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EOS과부하 시사점] DAPP들은 결국 퍼블릭체인(EOS,이더리움 등)에서 독립할 것이다.

in #coinkorea6 years ago

현재 KOREOS 텔레그램 채널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을 전달합니다. :-)

  1. EOS 네트워크가 한산할 경우, 각 계정은 CPU & NET 실제 허용량의 1,000배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2. 따라서 50,000 EOS를 스테이킹한 blocktwitter는 최대 50,000,000 EOS를 스테이킹한 것과 같은 CPU & NET 허용량을 가진다.
  3. blocktwitter는 이를 일시에 사용하여 병목 현상을 발생시킨다.

해결 방안으로는,

  1. 활성화된 DApp이 많아져서 네트워크가 지속적으로 붐빈다.
  2. 자원 임대 시장 DApp(친타이, REX)을 통해 DApp 개발사가 필요한 자원을 저렴하게 임대받아 이를 유저가 이용하도록 한다.
  3. 따라서 blocktwitter는 병목 현상을 일으킬만큼 CPU & NET 허용량을 할당받지 못한다.

더하여, EOS 메인 체인에 병렬처리, 멀티사이드체인 적용 등으로도 이를 바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만, EOS 메인 체인에 더욱 많은 DApp이 활성화된다면, 그리고 자원 임대 시장이 도입된다면,
현재 메인 체인의 자원량만으로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는 계산이기에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알아요.


코리오스 텔레그램 채널에서 다뤄진 내용을 편집하여 올리는 것임을 다시 알립니다. :-)

Sort:  

제 글의 논지는 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냐 없냐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 문제 많던 이더리움조차도 그 문제 하나하나에 대한 대응책은 그때그때 마련했었지요.

문제는 근본적인 시스템임을 지적하는 겁니다.
친타이, REX 솔루션을 사용하더라도 퍼블릭체인의 과부하는 발생불가능한게 아닙니다.

기존에 중앙 서버로도 잘 돌아가고 있던 시스템을 굳이 블록체인으로 다 끌어와서
일반 사용자는 사용하지도 못할 정도의 불편함을 가진 DAPP들을 통해 세상을 바꿔보려고 하는 블록체인 업계의 현실이 안타까워 쓴 글입니다.

네 :-) 원래 설계되었던 대로 진행되고 있는 것임을 알리려고 한 것이어요. 멀티체인 등의 해결 방안도 처음부터 설계되어있던 내용이구요.

더하여, 말씀하신 것처럼 '굳이 왜 블록체인에'라는 질문을 해결하지 못한 DApp은 자연히 도태될 것으로 동의합니다!

불편함은 존재하지만 DEX같은 좋은기능이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