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카르다노(Cardano, ADA) 탐구: 지분 증명(POS)의 한계와 우로보로스(Ouroboros)

in #coinkorea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말씀하시는 것처럼 처벌하는 프로토콜은 이더리움 캐스퍼로 대충 스터디한 적이 있기는 합니다. 또, DPOS에서도 증인끼리 이중 채굴을 하는 행위를 서로 견제할 수 있으니 해결 가능하다고 언급하더군요.
근데 저는 그래도 잘 이해가 안되더라고요. 제 관점에서 작은 규모(?)의 이중채굴(그러니까 채굴단계에서 얼마든지 생길 수 있는 포크에 대한 이중 채굴)은 Nothing at stake 문제로 보지 않습니다. 저는 비트코인 캐시, 골드, 다이아 등과 같은 메이저 하드포크에서 발생하는 이중채굴을 POS가 효과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지를 문제로 보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블록타임에 대해서는 말씀하신 부분이 맞습니다. 사실 블록타임이 긴 주된 이유가 코인토싱인 것은 아니긴 합니다. 이것은 다음편에서 자세히 다루어볼 예정입니다. 간략히는 제 글 초입에 언급한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어본 적 있습니다 :)
읽어주시고 좋은 의견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Sort:  

메이저 하드포크를 막느냐 안막느냐는 프로토콜 설계자의 철학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사실 저도 캐스퍼 자료로만 PoS를 얕게 공부했는데요, 캐스퍼의 처벌 프로토콜대로라면 포크를 하는 사람들이 원래의 이더리움 체인에서 가지고 있는 지분에는 많은 손실이 생길 것입니다. 그런 피해를 감수하고도 포크를 하겠다면 포크를 하라는게 이더리움 팀의 철학이지 않나 싶습니다. 비탈릭도 이런 트윗을 남겼었습니다. 하드포크가 불가능한(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코인들도 본 적이 있는 것 같은데, 그건 그 팀의 철학인 것 같구요. 사실 저도 잘 모르는 부분이라 확신은 없지만요..

알려주신 트윗은 잘보았습니다. 흥미롭네요. 비탈릭은 댄 라리머와 많은 부분에서 비슷한 철학을 가지고 있군요.

그런데 알려주신 글이 2017년 3월이면 사실 조금 된 글이라, 비탈릭이 어떤 의도로 글을 올린 것인지 명확하지가 않네요. POW에 한해 하드포크는 자유경쟁인데 왜 무서워하는지에 대한 질문인지, POS도 아우르는 질문인지 모호해보입니다.

일례로 댓글을 살펴보면, ETC 하드포크는 비탈릭도 문제라고 보고 있습니다. 세그윗에서 하드포크가 일어나는 것은 자유경쟁이니 두려워할 것이 없다고 보고 있지만, ETC에 대한 관점은 부정적이어 보입니다.

또한 하드포크 코인 앞에서 이중 채굴의 기준은 굉장히 모호해집니다. 누군가 ETH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포크를 해 ECH를 발행합니다. 모든 잔고 내역은 그대로 두고요. 명백히 다른 목표를 가지고,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겠다는 코인입니다.

ETH 채굴 커뮤니티는 ECH도 채굴하는 사람의 스테이크를 차감하겠다는 명분이 있을까요? 캐스퍼 처벌 프로토콜은 악의적 하드포크(해킹)를 막기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다. 하드포크 코인을 금지할 명분까지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사실 저는 위 질문에 대한 답을 아직 얻지 못했습니다. 제재하자니, 발전 가능성을 저해하는 보수적 마인드 인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인정하자니, 구색만 갖춰서 포크를 하겠다고 나타날 코인들이 넘쳐날 것이 눈에 보입니다.

필요 없는 정크들은 커뮤니티에게 외면받아 알아서 사라져주면 좋겠지만, 그럴리도 없습니다. POW 포크 코인과는 달리, POS 포크 코인은 이중 채굴이 되니까요..

제 의견을 풀어쓰자면 위와 같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실런지 모르겠네요. 재밌는 논의를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