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STEEMIT 댄 라리머표 블럭체인의 스케일링 능력들.

in #coinkorea7 years ago

DCC5FB08-0881-414A-9C05-3EE8DE3176E6.jpeg
http://blocktivity.info/
이미 팀에서 떠나간 개발자를 엮어서 얘기하는 건 현 개발자들에겐 실례되는 일이겠으나,워낙 상징적인 인물이다 보니 언급을 하게 된다.

https://steemit.com/steem/@steemitblog/digital-kitties-on-steem-how-would-the-steem-blockchain-handle-700-000-transactions-per-day
위의 포스트를 보고,고양이개체수 문제로 홍역을 앓고 있는 이더리움을 보자니,다시 한번 트랜잭션처리능력 즉,스케일링에 관해 관심이 가게 된다.

위의 그림에서 Activity는 24시간동안 발생한 트랜잭션수.
1위인 스팀잇은 98만,거의 백만의 트랜잭션이 일어났으나 한계치의 0.4%로 기록되고 있다.
2위인 이더리움은 72만개의 트랜잭션이 일어났고 이미 과부하상태.
3위인 비트쉐어 BTS는 50만개의 트랜잭션,그리고 이는 한계치의 0.17%다.
DPOS의 위엄인가...다르게 보면 Pow블럭체인으로서 저정도 처리능력을 보여주는 이더리움의 성능역시 무시 못할것 같긴하다.

개인적으로 이런 통계를 좋아한다.스펙상으로만 스케일링 능력을 자랑하는 것이 아니라,실제로 활용됨으로서 그 능력을 증명까지 해주는 통계다.스팀잇 만큼 실사용되고 있는 암호화폐표 블럭체인이 또 있을까 싶다.
물론 24시간 기준의 트랜잭션이므로,초당 트랜잭션 얘기로 들어가면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다.

Eos가 어떻게 나올지는 몰라도,스케일링 능력 하나는 믿어봐도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Sort:  

스팀 대단하군요.. 사용하면서도 이런건 모르고 있었습니다. 스케일링이 트랜잭션 처리능력을 의미 하는거군요. 배우고갑니다 ^^

도움이 됐다니 기쁩니다.

이더리움이 과부하로 나오는데.. 그래도 이더리움의 성능이 대단하다고 하시는 이유는 무엇인지 조금더 설명해 주실수 있으신가요??^^

물론 과부하 상태이긴 하나 처리한 트랜잭션 수가70만개 입니다.그리고 밀린수가 1만개 정도입니다.
비트코인은 40만개에서 과부하가 걸리는 중이죠.밀린수는 10만정도입니다.
처리능력이 1.5배정도 되는 셈이죠.

직관적인 데이타와 표현이 완전 와닿네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Thanks for sharing! A link to your post was included in the Steem.center wiki page in korean 댄 라리머. Thanks and good luck ag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