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라이트코인 #1-01

in #arneb-ltc6 years ago (edited)

Official_Litecoin_Logo_With_Text.png


목적

  • 2018년이 지나기 전에 실체가 없는 대부분의 알트코인은 가치를 잃고 시장에서 사라질 것이라 전망합니다. 또한, 미달러를 시작으로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곧 현실로 닥칠 것이며, 비교적 정적인 환율로 미달러와 연동하는 각국의 법정화폐 또한 빛의 속도로 그 가치를 잃고, 최종적으로 BTC에 기반한 경제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이뤄질 것이라 전망합니다. 이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안전 자산인 라이트코인(LTC)을 확보합니다.

참여 방법

  • #arneb-ltc 태그를 사용한 "[펀드] 라이트코인" 포스팅에 보팅합니다.
  • 유효한 보팅을 한 경우 따로 댓글을 달지 않아도 참여 완료.
  • 안정적인 참여를 위해선 일정량의 SP(80~100)가 필요합니다.

분배 방법

  • 저자수익 중 SBD 90%, STEEM 90%를 투자합니다.
  • UPbit 또는 GOPAX 거래소를 통하여 LTC를 매수합니다.
  • jungs 님이 개발한 @보팅주사위2를 이용해 참여자의 기여도를 확인합니다.
  • 유효 보팅 $ 0.01 이하는 제외됩니다.
  • 투자금액의 80%는 각자 기여도에 따라 분배합니다.
  • 투자금액의 15%는 참여자에게 공동 분배하되, 실제 기여도의 50%(if reputation score < 50) 혹은 명성도% 를 초과하지 않습니다.
  • 투자금액의 5% + α(공동 분배 초과 금액)는 특정 기관에 기부합니다.
  • 30회차 마다 정산하며, 다음 정산회차까지 누적 가능합니다.
  • "[분배] 라이트코인" 제목으로 분배 관련 정보를 포스팅합니다.
  • 해당 포스팅에 LTC 주소를 남겨주시면 확인하는 대로 전송을 하며, 페이아웃 전까지 아무런 댓글을 남기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다음회차로 누적됩니다.
  • STEEM 혹은 SBD로의 환매시 각자 기여도에 비례하는 80%만 돌려드립니다. 15%에 속하는 공동분배 분량은 자동으로 기부금에 더해집니다.

분배 예시

  • 유효 참여자가 a, b, c 셋. 기여도가 a= 20, b= 4, c= 1, total= 25. 투자금으로 총 100 LTC를 매수 한 경우. (동시에 c의 명성도가 50 미만일 때)
  • 80 LTC는 기여도에 따라 분배. 15 LTC - α 는 공동 분배. 5 LTC + α는 기부금으로 보유.
  • a가 받게 될 LTC 수량: {80*(20/25)} +(15/3)}= 65 + 5= 70 - (전송 수수료)
  • b가 받게 될 LTC 수량: {80*(4/25)} +(15/3)}= 12.8 + 5= 17.8 - (전송 수수료)
  • c가 받게 될 LTC 수량: {80*(1/25)} +(15/3)-α}= 3.2 + 5 - α= 4.8 - (전송 수수료)
  • 공동 분배로 c에게 돌아갈 5 LTC 중 기여도에 따른 분배 3.2의 50%를 초과하는 3.4 LTC는 α로 기부금에 더해집니다.

LTC 관련 정보

LTC 현재 시세

  • $ 216.62 USD (-3.22%)
  • 0.02044410 BTC (-6.59%)
  • 실시간 거래량 점유율 5.01%
  • 실시간 시가총액 점유율 2.64%

기타 정보

  • BTC가 아닌 LTC를 확보하는 이유는 BTC 대비 앞으로의 성장률을 더 높게 전망하며, 상대적으로 전송 수수료가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 저자 수익의 최소 5%는 2018년 12월 31일까지 LTC로 전환&보유하여 국내의 특정 기관 혹은 시설에 기부할 예정입니다.
  • 현재 고려 중인 곳은 '국립특수교육원'과 안산 소재의 특수학교 한 곳 외에 올바른 사용처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복지시설을 찾고 있습니다.
  • 30회차 이후부터 기부금 명목으로 누적되는 LTC의 수량을 표시합니다.
  • 기부금으로 누적되는 LTC의 수량과 연말의 LTC 시세에 따라서 복수의 기관에 기부할 수도 있습니다.
  • 기부가 취소될 경우 기존 참여자에게 실제 기여도에 따라 누적된 LTC를 분배합니다.
  • 기부가 성사될 경우 간단히 스티밋을 소개하는 글과 함께 참여한 계정을 기여도와 무관하게 알파벳 순으로 기재할 예정입니다.
  • 기재를 원치 않는 분은 해당 시점에 따로 연락을 주시면 반영합니다.
  • 각 회차 정산 시 Past Payouts 비례하는 일정량의 파워로 @simsimi 계정에 제가 보팅합니다.
  • Ex) Past Payouts $36가 찍혀있는 경우 3% 보팅합니다.
  • 공동분배 상한선은 기본값인 50과 명성도(reputation score) 두 값 중 높은 것을 취합니다.
  • 참여 중간에 LTC가 아닌 STEEM이나 SBD로 돌려받을 경우 공동분배 분량은 기부금으로 자동 전환되며, 투자금 90% 중 실제 기여도에 비례하는 80%만 돌려드립니다.
  • 공동 분배 분량에서의 기여도에 따른 상한선과 STEEM 환매시의 패널티는 부계정을 이용한 공동분배 분량의 부당 이득이나, LTC에 관심이 없으면서 효율 좋은 셀프보팅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LTC 확보 효율은 SP가 적을수록, 명성도가 높을수록 좋지만, 부계정을 돌릴 정도의 이점은 없을 것이라 생각한 값을 임의로 정했습니다.
  • 1개월 정도 진행을 해본 후, 분배 방법 등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변경될 경우 사전에 미리 알립니다.
  • 기본 기부금 몫인 5% 이상을 추가로 적립하고 싶은 분의 경우, 5의 배수 단위로 따로 댓글을 달아주시면 해당 회차에 한해서 원하는 %만큼 추가로 기부금으로 적립합니다.
  • Ex) "이번 회차에 보팅한 금액 중 15%를 기부하고 싶습니다."

Sort:  

@보팅주사위2

Loading...

Very good picture and your story

lately a lot of that talk about bitcoin. especially about the slide botcoin.postingan good friend by @ahmadrozam

투자에 대한 식견이 탁월하시네요!
보팅을 통한 모금 & 분배 + 기부모델, 좋습니다.
기다려왔던 프로젝트 중에 하나네요.
앞으로 꾸준히 참여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arneb271828님 ^^

가입 인사 글에도 썼지만, 스티밋에 가입한 주목적이 당시 시작되던 몇몇 펀딩에 참여하기 위함이 컸습니다. 이후 최근까지 다른 분이 진행하는 펀딩에 지속 참여하는 중에 사소한 문제점이 보이면서, 동시에 제가 좋아하는 라이트코인 펀딩이 있으면 좋을 텐데.. 싶은 생각이 들던 차에 "직접 해보자"라는 생각으로 시작합니다.

길게 10개월 정도 바라보며 시작하는 최소 5%의 강제 기부는 크게 세 가지의 목적이 있습니다. 기존의 상호 맞보팅을 통한 암묵적인 보팅풀보다 효율을 떨어뜨려 참여도를 떨어뜨리기 위함이 있고, 기부나 후원의 특성상 투명하게 쓰이기만 한다면 모금액이 클수록 유용한데, 연말의 LTC 시세를 매우 희망적으로 전망하므로, 비교적 초기인 3~6월에 적립될 소량의 LTC 가치가 연말에는 놀랄만큼 커질 것이라 예상하는 것이 또 다른 이유입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생각하는 스티밋의 실질적인 모습이, 생각의 가치를 평가받는 SNS라기보단, 투자자들의 선투자로 시작되어 시간이 갈수록 희석되는 스팀의 가치 속에서 분할 기부하는 형태에 더 가깝다고 여기기에, 이 방향을 스티밋 내에서의 순환이 아닌 적은 비중일지라도 스티밋 외부의 정말 도움이 필요한 곳에 돌리고 싶은 것이 세 번째 이유입니다.

우와~ 백서같아요^^
응원합니다.

차차 진행하면서 예상치 못한 문제점이 생기면 조금씩 보완해야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라이트코인 !!
저도 소액이지만 참여해봅니다 ㅎ

연말에 다가갈수록 참여하는 분들이 모두 웃게 되길 희망합니다 :)

저도 적지만 참여합니다 ^^ 좋은 프로젝트 같습니다.

사실 많은 분이 참여할 것이란 기대는 없고, 오히려 너무 많으면 부담스럽고 번거롭지 않을까 싶은 우려도 조금 있습니다. 정말 관심이 있는 소수의 인원으로 꾸준히 진행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D

아넵님의 안목을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직접 펀딩도 만드시고 정말 대단하십니다~~

제가 진행하는 이번 펀딩의 리스크는 STEEM, SBD의 기회비용입니다. STEEM과 LTC 모두 올 한해 굉장히 크게 상승할 것이라 보지만, 어느 쪽의 성장률이 더 높을지는 결과를 봐야 알 것 같네요 :)

잘되면 좋고 안되도 뭐 어쩔수 없다는 생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ㅎ 근데 아넵님이 밀어서 그런지 LTC가 더 잘될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미리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좋은 펀딩입니다. 저도 1회부터 꾸준히 참여해 보겠읍니다.

고맙습니다 :)

미약하나마, 조심스럽게 참여해봅니다 ^-^

보팅 게이지가 남을 때 부담 없이 참여해주시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