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gn in
  • Sign up 
  • Welcome
  • FAQ
  • Block Explorer 
  • Night Mode
  • Stolen Accounts Recovery 
  • Change Account Password 
  • Vote for Witnesses 
  • Hive Proposals 
  • OpenHive Chat 
  • Developer Portal 
  • Hive Whitepaper 
  • Privacy Policy
  • Terms of Service
logo
  • Posts
  • Proposals
  • Witnesses
  • Our dApps
LoginSign up

쑥갓선생 (30)Hivebuzz level badge

테크로 교육을 바라봄

41 followers22 posts35 following1 HP
Blacklisted Users
Muted UsersFollowed BlacklistsFollowed Muted Lists

buzzclass.kr/bbs/board.php?bo_table=scott Joined February 2018 Active 7 years ago

  • Blog
  • Posts
  • Replies
  • Social
  • Notifications
  • Wallet
  • steemitboard (66)in #kr • 6 years ago
    featured

    RE: 블록체인을 활용한 오픈배지 서비스

    Congratulations @scottnaddle!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2 year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0.00
       0 0
    • steemitboard (66)in #kr • 7 years ago
      featured

      RE: 블록체인을 활용한 오픈배지 서비스

      Congratulations @scottnaddle!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1 year!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Do not miss the…
      $0.00
         0 0
      • yjs3694 (49)in #kr • 8 years ago

        RE: SI(System Integration)를 위한 랩소디

        글 잘 읽었어요. 미약하지만 업보팅에 더해서 리스팀하고 갑니다. ^^
        $0.00
           0 0
        • mipha (59)in #kr • 8 years ago

          RE: 스팀70만원 어치를 구매해서 파워업을 하니까 기분이 확실히 좋군요.ㅋㅋㅋㅋㅋ

          밤되면 글이 안써졌습니다.ㅋㅋㅋㅋ
          $0.00
             0 0
          • yjs3694 (49)in #kr • 8 years ago

            RE: 디튜브의 탄생배경에서의 숨은 공신 IPFS

            흥미로운 글 잘 읽고나서 보팅 & 팔로우하고 갑니다.
            $0.00
               0 0
            • hermes-k (58)in #kr • 8 years ago

              RE: 스팀잇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Stakeholder Capitalism)

              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0.00
                 0 0
              • peterchung (71)in #kr • 8 years ago

                RE: 사랑스런 우리 어머니 카톡 메시지

                재밌네요. 그리고 부럽습니다. 저는 얼마전에 어머님께서 소천하셨습니다. 그래서 6개월이 지났지만 아직도 질질 짜고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어머님께서 돌아가신후 어머님께서 쓰신 손폰(제손폰이 아주 구닥다리)때문에 SNS를 처음시작하게 됐네요.
                $0.00
                   1 1
                • peterchung (71)in #kr • 8 years ago

                  RE: [雜記]스티미안의꿈2(STEEMITOPIA) 플랑크톤 생존전략

                  무서운 말이라기보다는 경각심을 주는 말이지요.
                  $0.00
                     1 0
                  • peterchung (71)in #kr • 8 years ago

                    RE: 스팀잇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Stakeholder Capitalism)

                    공감합니다. 이와 같은 글을 쓰려고 했는데 님께서 먼저 이해하기 쉽게 적어주셨네요. 비슷한 논조로 저도 오늘 포스팅하나 했습니다. 글쓴 목적은 다르지만요. 블로그 영업합니다. [雜記]스티미안의꿈2(STEEMITOPIA) 플랑크톤 생존전략
                    $0.00
                       1 0
                    • hermes-k (58)in #kr • 8 years ago

                      RE: 스팀잇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Stakeholder Capitalism)

                      the divine right of capital 이라는 책이구요. 10여년 전에 제가 번역한 건 '자본의 권리는 하늘이 내렸나'라는 제목이었으나 판권 계약 만료로 절판되었고, 5년전 쯤 다른 출판사에서 판권을 가져가서 '주식회사 이데올로기'라는 책으로 다른 분이 번역해서 출간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0.00
                         2 4
                      • hermes-k (58)in #kr • 8 years ago

                        RE: 스팀잇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Stakeholder Capitalism)

                        사유재산권을 자연권 가운데 하나로 간주했다는 이유로 자유주의 시장경제의 시조로 여겨지는 로크도 'property'에는 노동, 개인적 성향, 토지 등 소유물까지 포함된다고 했었죠. 그런 면에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는 전혀 새로운 개념이 아닌 듯합니다. 오래전에 관련 책을 번역한 사람으로서 반가운 마음에 풀/댓/팔/리 4종 세트 날려드립니다~^^
                        $0.00
                           1 6
                        • hsalbert (48)in #kr • 8 years ago

                          RE: 스팀잇과 이해관계자 자본주의(Stakeholder Capitalism)

                          경제학을 공부하지 않았다고 하셨지만, 이미 경제적 사고를 진중히 하고 계십니다. 서방의 일각에서는 오히려 기존 경제학에서 배운 지식을 unlearn(머리속에서 지우기?)해야 현실을 제대로 관찰할 수 있다고 하는 소리가 몇 년 전부터 나오고 있습니다. 먹고사는 생활이 어떤 요인들에 영향을 받는지 설명하는 생각을 한다면…
                          $0.00
                             1 1
                          • eversloth (62)in #kr • 8 years ago

                            RE: 스팀잇은 어떻게 혁신을 이뤄냈는가, 그 세계관에 대한 심층 분석 - 1. 스팀잇의 3원칙

                            동의합니다. 필요에 의한 배분이 아닌 기여에 의한 배분인 이상 사회주의와는 거리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주류자본주의와 거리가 있다고 모두 사회주의에 가깝다고 하기엔 좀...
                            $0.00
                               0 2
                            • mechuriya (58)in #kr • 8 years ago

                              RE: 스팀잇은 어떻게 혁신을 이뤄냈는가, 그 세계관에 대한 심층 분석 - 1. 스팀잇의 3원칙

                              경제학도의 관점에서 아무리 봐도 가치는 노동에서 나온다라는 사회주의 시각에 더 가깝다는 걸 부인할 수 없네요. 그렇다고 'Stakeholder Capitalism'의 시각도 부정하는 건 아닙니다. 다만, 문맥의 흐름으로나 논리의 전개로 보더라도 자본주의 -> 사회주의 -> 신협 이런 전개가 더 나을 것 같아…
                              $0.00
                                 0 0
                              • youngmuk (25)in #kr • 8 years ago

                                RE: 디튜브의 탄생배경에서의 숨은 공신 IPFS

                                좋은 정보보고 갑니당~~
                                $0.00
                                   1 1
                                • tip2yo (56)in #kr • 8 years ago

                                  RE: 디튜브의 탄생배경에서의 숨은 공신 IPFS

                                  아무튼 디튜브도 요즈음 점점 알려지고 있는거 같더라구요.ㅎ
                                  $0.00
                                     0 1
                                  • forealife (65)in #kr • 8 years ago

                                    RE: [20회차] 보팅이벤트~

                                    참가자 조건 확인바랍니다.
                                    $0.0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