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왜 스테이블 코인은 비트코인의 변동성에 해결책이 되지 못하는가.

in #coinkorea6 years ago

테더와 같은 새로운 암호화폐는 달러와 같은 법정화폐에 페깅되어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여전히 큰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암호화폐에 대해서 열광하는 정도가 최고치에 달한 지금, 새로운 것들이 계속해서 나오고있다. 이중에서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당연히 “스테이블 코인”이다. 테더(Tether), 베이시스(Basis), 사가(Saga)와 같은 것들이 바로 그것인데. 이들의 가치는 달러나 유로, 또는 다른 국가의 법정화폐에 묶여있다.

이러한 종류의 코인들이 가지고 있는 매력은 분명하다. 가치 저장, 계산의 단위, 그리고 지불 수단을 제공하는 실존하는 돈이라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비트코인과 같은 전통적인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굉장히 심하고, 이런 불안정한 가격을 가지고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의 변동성은 비트코인의 구매력이 굉장히 불안정하다는 뜻이고, 계산의 단위로써 매우 매력적이지 않은 화폐임이 분명하다.

어떤 소상공인도 개념이라는 것이 있다면 비트코인으로 자신들의 재화를 비트코인으로 가격을 매기지 않을 것이다. 어떤 노동자도 자신의 노동에 대한 급여를 비트코인의 단위로 받고싶지 않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비트코인이 시장에 유통되는 재화와 용역을 구매할 수 있는 권한이 매우 심하게 변동하기 때문에 가치 저장의 수단으로써도 탈락이다(암호화폐는 지불 수단으로써도 상당히 문제점이 많은데 일단 이건 제쳐놓자).

스테이블 코인들은 이러한 암호화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나왔다. 그들의 가치는 굉장히 일정하고, 테더와 같은 코인은 달러로 정의되기 때문에 가치 저장의 수단으로도 굉장히 매력적이고 어떠한 투기적 수단으로 쓰일 요소도 거의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들이 성공할 것이라는 건 아니다. 왜 그런지 알기 위해선 일단 스테이블 코인을 세 가지로 분류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 스테이블 코인은 완벽하게 지급이 준비되는 타입이다. 발행자는 발행하는 코인에 해당되는 가치를 가진 준비금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테더가 바로 이 예시다. 테더는 발행하는 코인의 갯수만큼에 해당하는 달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주장의 진실성에 대해선 많은 의의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모델은 또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비용이다. 1 달러의 가치를 가진 테더를 발행하기 위해선, 이 플렛폼은 1달러에 해당되는 자본을 당신이나 나에게 투자받아야한다. 그리고 암호화폐는 특성상 그 가치의 보장이 아직까진 굉장히 미심쩍기 때문에 우리들 중 누군가는 이걸 미국 정부의 신용과 믿음에 근거한 유동적인 달러로 교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교환 행위는 탈세를 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겠지만 다른 이들에겐 잘 모르겠다. 이러한 모델이 규모가 커질지도 의문이고, 정부가 허락할지에 대한 여부도 불분명하다.

두 번째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는 지급이 절반만 지급되는 타입이다. 이 경우에 플렛폼은 달러의 약 절반에 해당되는 준비금을 들고있다. 즉, 총 발행량의 절반 정도만 들고있는 경우다.

여기서 생기는 문제는 지금 부분 지급제도를 진행하는 시중 은행들이 야기하는 문제와 같다. 만약 이 스테이블 코인을 가진 사람이, 근본적인 가치에 의심을 품고 자신의 코인을 판매하면, 플렛폼은 1달러로 해당 코인을 사들여야 한다. 하지만 이 플렛폼이 가진 달러의 양은 한정적이라 만약 다른 투자자들도 돈을 돌려받기 원하게 되고, 그 양이 플렛폼이 가진 달러의 양을 초과하게 되면 해당 플렛폼은 파산하게 된다. 시중 은행에 이런 일이 벌어지면 이를 ‘뱅크런’이라고 한다.

세 번째 타입의 스테이블 코인은 해당 코인에 대한 지급제도가 아예 없는 경우다. 이런 경우 굉장히 문제가 많은데. 이 경우엔 플렛폼은 암호화폐만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 암호채권도 발행한다. 그래서 만약 해당 화폐의 가격이 떨어지면, 플렛폼은 채권을 팔아 화폐를 사들여 가격을 올린다. 채권은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되기에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다가와야 한다 그래서 ‘이상적으로는’ 채권의 가격이 올라가야 한다. 그리고 플렛폼은 채권을 들고있는 투자자들에게 추가적으로 발행되는 암호화폐의 이자를 지급하기로 약속하기 때문에 충분히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 상품으로 다가온다.

하지만 여기에도 중앙은행이 야기하는 문제와 근본적으로 같은 문제점이 있는데. 플렛폼이 제공하는 채권은 플렛폼의 성장에 따른 것이다. 그리고 플렛폼의 성장은 보장되지 않았다. 만약 플렛폼이 불확신한 결과를 낸다면, 채권의 가격은 떨어진다. 그러면 더 많은 채권이 발행되어야 하며, 이렇게 되면 이자에 대한 의무에 대한 책임을 지기가 더 힘들어진다.

이렇게 계속되면 결국 채권에 대한 매력을 떨어트려 궁극적으로 해당 화폐에 대한 가치도 보증할 수 없게 되고, 무너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중앙은행 관료들과 이야기를 해보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알고있는 현상일 것이지만, 스테이블 코인을 만드는 엔지니어가 알 수 있다는 뜻은 아니며, 이러한 코인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 당연하게 다가오는 현상도 아니다.

본 글은 Barry Eichengreen UC 버클리 경제학 교수의 글을 번역한 것이며 원 글은 여기서 보실 수 있습니다.

Sort:  

dai는 어떤가요?

처음 들어보는 화폐네용

개인적으로는 스테이블 코인 중에서는 가장 그럴듯한 설계라고 생각합니다. https://makerdao.com

번역 깔끔하게 잘하셨네요 잘 봤습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스테이블코인 마일(Mile) 도 관심 가져주세요~
비트포렉스에 이번주 상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