얻어 걸려서 알게 된 라그라로크를 만든 기업 '그라비티'

in #kr7 years ago (edited)

대문 겸 프로필.jpg

스팀잇을 눈팅하던 중에...

@c20140804님의
라그나로크라는 게임을 아시나요? 라그나로크 제로 사전예약
이라는 제목의 포스트가 있어서

'라그나로크 과거에 얼핏들었던 것 같은데'
라는 생각으로 클릭하여 관련 내용을 본 후에...

무의식적으로 '라그나로크 제로'를 구글링하여 검색해보니....
.
.
그라비티 라그나로크M(가), 대만 iOS 최고 매출 1위
http://m.greened.wow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351

라그나로크M(가칭)은
그라비티와 상하이 더 드림 네트워크 테크놀로지(대표 쉬빈(许斌)), 심동네트워크(대표 황이멍(黄一孟))
3사가 공동개발한 모바일 게임으로 대만 현지 명 ‘선경전설RO: 영원한 사랑 수호’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라그나로크M(가칭)은
출시 하루 만에 대만 애플 앱스토어 전체 최고 매출 1위와 인기 순위 모두 1위
기록함과 동시에 첫 주말이 지난 현재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최고 매출 2위와 인기 순위 1위를 기록 중이다.
더불어 홍콩 애플 앱스토어 최고 매출 및 인기 순위도 1위에 등극했다.
(왈 : 근데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앱스토어가 승자인것 같다는 ㅋㅋ)

특히, 대만 내 유력 게임사이트 바하무트에서 ‘라그나로크M(가칭)’은 유저들에게 높은 인기와 지지를 얻고 있다.
출시 직후 대만 유저 인기 순위 1위를 기록하였으며, 현재도 계속해서 2위와의 인기 순위 포인트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추세다.

추가로 라그나로크IP(지식재산권)로 개발한 모바일 캐주얼게임, 웹게임 등 다양한 게임들이 양대 마켓 매출 및 인기 순위 상위권에 다수 포진돼 라그나로크의 인기를 실감하게 하고 있다.
.
.
접하게 되었고
'어라 리니지가 밑에 있네;;'라는 생각과
호기심이 들어 해당회사의 나무위키를 들여다보았습니다.

그라비티
2000년 4월 4일 설립

중소기업으로 분류

미국 나스닥상장기업
(대한민국 게임회사 최초의 미국 증시 상장기업)

라그라로크로 재미 꽤나 보았지만
그 이후에는

상태였지만


출처 : http://www.inven.co.kr/board/ro/1952/227595

해당 게임 출판이후에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febcweb&logNo=220658789693&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상태를 구가하고 있어보입니다.

그리고 관련 현상에 대해
어느 한 블로거의 글을 보면서...
.
.
Gravity : 가슴 찢어지는 아픔
http://blog.naver.com/sayusayme71/221140736632

2012년 말 게임업종 투자를 시작한 최근 5년 새 가장 마음 아픈 달이 바로 지금. 2017년 11월이다.

당시의 컴투스보다 더 높은 상승률이 기대되는 종목을 학습 부족 탓에 눈 앞에서 놓쳐버리고 말았기 때문에...
그것도 단순히 이 종목이 주식시장 상장 종목이 아니라 비상장주식인 것으로 착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놓치고 말았다.
아주 기초적인 것을 조금만 더 살펴봤더라면 이런 천추의 한을 안 남겼을텐데...

이 종목이 한국에는 상장되어 있지 않으나 나스닥 ADR 상장된 종목임을 11월 초에야 깨닫게 되고
그 이후 지금까지 후회하고 한숨 짓느라 매일 밤 잠이 잘 오지를 않는다...

이 종목이 투자매력도가 높다는 걸 알면서도, "에이 비상장주식이네... 투자수익금이 지금의 X10 되기 전에는 난 비상장은 안 해..." 아쉬움을 쩝쩝 다시며, 브라우저 창을 닫았던 것이 2017년 3월 그리고 2017년 10월.

2017.1Q Graivty의 RO: 선경전설은 중국에 런칭되었다.
중국 개발사가 개발하고 Gravity는 IP로열티만 받는 구조였는데, Gravity가 원체 이익규모가 작은 소규모 회사라 중소박만 나도 주가 Upside%가 상당해 보였다. 게임성도 꽤 괜찮게 잘 빠진 게임이기도 했고...

2017년 10월 대만/홍콩에서 리니지2 레볼루션을 제치고 매출 1위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보고 어?? 선경전설이네?? Gravity Publishing?? 에휴~ 상장기업이었으면 바로 살텐데... 아쉽네... 하면서 다시 브라우저 창을 닫았다...

(중략)

두 번의 같은 고통은 절대 겪고 싶지 않다...

오늘의 참사는 해외시장 분석을 함에있어, 익히 알려진 대형기업분석과 시장Trend 분석에만 치중해서 빚어진 비극이다.
결국 작은 회사들 하나하나까지 다 깊이 분석이 들어가야만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것이겠지...
결국 현재보다 학습량이 X2 이상으로 늘어나야만 해외기업의 기회도 잡을 수 있다는 얘기... 몸도 마음도 많이 힘들어지겠지만,
이미 사실상 놓쳐버린 Gravity로 인한 크나큰 심적고통을 또 한 번 겪느니
그냥 노가다 많이 하면서 몸이 죽도록 힘든편이 훨씬 낫다. 참... 슬프다...
.
.
관심을 가지는 정도를 넘어서 깊이 파고들면
생각보다 기회가 있으며 그 기회를 잡을 수 있을 범위에 아직있지 못하는 나로서는
저 하소연도 부럽다고 생각합니다.

알기 때문에 겪는 고통이라고는 해도
아무것도 모르고 무심히 지나가면서 '별일없이 산다'보다는 저 하소연을 내뱉는 걸 선택하고 싶다고
저는 생각하며 이만 포스트를 마칩니다.

P.S
@c20140804
관련 정보를 포스트해주어서 감사합니다.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처음 했던 게임이 라그나로크였는데 뭔가 반갑네요.
그리고 관심이 없으면 어떤 일들이 일어나든 평온하니..ㅋ 때론 아는 게..히힛~!!
승투하시길~^^

사실 게임산업 관련은 암중무색이라서
한없이 알아보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알아감을 통해서
심리적으로 불편함도 깨달아가고 싶다는 욕심이 생기더군요..

댓글 감사하고 기원해주어서 감사합니다.

나스닥여서 놀랐네요. 추억의 게임 라그나로크입니다. 이번 게임들도 잘 됬으면하네요 ㅎㅎ

저도 알아보면서 깜놀했죠
나스닥 상장도 상장이지만
우리나라 게임회사 최초 상장이 눈에 가더군요

게임을 정보를 통해서만 접해봐서
플레이어 입장을 몰라서 그저 주변 소문에 의존하는 형국입니다.

그와는 별개로
우리나라가 지스타에서 보여지는 작품이 잘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저도 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리플을 최근 정리하려고 한게 329원... 327원까지 갔다가 고꾸라졌었죠. 그 리플을 정리하고 사려고 했던게 이오스였으니... 현재 4배가까이 오른 이오스를 볼때마다 천추의 한이 남습니다... ㅜㅜ

구라비티 이야길보니 더 속이 쓰려오네요

가상화폐는 아예 거들떠도 안보는지라 뭐라 할말이...(눈을 외면하며)
그렇지만 변동폭이 장난아니라는 건 피부로 와닿고 있습니다.

기회라는건 쟁취하기가 어려운것 같아요

댓글 감사합니다.

그라비티는 대표이사가 바뀌고 나서 끝없이 추락했었는데...모바일로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는가 봅니다...
이십대 청춘을 바쳐 했던 게임인데 ㅋㅋㅋ 이렇게 포스팅으로 보니 새롭네요

이 게임도 생각이상의 옛날을 자극하는
무언가가 있나 보더라구요 ㅋ

모바일시장으로 출사표를 던지는 경우를
정말 흔하게 보는 요즘입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와 추억의 라그나로크!! 외국에선 잘 나가고 있나보군요~

호미도 그렇고
외국에서 의외로 잘 나가는게
있더라구요 ㅋ

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