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We Need To Buy Ethereum Now | 지금 이더리움을 사야 하는 이유

in #bitcoin7 years ago

It is two days left until bitcoin hard fork (UAHF). I will explain why we need to buy ethereum now, as the market is still stagnant.

BITCOIN TRANSACTION STOP

From August 1, if UAHF occurs, bitcoin transactions become impossible for one week. BCC support is different for each exchange, so market stabilization of the bitcoin price seems to be difficult. Moreover, considering that the main purpose of bitcoin is money transaction, the inability to transact for a week will greatly undermine the value of bitcoin.

DEMAND for ALTERNATIVE CURRENCIES

Bitcoin segwit issues have enabled us to see the dominance of bitcoin in the cryptocurrency market. However, there will be an increase in demand for alternative currencies starting from the point where bitcoin transactions become impossible. The most powerful alternative to bitcoin is absolutely ethereum. With more hopeful predictions, the valu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urrencies will be reduced during that period.

ETHEREUM's TECHNOLOGICAL SUPERIORITY

Bitcoin is used as a key currency in the cryptocurrency market because of preemption effect and flawlessness. However, due to this hard fork, the flawlessness of bitcoin will be seriously damaged. It's time for ethereum to attract attention.

PROOF of STAKE

At this point, bitcoin issues are being finalized, whereas ethereum has a strong issue of updating PoS (PROOF of STAKE). There are many opinions about this update, but it's a good thing to have an issue in the long run.

There are a lot of issues that ethereum will stand out in the short, medium, and long term, starting from the point where bitcoin can not be transmitted. Highlight again.

The crisis is an opportunity.


비트코인 하드 포크까지 이틀 남았습니다. 시장이 전체적으로 정체되어 있는 가운데 지금 이더리움을 사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서술하겠습니다.

비트코인 전송 중단

UAHF가 발생하는 8월 1일부터 일주일 동안 비트코인의 전송이 불가능해집니다. 거래소마다 BCC 지원 여부가 다르기 때문에 시장에 의한 비트코인 가격 안정화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비트코인의 주 목적이 거래 가능한 화폐임을 감안한다면 일주일 동안의 전송 불가는 비트코인의 가치를 크게 훼손할 것입니다.

대안 화폐에 대한 수요

비트코인 세그윗 이슈로 인해서 가상화폐 시장에서 비트코인의 지배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의 전송이 불가능해지는 시점을 시작으로 대안 화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대안 화폐로써 가장 유리한 것은 단연코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입니다. 좀 더 희망 섞인 예측을 하자면 그 기간 동안 두 화폐의 가치 차이가 줄어들 것입니다.

이더리움의 기술적 우월성

현재 비트코인이 가상화폐 시장에서 기축 통화로 활용되는 이유는 선점 효과와 무결성입니다. 그러나 이번 하드 포크를 통해서 비트코인의 무결성은 크게 훼손될 것입니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이더리움이 더욱 돋보일 시기입니다.

PROOF of STAKE

비트코인의 모든 이슈가 마무리되어가는 현시점에서 이더리움은 PoS(PROOF of STAKE) 업데이트라는 강력한 이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해당 업데이트에 대해서 여러 가지 의견이 존재하지만, 이슈가 남아있다는 것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좋은 일입니다.

비트코인의 전송 불가 시점을 시작으로 단기, 중기, 장기적으로 이더리움이 돋보일 이슈가 산적해 있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위기는 기회입니다.



Sort:  

이더리움은 이미 무결성에 흠집이 난 코인이며, 연간 발행량 증가율도 비트코인보다 훨씬 높습니다 또한 발행량 조정을 중앙에서 컨트롤하고 있으며, pow방식에서 pos방식으로 전환하는 등의 이슈를 생각해보면 앞으로 계속 하락할것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이더리움과 비트의 가장 큰 기술적 차이인 스마트컨트랙 부분은 비트에도 조만간 접목 가능하다고 합니다
비트의 브랜드 파워 및 현재까지의 실사용 등을 보면 이더가 비트를 넘는 일은 없을것이며, 이번 하드포크로 비트가 하락하면 이더도 하락할 것입니다
제가 이더에 투자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너무 많다는 점입니다
스팀 발행량이 연간 100%증가율을 보였을 때, 가격 변화를 보면 1년간 1/10가치로 줄었습니다

비트코인도 이제 무결성에서 이더리움과 큰 차이가 없어졌습니다. 오히려 기능적인 측면에서 이더리움이 비트코인을 압도한다는 사실만 남게 됩니다.
통화 발행량이 비트코인보다 높다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아직도 이더리움의 시총은 비트코인의 1/2 이하이고, 한번 대세가 뒤집히면 돌이킬 수 없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의 브랜드 파워와 실사용량이 이더리움보다 높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비트코인은 앞으로 일주일 가량 실사용량이 제로에 수렴할 것입니다. 이 기간 중에 디커플링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onlimono 님의 글은 항상 잘읽고 있습니다! 전 이더의 어떤 기능적인면이 비트를 능가할 수 있는지 사실 모르겠습니다 스마트컨트랙은 앞으로 비트도 도입할 것이고, 전송속도는 문제는 두가지 코인이 모두 문제인바 다른 알트코인들이 차라리 대안이 될 수 있겠죠 그리고 비트는 이번 세그윗과 앞으로의 블록 확장으로 속도 문제는 개선될 것입니다
그리고 시총 문제도 굉장히 중요한 문제입니다 @onlimono님 말씀처럼 혹시나 비트의 시총과 동일한 수준으로 2배 오르르도라도, 개인이 가진 이더의 가치는 2배만큼 오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비트의 연간 발행량 증가율은 현재 16%수준이고, 이더의 증가율은 현재 무려 77%수준이기 때문입니다
이건 다른 얘기지만 저는 @onlimono님과 같은 글들이 KR에서 제일 많은 보상을 받아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죠 왜냐하면 스팀잇에는 담합 보팅이 비밀스럽게 진행중이기 때문입니다
비밀태그와 글을 아무렇게나 싸지르고 20명 정도 담합하면 월 500만원 투자로 매달 30만원 수익을 가질 수 있습니다 천만원이면 60만원 1억이면 매달 600만원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여러분 낚이지 마세요
저도 처음엔 알아보자는 심정으로 2비트 정도 넣어서 공부했는데 이제사야 진상을 알고, 돈 버는 구조를 파악했습니다 좋을 글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노력에 비해 보상이 적기 때문이죠. 반면 담합하면 글 한줄 적어도 위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전 그러기는 싫어서 스팀다운 했으며, 이 댓글은 굉장히 위험한 댓글이 될 수도 있겠네요 궁극적으로 의도가 그렇지 않을수도 있지만 전 스팀잇을 다단계로 봅니다

빌게이츠가 한 말이 있습니다.

인생은 결코 공평하지 않다. 이 사실에 익숙해져라.

스티밋 역시 우리 사회의 축소판일 뿐입니다. 저는 단지 가상화폐 시장 분석에 익숙해지려고, 끊임없이 글을 쓸 뿐입니다.
비트코인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지원할 것이라는 전망은 마치 몇 년 뒤의 비트코인 가격에 대해서 논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그리고 현재 이더리움은 PoS 업데이트를 기점으로 발행량을 조절할 준비를 하고 있죠.

나카모토 사토시가 한 말이 있습니다

“중앙은행이 우리의 화폐 가치를 지켜줄 것이라고 믿지만,
신용화폐의 역사는 그런 믿음에 대한 배신의 연속이다.”

화폐발행 조정같은 규정없는 단기 정책에 의해서 우리가 가진 신용화폐는 끊임없이 가치가 줄어들었죠 기득권에 휘둘린겁니다

스팀잇도 비트코인과 비슷한 선상에서, 결국에는 분배와 지속 성장 가능한 구조를 강조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스팀잇이 초심으로 다져야 할 분배에서 실패했다고 봅니다

비트코인는 출발자체가 틀려서스마트컨트랙과 비슷한 기술을 접목할 수 있으나 이더리움의 스마트컨트랙 기술과 같은 기술 접목은 불가라고 알고 있습니다.

Congratulations @onlimono!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number of posts published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By upvoting this notification, you can help all Steemit users. Learn how here!

전 이더리움이 올라갈꺼라고 보지만 생각만큼 그리크게 올라갈꺼라고 보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더리움은 이미 하드포크한 전적이 있기때문에 현 이슈에서 자유로운 상태가 아니고 비트코인 가격이 떨어지면 늘상 떨어져왔던 이력, 실제로 화폐로 사용가능한 곳이 거의 없고 전송속도도 별로 빠르지않다는걸봤을때 가격이 그리 크게 오를꺼라 보지 않습니다.
대안으로 다른 코인이 떠오른다면 차라리 대쉬나 라이트코인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라코는 배다른 형제뻘인 BCC가 생기는 만큼 큰 메리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시는 애초에 고려하지도 않았던 코인이라서 글쎄요...

The problem with Ethereum as I see it currently is that there are so many competitors coming into the market who seem to all have a better product and are currently much cheaper to own. I wonder what the prospects in 1-3 years for Ethereum are when other competitors such as Antshares/NEO, Stratis, EOS, IOTA, and such all advance further.

The competitors you mentioned are not real competitors. Look at the market cap difference. And 1-3 years later, do you think ethereum will remain without changes while other coins are developing?

The market cap you point out is exactly why the other competitors are so interesting. They offer similar technology, but have a lot more room to grow. Ethereum needs about 20 billion higher market cap in order for you to profit 100%, but a smaller competitor could offer you 300% or more even if it grew by only 1 billion.
I still think Ethereum will atleast double possible triple or quadruple but I don't think it will hold it's position for forever.

It is true that competitors' prices are low and there is a lot room to grow. But the market is smarter than you think, so there are reasons for lower prices.

저도 이더가 시총 1위가 될 날이 머지않았다 생각하는 1인입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는 이더가 오르긴 하겠지만 전체적인 알트들이 특히 요즘 더 주목받는 알트들이 잘 오를거라 보며 아직 이더는 관망하는게 더 좋다고 봅니다.
이유는 이더의 해결 포인트 시간이 좀 남아 있고 그리고 이번 btc 사건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이더에 대한 의구심과 그리고 다른 알트에 대한 지식을 많이 갖게 되었다고 봅니다. 물론 지금 사야할 때는 맞지만 조금더 두고보거나 다른 알트로 움직이는게 더 좋다고 봅니다.

현재 대다수의 알트 코인들이 BTC와 연동되어 있어서 BTC 이슈에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솔직히 여기서 디커플링 가능한 독자적인 힘을 보유한 코인은 이더리움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보면 지금이 더 btc를 담을 수 있는 기회라고 봅니다.

BTC는 차라리 8월 1일 이후 보고 들어가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같은 이유로 BTC 연동 알트들도 그 정도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보고 있어요^^

저도 어제 밤에 소액 담았습니다 ^^

저도 8월 1일 이전까지 꾸준히 담을 겁니다^^

포스팅 내용이 좋으니 댓글들도 좋네요 저는 하루에도 몇번씩 살까말까 고민만..ㅠㅠ

분할매수하실 때, 신호등 한번 써보세요.
https://steemit.com/kr/@sjc333/3eqba2

여유자금이...ㅜㅜ

눙물이 ;ㅁ;

비트코인 거래중지가 가져올 여파는 뭘까요. 고민되는 시점입니다. 저도 알트를 모으는 시점이라는 것에 동감하고 8월1일 이후까지 보고 있습니다.

투자 성향에 따라서 기다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자산의 절반은 현금 보유하고 8월 1일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이 다시금 40만원을 돌파하는 날이 곧 오려나요...?

곧 온다는 걸 알 수 있다면 대출받아서 때려 넣겠죠^^

I belive , writing good content , is very important to engage followers .. :) @ronaldmcateer

I agree...

마침 저도 이더 매수를 고려하고 있었는데 @onlimono 님의 고견을 만나게 되어 감사드립니다.
지금 국내거래소에서 22,23만원에 거래가 되고 있는데 조금더 기다려서 심리적 지지선이라고 보여지는 20만원대가 무너지는 패닉셀이 올때 까지 기다려야 하는가,,,현재 가격대에서 매수를 진행해야 하는지 고민이 듭니다.
이부분에 대해서도 조언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저는 매수 시기는 이슈 참고해서 큰 그림으로 파악하고 실제 매수는 신호등이라는 지표 도움받고 있습니다.
https://steemit.com/kr/@sjc333/3eqba2
매수할 때는 생각보다 도움 많이 됩니다. 추천해요^^

좋은글입니다. 막상 투자를 하려하니 잘 안움직이네요. 어렵습니다. 하하

감사합니다^^

그동안 비트로 흘러들었던 자금들이 다시 알트로 흘러들지 않을까 싶네요. 비트가 다시 거래가 가능해지는 시점에서 홀드할지 매매를 해야할지 선택을 해야하겠죠?

네. 비트 연동 알트에 투자하시려면 추세를 보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견해 감사합니다. 늘 많이 배웁니다.. 비트코인이 어떻게 되든 이더리움 전성기가 올 듯 합니다~

아닙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