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대니얼 래리머는 EOS에서 1초 이내의 지연시간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in #coinkorea7 years ago (edited)

eos-logo.jpg

지난 몇 년간 암호화폐 분야를 지켜봐온 사람이라면 댄 래리머라는 이름이 친숙할 것입니다. 비트코인에 대한 그의 참여는 사토시 나카모토가 초창기에 올린 포럼 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제, 댄 래리머는 블록체인 자체의 한계를 극복하려 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 암호화폐들이 명백하게 많은 탄력을 받는 동안, 우리는 트랜잭션 시간이 각 블록체인들의 가용량을 초과할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근본적으로 각 블록체인들은 그들의 대역폭과 하드웨어, 그리고 전반적인 설계의 한계 때문에 이러한 결핍을 만들 수 밖에 없습니다.

지난 몇년간 우리가 지켜본것 처럼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둘다 그들의 네트워크 활동량이 절정에 달할때 그들의 트랜잭션 한계에 도달해왔고, 사용자들의 그들의 토큰에 접근하는 능력에 중대한 부하가 가해졌습니다. 이는 지연과 높은수수료 그리고 많은 미확인 트랜잭션을 낳았습니다. 래리머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그가 개발한 DPOS(Delegated Proof of Stake)를 오랫동안 변호해왔습니다. 하지만 이 기술은 20-100 개의 검증자에 의존하면 지나치게 중앙화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의해 과거부터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이 부분은 래리머에 의해서 여러번 답변 되었습니다. DPOS는 다른 블록체인처럼 부(wealth)를 선택기준으로 삼지 않음으로써 "가장 탈중앙화되었다"고 말입니다.

현재, 댄은 아직 런칭되지 않은 EOS 플랫폼에 그의 노력을 쏟고 있으며, 진정한 차세대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EOS를 위해 개발중인 많은 기능들은 그가 진행했던 두 개의 프로젝트를 통해 초창기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비트쉐어(Bitshares, 2014)와 스팀(Steem, 2016)을 통해 댄은 블록체인의 가용량을 극적으로 늘리는데 오랫동안 집중하여 그들의 잠재된 성능에 도달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초당 20 트랜잭션밖에 처리할 수 없는 이더리움에 비교하여, 비트쉐어는 마운틴곡스 붕괴 당시 초당 10만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 트랜잭션 속도와 유연성은 댄의 다음프로젝트인 스팀에 적용되었습니다. 추가로 스팀은 "대역폭 모델"을 도입하여 모든 트랜잭션 비용을 완벽히 제거하였고, 이를 통해 블록체인의 미래에 한걸음 더 다가갔습니다. 수수료를 통해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전통적인 작업증명(Proof of Work)와는 다르게, 스팀의 대역폭 모델은 네트워크 가용량을 화폐를 보유한 사용자들에게 나누어주어 스팸을 방지합니다. 이는 통해 스팀에서는 보팅과 같은 행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걸리는 시간을 충분히 줄여 새로운 사용자가 블록체인의 기술적 세부사항에 압도당하지 않게 합니다.

댄의 새로운 프로젝트인 EOS는 이러한 모든 기술들을 자본화하는 것을 목표로 할 뿐 아니라, 비동기 통신을 통한 병렬실행을 허용합니다. 이는 이전의 속도제한 기능의 주요한 발전입니다. 바로 이번주(2017-10-17)에 댄은 공식 텔레그램 채널을 통해 EOS가 블록생성주기가 1초 이내이고 500 밀리초 수준까지 낮아질 수 있는 최초의 블록체인이 될 것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 근본적으로 사용자가 트랜잭션을 발생시켰을 때 이것이 처리되는 것이 비트코인의 경우 10분인것과 대조적으로, EOS는 계속 1초 이내를 유지할 수 있음을 뜻합니다.

이렇게 칭찬한 진보들이 성과를 낸다고 가정할 때 이는 블록체인이 동작하는 방식에 중대한 변화가 될 수 있으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들이 플랫폼에 런칭되면 EOS가격이 크게 상승하게 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것에는 언제나 큰 리스크가 따르지만, 댄 래리머의 새 설계는 산업 전체를 뒤엎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면책사항: 이 글은 후원을 받아 쓰여졌습니다.


원글은 2017년 10월 17일에 더머클에 올라온 글로서 블록체인 계에서 DPOS가 가지는 의미와 간단한 역사, 그리고 그 끝나지 않는 진화를 살펴볼 수 있는 글입니다.

후원까지 해서 머클에 실을 정도면 꽤나 알리고 싶은 내용일 것 같기도 하고, 다음 글에서 소개할 내용의 좋은 티저인것 같아 오랜만에 통째 번역을 해보았습니다. 아쉽게도 번역자가 후원을 받은것은 아닙니다...

다음 글에서 현재 EOS가 도달한 영역을 살펴보고, 미래에 도달할 영역까지도 살짝 들여다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Sort: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좋은 번역 감사드립니다. : )

정말 좋은 정보감사합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