0.02
                          • - Author $0.02
                          • - Curators $0.00
                           1 0
                        • doctorbme (56)in #kr-science • 8 years ago

                          RE: 통계유전학 (2): Case Control Study & Cohort Study 소개

                          댓글 감사합니다. RR의 수식적인 측면으로만 보면 그렇습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었던 것은, 종종 분모가 달라지면, 어떠한 수식이든 실제로 어떤 metric을 계산함에 있어서 분명히 차이가 나는 지점이 존재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odds ratio와 RR은 사람들이 비슷한 개념이라고 섞어서 쓰고, 분모만…
                          $0.03
                          • Past Payouts $0.03
                          • - Author $0.03
                          • - Curators $0.00
                           2 2
                        • doctorbme (56)in #kr-science • 8 years ago

                          RE: 통계유전학 (2): Case Control Study & Cohort Study 소개

                          우연히 들릅니다. a/(a+c)와 b/(b+d)의 대소관계가 a/c와 b/d의 대소관계와 똑같기 때문에 어떤 것을 택하든 그 비율을 해석하는 데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라고 적어주셨는데, 그렇지는 않은 것으로 압니다. Carsten Oliver Schmidt 와 Thomas Kohlmann의…
                          $0.03
                          • Past Payouts $0.03
                          • - Author $0.03
                          • - Curators $0.00
                           2 4
                        • popuksa (25)in #kr-science • 8 years ago

                          RE: 통계유전학 (1): Fisher test for Hardy Weinberg (Dis)equilibrium

                          글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생명의 기원과 화학진화에 대해서는 글 써볼 생각 없으신가요?
                          $0.00
                             0 1
                          • yongja7 (25)in #kr-science • 8 years ago

                            RE: 통계유전학 (1): Fisher test for Hardy Weinberg (Dis)equilibrium

                            ㅎㅎ 잘 읽고 갑니다. 이전 글을 보면 예과생이신 것 같은데 어떻게 이렇게 박학다식하실 수 있나요 ㅎㅎ 부럽스'빈' 다
                            $0.00
                               0 0
                            • hanbin973 (43)in #kr-science • 8 years ago

                              RE: 통계유전학 (1): Fisher test for Hardy Weinberg (Dis)equilibrium

                              아 심각한 오타가 있네요. y_i랑 x_ij랑 정의가 바뀐 부분이 몇 개 있네요. 그런데 수정하기 귀찮으니까 피드백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해드리는 걸로 ㅎ;
                              $0.00
                                 0 0
                              • ksemperor (30)in #kr-science • 8 years ago

                                RE: 21세기의 정신분석학, 진화심리학 (1) 성선택 성선택 성선택

                                정말 이해하기쉽게 글을 잘쓰시네요! 의대생이신것 같은데 평소에 바쁘실거같은데도 이렇게 자료를 많이 읽고 분석하시니 놀랍습니다.
                                $0.00
                                   1 1
                                • smartcucum (48)in #kr-science • 8 years ago

                                  RE: 트랜스 배제적 래디컬 페미니즘(Trans Exclusionary Radical Feminism)의 어두운 역사와 트렌스젠더 건강

                                  잘 읽고갑니다!! 다음글 기대할께요!
                                  $0.0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