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화폐] 비트코인, 캐시, 골드, 이더리움의 상관관계에 대해

in #blockchain7 years ago (edited)

먼저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채굴적인 측면에서 BTC, ETH, BCH, BTG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보았습니다.

비트코인 골드 BTG가 등장하면서 시장상황은 또 다른 변수가 발생하였습니다.
일단 현재의 마켓캡(1위~5위)입니다.
마켓캡.JPG

아직 BTG가 초기이기 때문에 어떠한 이유로 혹은 BCH의 가격펌핑 효과의 사람들의 학습효과인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BTG는 시장5위에 안착되어 있습니다.

추후 시장이 평가하겠지만 BTC의 하드포크 코인은 아래와 같이 많았습니다.
aed7966df0eacf80f20448efc3f36795.png

BTG의 탄생 후 상장 배경에 대한 의문점 (배후에 누가 있는것인지)들이 여러 커뮤니티에서 제기 되었고, 트위터에서도 각 반응을 보았습니다.

일단 먼저 비트파이넥스에 빠르게 상장되었다는점입니다. 테더논란일때 여럿글(비트파이넥스와 블록스트림과 테더와의 관계)을 보셔서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블록스트림의 수장인 Adam back은 비트파이넥스의 BTG관련 글을 지속적으로 리트윗 하였습니다.
아담백2.JPG

그리고 BTG와 BCH의 비교글까지 작성하였었습니다. (BTG 선물가격이 BCH보다 높다는 글)
아담백3.JPG

하드웨어 지갑인 TERZOR에서 BTG지원 글도 리트윗하였습니다.
아담백1.JPG

이번엔 반대로 BTG 공식 트윗에서 또한 LTC개발자인 Charlie Lee(BTC의 열렬한 지지자기도 합니다.)의 BCH비하 글을 리트윗 하기도 하였습니다.
찰리.JPG

트윗상으로 벌어지고 있는 지지에 대한 부분으로 합리적인 의심이 가는부분일 수 있습니다.
BCH 또한 하드포크되어 발생하였고, 지금까지 많은 코인이 BTC에서 하드포크 되었지만 유난히 BTG에 대한 상관관계가 BTC와 이어지는 의심을 해볼수 있을듯합니다.

채굴적인 관점에서 BTG는 BTC/BCH와는 달리 GPU(그래픽카드) 채굴 방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물론 BCH에 대항하기 위한 ASIC채굴기도 출시한다고 밝혔긴합니다. 예전 글에 작성하였습니다.

이는 또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직접적인 ASIC채굴대신 GPU채굴 대응되는 코인을 출시함으로서 채굴 탈중앙화의 의미와 더불어 GPU채굴시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도 계산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GPU채굴 메이져 코인은 현재 ETH(이더리움), ZEC(지캐시), XMR(모네로) 입니다. GPU채굴시장에서 또다른 기준점은 ETH로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시다시피 ETH은 POS로 채굴방식을 전환 예정에 있습니다. 즉 GPU채굴 시장에서 빠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채굴자들은 2가지 선택을 하게 될텐데 1.채굴장비를 팔거나, 2.다른코인을 캡니다.
채굴자들은 손익분기점이 생각보다는 짧지 않기 때문에 1번을 택하는 리스크를 앉고 가려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2. 다른코인은 BTG가 나오기전에는 ZEC와 XMR을 캐었을텐데 현재 GPU채굴자들은 ETH/BTG를 왔다갔다 하면서 캐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유는 당연히 BTG의 펌핑이었구요.
수익은 크게 나지 않지만 안정적인 ETH를 캘것인지 장래에 대한 불안함이 있지만 펌핑이 크게되는 BTG를 캘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이때문에 최근 ETH의 가격이 변동이 발생하였습니다. 차트를 일부러 수렴점에서 그린점도 한몫합니다.
저는 차트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차트 전문가들의 의견을 빌리자면 기나긴 수렴점을 돌파하여 전고점을 뚫었기 때문에 상승여력이 다분하다고 합니다.
이더리움.png

그렇다면 누군가 GPU해시를 BTG에 뺏기지 않기 위해 ETH를 펌핑하였다는 것도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시 돌아와서 이를 아래 사이트에서 보겠습니다. http://whattomine.com/
GPU채굴중 ETH를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맨 우측 최근 이익부분 (최근/24시간/3일/7일)을 보시면 됩니다.
ETH기준이니까 당연히 4개다 100%입니다.
eth.JPG

그리고 BTG입니다. ETH대비 감소되어 있습니다.
btg.JPG

우리는 기존 BTC/BCH관계 뿐만 아니라 BTG/ETH관계도 유심히 봐야할것 같습니다.
게다가 다음달에는 BTC CME선물시장에 상장되면 변수가 발생할것이고,
ETH의 POS전환시기에 맞춰 ETH, ZEC, XMR, BTG의 PUMP/DUMP도 충분히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BTC와 BCH의 PUMP/DUMP도 발생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Sort:  

좋은 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팬이에요

제가 영광입니다. 감사합니다.

비트코인 골드 검색 중에 이렇게 좋은 글을 읽게 되었네요! 정말 많이 배우고 갑니다. 25일이 지난 지금 이더리움은 백만원을 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곧 좋은글로 찾아 뵙겠습니다.

좋은 분석 감사드립니다.

좋으셨다니 다행입니다.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참고하면 좋은 분석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네 저도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할 생각을 좀 해봐야 겠습니다.

글 잘 보았습니다. 계속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더 좋은글로 찾아뵙겠습니다.

이런 분석이 가능한 게 부럽습니다..

저도 아직 모르는게 너무 많아 공부중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더의 pos 전환이 비골의 호재로 작용할 수 있겠군요...

그렇게 될수도 있을듯도 합니다. BCH 쪽 혹은 다른쪽에서 어떻게 나오는지 보는것도 관전포인트가 될듯합니다.
현재로서는 모두가 상승하는 치킨게임하는 느낌입니다.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오호, 좋은 글입니다.
시장을 볼 수 있는 통찰이 생기는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더 많은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포크이후 20% 정도는 유지해야할 비트코인 캐시의 채굴이 영 진전이 없어 보입니다. 이래도 채산성이 있는걸까요?

난이도 대비 가격으로 따지면 사실 10%대 (지금해시)가 유지되는데에는 채산성이 btc/bch가 거의 1:1이기 때문입니다.
BCH가 상승하면 자연스레 채산성에 따라 해시가 붙지않을까 하네요. 근데 의외로 BTC가 쉬지않고 오르는게 변수인것 같습니다.

EDA 이후 줄곧 10%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네요
20%은 못가고 19%까지 올랐다가 다시 떨어지고 그렇습니다.
144블록으로 살펴보면 아직까지 우지한+로저버 연합이 신나게 캐고 있는데
가격이 오르지 않으니 채굴풀이 달려들지 않는 듯 보입니다.

BCH의 채굴풀중에 시그널링하지 않는 UNKNOWN( 절반이상)이 궁금합니다.
반대로 BTC 채굴풀을 보면 BITMAIN이 제일 많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히든카드를 숨겨놓은 느낌이 듭니다.

https://steemit.com/kr/@joaaana/4papey

관련 글을 아주 초보적인 관점에서 실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생각이 좀 정리되는 기분입니다.

혹 채굴풀에 대해서 조금 알고 계신게 있다면
F2Pool이나 슬러시풀 등
각 채굴풀의 주인과 특징에 대해서 설명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채굴은 잘 모르기에 공부하는겸 해서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아이디어 감사합니다.!!

채굴풀 운영자의 그간 행보를 밟다보면
BTC-BCH 상관관계를 조금 더 알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사실 BCH 움직임은 채굴풀 움직임으로 확인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는데
채굴풀 최근 움직임을 보니 그런것도 같더라구요

네 저는 다음 비트코인 채굴난이도 조정쯤을 또다른 관전포인트로 보고 있습니다.
새로운 변수가 생기긴 했고(ADA 코인), BTC의 자주 하드포크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ADA 코인은 잘 모르는데 왜 새 변수로 보시는거에요?

늘 좋은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코인시장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분석글 잘보았습니다 ^^
최근상황이 약간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현재 상황도 좀 파악을 해보겠습니다.

저도 뭔가 이더리움이 이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비잔티움 성공했을때도 기껏 몇시간 반짝 오르던 이더인데 요즘 왜이렇게 오르는지 의아했거든요. 게다가 캐쉬 펌핑 있는 타이밍에 비슷하게 확 오르는것도 이상하고.. 딱히 호재도 없는거같은데 이더가 갑자기 왜 오른다고 보시는지요?

BTG에 해쉬를 안뺏기려고 이더를 펌핑했다고 하면, 누가 그랬을까요? BTG가 세를 확장하면 가장 타격을 많이 입는 곳이 이더? 아니면 비캐쉬일까요?

이더는 특성상 다르기도하고 pos전환으로 무리는 없을것같아요,
당연히 비캐일것이고 거꾸로 비트코어쪽에서는 그만큼 위기 의식을 느낀것일까요 저도 궁금합니다.

갑자기 오른 이유는 글에 언급하였습니다. (아마도 BTG견제?)
이더리움 클래식도 같은 맥락인듯 추측이 됩니다. 시기가 굉장히 유사하네요.

와 맞네요 이더뿐 아니라 z캐시랑 모네로도 오름세인데 모네로는 오늘 꽤 많이 올랐어요

글 정말 잘 보고 갑니다! 저같은 초보에게도 정말 이해하기 쉽게 글을 써주셔서 재밌게 읽고가요 감사합니다

네 GPU채굴계열 코인이 오른건 사실이긴한데, 모든 코인이 잘 오르는 중이라 좀 더 시장을 지켜보려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분석이네요. 새로운 관점을 더 배우게 되었습니다.
BTG자체에는 관심이 없는 편인데 좀 더 다각도에서 봐야겠네요.

저도 BTG는 아직 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시장동향을 파악하기위해서 분석중입니다.

sidonyia님 같은 분들이 안계셨다면 저같은 사람은 코인판에서 절대 못 살아 남을 것 같습니다. ㅜ.ㅜ 이더리움과 비트코인골드의 상관관계까지는 미처 보지 못했었는데 유심히 지켜봐야 겠네요 분석 너무 감사드립니다~~~!!

아직 추측만 이기 때문에 아닐수도 있습니다.
단지 시간적인 부분과 코인간의 커플링 관계를 보고 추정하였습니다. 더 공부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채산성과 시장가격에 대한 깊이 있는 글 감사합니다!!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Thank you for posting

Spamming comments is frowned upon by the community.

Comment spam is currently defined by @steemcleaners as:

  • 10 or more generic comments per day that are not in response to a question posed by the post or comment. “Thanks”, “Great Post!”, “Great Photo!”, “Good”, “Like”, “Nice”, “Wow”, “Cute”, “Follow me”, etc.

  • Commenting on old posts to hide self up-votes or a voting trail.

  • Copy/Paste comments that serve no purpose or the purpose is self promotion.

  • Comments that inform the contributor that they have been up upvoted, resteemed, or flagged when the curator does not actually upvote, resteem, or flag the post.

  • Unsolicited and off topic referral links.

Continued comment spamming may result in action from the cheetah bot.

More Info: Abuse Guide - 2017.

THANK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