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코인비평) 라인(LINE)의 링크(LINK) 추가 분석

in #dclick6 years ago (edited)

1링크의 가치를 미화 5달러(한화 약 5천원)로 보장한다고 하길래, 그 정책은 단순히 1링크 : 미화 5달러의 가격 결정pricing) 정책이 아니라 가치 보장(guarantee) 정책이며, 그들은 라인 거래소 안에서도 미화 5달러의 가격을 방어할 것으로 이해했는데, 아닌가 보네요.

라인의 거래소에서 1링크의 가격이 미화 5달러(이해의 편의를 위해 환율 변동은 고려 대상에서 제외)에서 아래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자는 손해가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네요.

나는 금태환의 경우처럼 라인 거래소에서 1링크를 제시하면 라인이 보유한 자본력으로 무조건 미화 5달러 이상으로 교환하거나 가격 하락분을 보상하는 것을 보장(보증?)하는 것으로 오해했네요.

라인 디앱 생태계 안에서는 1링크당 미화 5달러에 해당하는 가격 이상으로 교환하도록 강제하겠다는 것이므로, 소비자로서는 제품이든 서비스든 라인 콘텐츠를 구매하려면 거래소에서 링크를 싸게 사서 디앱에서 최저 미화 5달러의 가격으로 (비싸게 팔아) fiat money로 가격이 표시된 제품 또는 서비스 등 콘텐츠를 구매하려고 하겠네요. 콘텐츠를 구매하려고 한다면요.

라인 사람들, 머리 좋네요. 프로그램 개발, 운영만으로 천문학적인 돈을 반대급부 없이 융통하려고 하니 말이에요. 하긴 스팀 등 가상통화가 다 그렇긴 하네요,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