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블록체인 특징 정리

in #blockchain6 years ago

보이드링크 IT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김명준으로 한국내에서는 여러가지 블록체인 정보가 정리되어 있지 않은 것 같아 정리해 봅니다.

Bitcoin

  • Official: https://bitcoin.org/bitcoin.pdf
  • 모든 분들이 알고 있는 첫번째 블록체인
  • Hash: SHA256
  • Consensus(일치): PoW(Proof of Work)
    • 방대한 계산 리소스가 없으면 블록을 만들수 없다.
    • 마이닝을 하면 보상을 얻을 수 있다.
    • 블록체닌을 공격하면 손해다.
  • Block time: 10분
  • 거래비용 증가에 따라, 모든 트랜잭션(Payment)을 블록체인에 일일이 적용하지 않고 스마트계약을 사용하여 저렴하면서 빠르게 처리하는 기술로 Lightning Network이 화두가 되어 있다.

Ethereum

  • Official: https://www.ethereum.org/
  • 백서: https://github.com/ethereum/wiki/wiki/White-Paper
  • Hash: Dagger Hashimoto (최신 버전은 Ethash라고 함)
    • ASIC-resistance
    • Light client verifiability
  • Consensus(일치): PoW(Proof of Work)
    • PoS(Proof of Stake)로 전환이 계획되어 있다.
  • 목적: World Computer
    • 스마트계약을 Solidity언어로 작업하는데 JavaScript기반으로 되어 있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공식사이트에도 "MINIMUM VIABLE TOKEN"으로 몇십줄의 코드로 작성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 ERC20
    • URL: https://theethereum.wiki/w/index.php/ERC20_Token_Standard
    • transfer를 기본으로 기본 송금기능등을 제안한 Contract가 구현해야하는 functions와 event 정의
      • function totalSupply()
      • function balanceOf(address tokenOwner)
      • function allowance(address tokenOwner, address spender)
      • function transfer(address to, unit tokens)
      • function approve(address spender, unit tokens)
      • function transferFrom(address from, address to, unit tokens)
      • event Transfer
      • event Approval
  • ERC223
    • ERC20에 token failback기능이 추가되었다.
    • ERC20에서 처리할 수 없는 내용의 TX Contract에 전송될 때 바로 승인된다. GOX문제가 해결될 때
    • 처리할 수 없는 내용의 TX가 있다면, Sender로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 ERC721
  • Non-Fungible Token(NFT)
    • Collectibles(수집물)을 블록체인에서 표현 가능하게 한다.
    • ID를 가진 개별 토큰이 하위로 다수 존재하고 각각의 소유자를 가진다
    • Non-Fungible의 의미
      • ID를 가진 개별 토큰은 유일무이한 존재라는 의미이다.
      • 개별 토큰이 수량이라는 개념을 가지지 않고, 상위 토큰이 배열 데이터로 가지고 있다.
      • ETH등에서 가격을 정해 매매가 가능하다
    • 공동 소유에 대해서도 사양이 제안되고 있다. (Divisible NFT, Shared Ownership)
    • 필수사항: ERC20 223 준수하며 호환성 유지
    • 필수사항: ERC165 (인터페이스 규격 명확하게 함) 준수
  • 데이터 구성
    • ERC721의 Tokens(CryptoKitties라고 말함)은 모든 개별토큰(Kitty)ID를 유지하는 배열이다
      • 개별 토큰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한 제한은 없다.
      • 개별 토큰은 수량의 개념이 없다 (수량적인 파라미터를 갖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사칙연산을 적용할 수 없다)
      • CryptoKitty는 구조로 정의하고 외부 스토리지 관리를 하고 있다
    • 아래 맵핑을 해둔다
      • token_id와 owner_address
      • owner_address와 보유하고 있는 개별 토큰의 수
  • 외부 인터페이스 (필수사항)
    • totalSupply()
      • 발행토큰의 총 갯수(tokens.length)을 리턴해준다.
    • balanceOf(address _owner)
      • _owner에서 지정한 주소가 보유한 토큰수를 리턴
    • ownerOf(unit256 _tokenId)
      • _tokenId에서 지정한 토큰의 보유자 주소를 리턴
    • approve(address _to, unit256 _tokenId)
      • 이 메시지를 보낸 사람이 보유하고 있는 token에 대해 실행
      • _to에 지정된 주소에 대해 _tokenId에서 지정한 token의 소유인가를 확인
    • transfer(address _to, unit256 _tokenId)
    • transferFrom(address _from, address _to, unit256 _tokenId)
      • 이 메시지를 보낸 사람이 _tokenId에서 지정된 token에 대해 승인된 경우 실행
  • 외부 인터페이스 (옵션사항)
    • name()
    • symbol()
    • tokensOfOwner(address _owner)
      • _owner에서 지정한 주소가 보유한 토큰 id목록 리턴
      • 계산량이 크기 (tokens배열 전체에 대한 반복 실행)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다
    • tokenMetadata(unit256 _tokenId, string _preferredTransport)
      • IPFS등의 외부 리소스를 메타데이터로 토큰과 연결되는 노드를 찾을 수 있도록 구현
  • CryptoKitty 구현
    • ERC721 기반 토큰을 구현
    • Kitty struct를 정의하고 형태를 구현하는 논리와 노드를 정함
    • 배합 논리를 구현함
    • 운영관리 방법과 modifier를 정의함
    • Kitty 출품 및 판매 DApps를 마련함
      • 기본적으로 크롬에서 Metamask사용하여 매매함
  • 용도의 상정
    • 디지털 자산 (게임내 컨텐츠 및 저작물등)의 표현
      • 복사 불가
      • 개별 자산의 가치 및 운영의 투명성
      • 매매 및 교환용 마켓플레이스 Dapps화
      • 게임 전반에 컨텐츠 판매수
    • 예술 및 건출등의 분야에서 이용도 미래에 예상됨
    • 기타 문제에 대한 해결책
      • 스킨 도박등의 기업 윤리 문제
      • 출생정보와 지적재산권의 위조 문제
      • 티켓 위조
  • Raiden Network
    • Official: https://raiden.network/
    • 기본 Lightning Network의 Ethereum버전
    • Scalable, Fast, Private, Interoperable, Low Fees, Micropayments
  • Plasma
    • Vitalik Buterin과 Joseph Poon이 발표한 스마트계약을 실행할 때, 프로세스를 확장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크게 최적화하는 것임
    • 하위 체인을 사용해서 root chain(Ethereum)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다. 개념적으로 말하면, 기본적으로 이더리움정보를 참조하는 것은 잘못된 트랜잭션등으로 처리할 때 이더리움에서 ETH와 이더리움 토큰을 이동하거나 리턴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 이더리움에는 트랜잭션등을 일일이 기록하지 않는다.블록헤더에 상위체인에만 저장함
    • 네트워크 참가자가 모든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에 관련된 내용을 주로 감시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따라서, 모든 노드가 모든 것을 검증할 필요가 없다. 스케일이 가능하게 된다.

Ripple

  • Official: https://ripple.com/
  • Ripple사의 Global payments를 위한 Private Blockchain
    • 마이닝 불가능
  • 100,000,000,000 XRP 처음 Mint됨
  • Ripple connects banks, payment providers, digital asset exchanges and corporates via RippleNet to provide one frictionless experience to send money globally.
  • 엔터프라이즈 사용자로서 Bank, Payment Provider를 이미지화하고 있다
    • XRP이 있으면, 외화결제를 하기 위해 각지역의 현지 통화로 nostro account를 가질 필요없이 판매 가능
  • Fast: Payments settle in 4seconds(4초)
  • Scalable: 1500 TPS now and can scale to handle the same throughput as Visa.

Bitcoin Cash

  • Official: https://www.bitcoincash.org/
  • 2017년 8월 Bitcoin 하드포크로 탄생함
  • Transact in seconds. Get confirmed in minutes.
  • Bitcoin과의 차이점
    • 최대 차단 용량은 Bitcoin이 1MB, Bitcoin Cash에서 가변되고 초기에는 8MB로 설정되어 있다
    • Bitcoin은 SegWit기능(Segregated Witness)가 있지만 Bitcoin cash는 없다
      • 일부 비트코인 마이너들은 SegWit2x는 사토시 나카모토의 로드맵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확장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Bitcoin cash를 만든 느낌임

Litecoin

  • Official: https://litecoin.org/
  • Hash: scrypt
    • 이 때문에 memory-hard이기 때문에 FPGA또는 ASIC가 SHA256인 것에 비해 상당히 복잡함
  • Consensus(일치): PoW
  • Block time: 2.5분

Cardano

  • Official: https://www.cardano.org/
  • 이더리움 이상의 스마트계약 플랫폼이 될 것을 목표로 가고 있다
    • "It is the first blockchain platform to evolve out of a scientific philosophy and a reasearch-first driven approach"
  • BitShares와 Ethereum의 코파운더인 Charles Hoskinson 이 리드중임
  • Haskell로 작성됨
  • ADA는 여기서 통화로
  • Consensus(일치): PoS(Proof of Stake)
  • Cardano Settlement Layer(CSL)은 Ledger Transaction 처리 레이어와 Cardano Computation Layer(CCL)이라는 스마트계약 실행을 다루는 2개의 레이어가 있다
  • RINA를 사용?

NEO

  • 중국판 이더리움이다. OnChain이라는 기업명으로 AntShares라는 이름으로 개발되고 있다가 2017년도에 NEO로 변경하였다.
    • blockchain platform and cryptocurrency designed to build a scalable network of decentralized applications
  • base 리소스(이더리움으로 보면 ETH)으로 NEO토큰이 스마트계약을 배포 또는 실행시 Fee로 GAS토큰이 존재한다. NEO는 분할이 불가능하며 GAS로 분할이 가능하다.
    • 이더리움과 마찬가지로 수수료는 계약 금액에 비례한다.
    • GAS토큰은 1블록마다 몇개가 생산되는지, 정해져 있기 때문에 200만 블록마다 1GAS/블록씩 생산이 줄어들도록 되어 있다.
    • NEO도 GAS 1억 토큰이 Supply제한되고 있다.
  • 2018년 3월에 ONT토큰이 발생되었다. (5NEO에 대해서는 1ONT)
    • system upgrade, identity verification 및 기타 governance issue에 대한 투표권으로 이용됨
  • Consensus알고리즘으로 Delegated Byzantine Fault Tolerance(dBFT)를 채용하고 있다. 시스템 참가자들은 노드를 bookkeeper로 지명할 수 있다.
    • bookkeeper가 되기 위한 NEO소지 갯수 하한선이 설정되어 있고 성능 요구 사항도 존재한다.
    • bookkeeper는 Digital Identity(전자형식의 신원 확인 방법은 얼굴특징, 지문, 음성, SMS등)으로 노도를 구성하고 있다.
    • bookkeeper체인에 작성된 트랜잭션/블록 validate하는 작업을 주어진다. 만약, 네트워크에 있는 2/3 노드가 bookkeeper의 validate버전을 인정되면 consensus가 잡힌 것으로 간주된다. 이것이 실패하면 다른 bookkeeper가 선정되어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 consensus가 네트워크의 subset에서만 replicate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클래식 Byzantine Fault Tolerance보다 효율적이며 따라서 많은 트랜잭션 처리를 할 수 있다.
      • 1,000~10,000TPS
      • 그러나 이정도 규모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배경으로는 Digital Identification과 dBFT가 어느 정도 Centralized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스마트계약 시스템 NeoContract
      • NeoVM
        • JVM이나 .NET 런타임, EVM에 해당하는 VM
      • InteropService
        • Used to load the blockchain ledger, digital assets, digital identity, persistent storage area, NeoFS, and other underlying services. They are like virtual machines that are provided for virtual machines, enabling smart contracts to access these services at run time to achieve some advanced functionality.
      • DevPack
        • 고수준 언어 컴파일러 및 IDE플러그인
      • 이런 조합을 통해 NeoVM을 다른 블록체인 및 기타 비블록체인 실행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다. 반대로 Solidity기술이 필요한 이더리움에 비해 NEO는 스마콘을 C#, Java와 같은 언어로 기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Cross-chain interoperability agreement: NeoX
      • Cross-chain assets exchange agreement
        • 여러 참가자가 다른 체인 사이에서 자산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 Cross-chain distributed transaction protocol
        • Cross-chain assets exchange agreement를 임의의 트랜잭션에 확장한다. 즉, 원자 트랜잭션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Stellar

  • Official: https://www.stellar.org/
  • Objective: Move Money Across Borders Quickly, Reliably, And For Fractions Of A Penny.
    • Stellar is a platform that connects banks, payments systems, and people. Integrate to move money quickly, reliably, and at almost no cost.
    • 이것은 기존 금융기관등도 참여하여 결제를 편리하게 한다.
    • Private Blockchain이며 따라서 마이닝 개념은 없다
    • 즉, Ripple과 비슷하다
      • 사상적인 차이는 Stellar non-profit이며 오픈소스이다. Ripple은 영리기업이며 내부인들만 소스코드를 본다.
      • 기술적으로 Stellar쪽이 bookkeeper되는 눈높이가 낮다
  • 2014년에 탄생하였고 Non-profit의 Stellar Development Foundation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파운더로는 Jec McCaleb, Joyce Kim가 있다.
    • 반대로 Ripple은 뱅크오브아메리카나 선진국의 메가뱅크등과의 관계를 중시함
  • 2017년 IBM과 지불 속도 향상을 위해 파트너쉽을 맺고 있다. 그외 다양한 파트너쉽을 맺는 경향이 있고 그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 출시할 때 Ripple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나왔다가 2015년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져 출시되었다.
  • Stellar XLM이라는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 예정이다.
    • 이더리움의 ICO결함을 극복
      • According to reports, out of 1million smart contracts downloaded, over 34,000 were found defective(이더리움의 스마트계약 일부는 결험이라는 보고가 있다)
      •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다보면 안전하고 빠르게 배포할 수 있는 거래소에서 바로 보일 수 있는 구조가 되어 있는 쪽이 좋다고 생각한다.

EOS

  • Official: https://eos.io/
  • dApps Infrastructure
    • 사용자수가 많은 것을 이용하여 비용이 들지 않으며, 트랜잭션이 많아 사교적이고 불가역성을 통해 빨리 보장할 수 있는 Dapp는 필요하여 이를 해결해주는 사상
    • BitShares/Steemit에서 수천개의 TPS 실적이 있고 거기서 스핀아웃으로 생긴 블록체인이다.
  • 웹브라우저에서 어셈블리(기계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WebAssembly에서 컴파일한 것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언어로는 C/C++/Rust가 있다.
  • Abstract : The EOS.IO software introduces a new blockchain architecture designed to enable vertical and horizontal scaling of decentralized applications. This is achieved by creating an operating system-like construct upon which applications can be built. The software provides accounts, authentication, databases, a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the scheduling of applications across many of CPU cores or clusters. The resulting technology is a blockchain architecture that may ultimately scale to millions of transactions per second, eliminates user fees, and allows for quick and easy deployment and maintenance of decentralized applications , in the context of a governed blockchain.
  • 계정 권한 관리, sequential, parallel처리 성능, 확장성등의 백서
  • 거래수수료를 EOS에서 지불이 응용프로그램 제공측 또는 사용자측 또는 하이브리드형태로 각 앱에서 결정된다.
    • 사상적으로 user단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작성되어 있다.
  • 제대로 거버넌스 설계가 되어 있지 않는 것이 기존 블록체인의 약점이라고 하고, 그 디자인을 개선한 느낌이다.
    • A blockchain based on the EOS.IO software recognizes that power originates with the token holders who delegate that power to the block producers. The block producers are given limited and checked authority to freeze accounts, update defective applications, and propose hard forking changes to the underlying protocol

Monero

  • Official: https://getmonero.org/
  • In a few words : Private Digital Currency
  • Summary : Monero is cash for a connected world. It 's fast, private, and secure. With Monero, you are your own bank. You can spend safely, knowing that others can not see your balances or track your activity.
    • 프라이버시를 중요시하는 결제 공용 블록체인
    • sender와 receiver이외에는 transaction의 destination address나 amount를 모르게할 수 있다.
  • Hash: CryptoNight
    • ASIC이 아니더라도 적당하게 할 수 있다.
    • 좋든 나쁘든 마이닝코드를 사이트에 넣어서 마이닝도 할 수 있다.

Dash

  • Official: https://www.dash.org/
  • Digital Cash의 약어라고 우기고 있다.
  • Summary : Use Dash to make instant, private payments online or in-store using our secure open-source platform hosted by thousands of users around the world. (지불 관련 블록체인)
  • DAO
  • 체인을 형성하는 역할로 Miner와 Masternode 두가지가 있다.
    • 블록검증은 Miner
    • Masternode이 되기 위해서는 부수적으로 1000DASH가 필요함
  • Masternode의 역할 PrivateSend, InstantSend, Governance functions실행
    • PrivateSend: 일부 송금을 하나의 트랜잭션을 정리하여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가치 이동을 이해하기 어렵게 할때 (?)
    • InstantSend: near-instant transactions을 가능하게 되고, masternode network가 우선적으로 처리해준다. 여기서 판단할 수 없는 경우, 평소 블록생성시 validation flow에서 실행한다.
    • governance functions: masternode는 각자 1표를 가지고 Dash의 마일스톤 결정 및 채용이벤트등이 있을 때 투표할 수 있다. 각 안건은 다음 식을 만족시 통과된다고 한다. (YES VOTES - NO VOTES) > (TOTAL NUMBER OF MASTERNODES * 0.1)

IOTA

  • Official: https://iota.org/
  • 백서: http://iotatoken.com/IOTA_Whitepaper.pdf
  • next generation public distributed ledger. Tangle이라고 부르며, Directed Acyclic Graph에 따라 데이터구조가 특징이다.
  • 블록이나 체인, 마이너같은 것이 없기 때문에 블록체인은 아니다.

NEM

  • Official: https://nem.io/
  • New Economy Movement
  • 통화단위 XEM
  • 지불 가능
  • Consensus: PoI(Proof of Importance)
    • 마이닝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대신 수확이 있다.
      • 많이 가지고 있고 많이 사용하는 사람을 Important라고 하며, Important만큼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 등장인물 4가지
    • Flu노드(하베스팅이 있고 10,000XEM이상 가지고 있어야 함)
    • 슈퍼노드(3,000,000XEM이상 가지고 있어야 함)
      • 송금등의 처리를 할 서버로 일반적으로는 다른 체인에서 말하는 마이너책임을 가짐
      • 보상은 Flu골드에서 지불된다. 고갈된 경우 수수료에서 지급한다.
      • 600노드정도 존재한다.
    • NEM Foundation
  • 스마트계약 개념은 아니다.
    • 송금거래에 메시지를 매기기 때문에 payload로 사용할 수 있다
    • 자신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 V2라고 해도 좋은 Project Catapult가 진행한다
    • 대폭적인 성능 향상
    • 멀티레벨 및 Multisig
    • Aggregate Transactions
      • 여러개의 트랜잭션을 하나의 셋트로 정리하고 해당 당사자의 multisig가 완결된 경우, 모두에게 동시에 결제할 수 있는 기능

Tether

  • Official: https://tether.to/
  • 고정환율 토큰의 대표주자로 법정통화 한개 단위에 고정환율로 같은 양의 FIAT를 구입 및 Reserve로 보유함으로써 가치를 보장하고 있다 (PoR/Proof of Reserves)
    • 현재 두 종류의 고정환율 토큰을 발행
      • HK-based의 Tether Limited가 1USD에 고정환율된 USDT 발행
      • Swiss-based의 Smart Property Solutions SA가 1EUR에 고정환율된 EURT 발행
    • Tether Limited가 FIAT를 관리하는 은행 계좌 잔액을 매일 공개하고 있는지와 정기적으로 감사를 받아 reserve존재를 담보하고 있다.
  • Bitcoin Blockchain의 Omni Layer protocol에서 발행되기 때문에 비트코인과 같이 거래소와 지갑 취급이 가능하다.
  • 거래소의 기축 통화로 이용이 가능
    • Binance, OKex, Huobi, HitBTC, Bittrex, Poloniex, Kraken, Gate.io등에서 USDT의 trading pair가 가능
    • Binance에서는 다수의 ICO코인 trading pair가능
  • 기본적으로 가격변동은 ± 1%이하로 인지하고 있지만 종종 이슈가 있다
    • 2017년 4월말 Bitfinex의 USD입출금 정지가 되면서 Bitfinex와 관련이 있어 보였지만 Tether Limited의 USDT도 거래량이 급감했기 때문에 크게 약세를 기록함
    • 2018년 1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Bitfinex와 자회사의 Tether에 소환장을 발급하고 있었던 것이 발각되었다. 또한 감사법인Friedman과 제휴가 해지되었다고 발표했다. USDT대량 발행과 Bitfinex에서 BTC대량 구매현상이 관측된 적이 있어 Tether Limited신용이 하락하고 있다.

VeChain

  • Official: https://www.vechain.org/
  • leading global enterprise level public blockchain platform. VeChain aims to connect blockchain technology to the real world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governance structure, a robust economic model as well as advanced IoT integration, and pioneers in real world applications.
  • Comprehensive Governance
    • decentralization과 efficiency 균현을 잡고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본다. 빌트인 거버넌스 도구를 여러개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계약을 통해 KYC하는 방법등이 빌트인되어 있다.
  • Consensus: PoA(Proof of Authority)
    • 101 VeChain Foundation에 의해 하드웨어 및 보안요구사항을 심사 화이트리스트에 들어간 authority nodes에 의해 합의가 되는 구조
  • IoT와의 제휴가 장점
    • IoT기기업체 및 RFID, NFC태그 업체와의 파트너쉽이 다수 있고, VeChain에 데이터 저장을 공공히 하는 목적이 있음
  • 기축 코인 VET와 수수료용 VeThor
  • 스마트계약을 제3의 업체들이 만들 수 있는 방법은 2018년 6월경에 공개될 예정이라고 한다. Solidity가 지원된다.

TRON

  • Official: https://tron.network/enindex.html
  • 분산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플랫폼 : 다른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사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결제수단 제공
  • 아키텍쳐
    • DPoS(Delegated Proof of Stake): TRX보유수가 많은 노드가 마이너되지만, 자신의 보유수와 다른 노드에서의 투표에 의해 마이닝 난이도가 달라진다. 마이닝에서 얻은 보상은 그 마이너에 투표한 노드에 분배된다. 마이너의 수가 적기 때문에 승인 속도가 빠르다.
    • KhaosDB: 여러개의 마이너가 동시에 승인에 성공시, 그 노드를 블록에 기록하고 나중에 긴것을 메인체인으로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인속도가 담보된다.
    • Java로 계약을 작성할 수 있다. 앞으로는 더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도 지원할 예정이다.
  • 사용 예
  • 백서는 매칭 응용프로그램, 온라인 게임, 파일 공유에 언급
  • 현재 개발된 Dapps 일부
    • Peiwo: 10만 사용자를 가진 음성 SNS
    • Obike: 싱가폴 자전거 서비스
    • Uplive: 20만 사용자를 가진 라이브 스트리밍 PF
    • Gifto: 가상 선물교환 PF
  • 2017년 9월 Binance에서 ICO를 실시하여 $70만달러 조달
    • 현재 market cap은 $367만달러, 전체 가상 통화로는 13위
  • 알리바바 마윈도 인정한 CEO Justin Sun으로 알리바바와의 연계에 더 기대가 크고 Peiwo 대표이며, Ripple Labs고문이다.

OmiseGo

  • Unbank the banked with Ethereum -Decentralized Exchange and Payments Platform
  • Official : https://omisego.network/
  • 백서: https://cdn.omise.co/omg/whitepaper.pdf
  •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Plasma라는 신기술을 활용하여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결제 플랫폼을 구축하는 프로젝트이다.
    • 주요 목적: 은행계좌에 접근할 수 있는 계층에 송금수단을 제공하는 것과 다른 지불 게이트웨이 사이를 연결하여 모든 네트워크끼리의 가치 교환을 가능하게 함
  • OMG체인과 이더리움
    • OmiseGo체인의 모든 결정 조작(결제)을 실제 최종 송금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위임된다.
    • OMG체인 합의 알고리즘 : PoS(Proof of Stake)
    • 가치교환 매개체로 Ether가 사용
  • Plasma
    • 트랜잭션 프로그램 일부를 해제 체인에 작성하여 확장성 문제를 해결한다. VISA 네트워크에 비해 처리속도를 구현하였다.
    • OmiseGo가 최초 Plasma 프로젝트에서 현재 미구현됨
  • OMG wallet: FIAT, 가상화폐, 포인트등의 P2P트랜잭션 수
  • White Label Wallet SDK: OMG체인에 자신의 지갑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장비
  • DEX
  • 이미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서비스 실적이 호화롭다
    • OmiseGo는 Omise를 모체로 하는 자회사로 2013년 설립된 Omise는 태국에서 온라인 결제서비스 제공하고 있다.
    • CEP가 하세가와 준
    • Ethereum Foundation의 Vitalik, Gavin Wood도 참가

ICON

  • 목적: 원래 프라이빗 블록체인 솔루션으로 TheLoop사가 제공하는 loopchain을 사용하여 다른 지배구조를 가지는 여러가지 체인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
    • 블록체인에서 요구하는 거버넌스 사양은 각각 다르지만 그 사이 연결을 필요로 합니다.
  • Official: https://icon.foundation/?lang=en
  • 백서: https://icon.foundation/resources/whitepaper/ICON-Whitepaper-KO-Draft.pdf
  • ICON은 5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Community, C-Node, C-Rep, ICON republic, Citizen Node가 있다.
    • Community: 동일한 거버넌스 체제하에서 여러개의 노드로 구성된 시스템을 말함(예: 은행연합, 증권사 등)
    • C-Node: 각 Community의 구성원인 노드이며, 각 Community합의 또는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Community에 의한 개인 및 기업이 있다. 예 각 은행 등
    • C-Rep: ICON특징으로 각 Community대표 구성원과 같은 존재로 각 Community에서 선출된 구성노드에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ICON Republic 거버넌스를 한다. (트랜잭션 승인 및 결정) 어떻게 C-Rep을 선출하거나 변경하느냐는 Community 거버넌스에 달려 있다.
    • ICON Republic: C-Rep 및 기타 Citizen Node로 구성되어 있는 여러가지 Comminity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ICON Republic 자체의 지배구조는 C-Rep의 투표로 이루어지고 분산되어 있다. ICON Republic은 각각의 Community결정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 Citizen Node: ICOn Republic의 구성원이지만, C-Rep같은 투표권은 가지고 있지 않다.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loopchain에 구축된 Dapps가 Citizen Node에 익숙한 특정조건을 만족시키면 C-Rep도 될 수 있다.
  • DEX로 ICON
    • ICON Republic 내 노드 ICON Republic - Community, Community - Community간 의사소통이 가능
  • loopchain에 대해
    • LFT(Loop Fault Tolerance): enhanced BFT(Byzantine Fault Tolerance) 26-based 알고리즘
    • Tiered System: 노드에 여러가지 권한을 적용할 수 있다 (특별 권한이 있는 노드)
    • 스마트계약
  • ICX토큰
아래 설명이 없는 것은 필자가 좀더 스터디와 자료 수집하면서 추가를 계속할 예정입니다.

Ethereum Classic

 

Lisk

 

Nano

 

Qtum

 

Bitcoin Gold

 

Binance Coin

 

DigixDAO

 

Zcash

 

Populous

 

Waves

 

Steem

 

Bytecoin

 

Verge

 

Stratis

 

Maker

 

RChain

 

Dogecoin

 

BitShares

 

Siacoin

 

Aeternity

 

Decred

 

Status

 

Bytom

 

Ontology

 

Waltonchain

 

Komodo

 

Ardor

 

Zilliqa

 

Ark

 

Aion

 

0x

S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