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코인비평) 라인(LINE)의 링크(LINK) 추가 분석

in #dclick6 years ago (edited)

링크는 라인 생태계에서 이런 식으로 쓰일 수 있다고 합니다.

  • 커머스: 상품 및 서비스 구매, 할인 혜택, 페이백 등
  • 소셜: 인앱 서비스 결제, 개인 간 송금 서비스 등
  • 게임: 게임 내 아이템 구매, 캐릭터 강화 등
  • 거래소: 비트박스 등의 거래소 내 수수료 지불, 수수료 할인, 암호화폐 거래 등

예를 들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가치가 1달러가 되어도 라인 생태계 서비스를 5달러어치 이용할 수 있으면 5달러 가치가 있는게 아니냐는 말입니다.


만약 라인 생태계를 달러로도 이용할 수 있고 링크로도 이용할 수 있는 상태에서 위와 같은 일이 일어나면 라인 생태계에서 달러결제(혹은 모든 Fiat money 결제)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 링크로 환전해서 사용하는게 5배 이득이니까요..

이건 링크 가격을 5달러어치 상품으로 보장한게 아닙니다. 모든 서비스의 가격을 링크로 결제할때만 1/5로 할인한 것이지요.

이렇게 되면 실제 Fiat money 결제 시스템을 유지할 수도 없고, 심하면 회사의 서비스를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링크 가격에 회사의 목숨을 건 것과 마찬가지라 장기적으로 실행이 불가능합니다.

만약 라인 생태계에서 링크만 사용이 가능하고 1링크로 어떤 서비스를 이용했는데 그 가치가 5달러라고 라인이 주장한다고 칩시다.

이건 아무 의미가 없는 말일 뿐입니다. 그 서비스의 가치가 5달러인지 어떻게 아나요? 라인 생태계에 유일한 화폐는 링크인데... 이건 마치 빌린돈 100만원 대신 내가 입던 옷 1벌을 주고 "이거 100만원 가치가 있는 것이니 빚 대신 이거 가져가.." 하는 것과 똑 같습니다.

결국 1링크에 5달러 가치를 보장한다는 것은 거래소에서 1링크를 최소 5달러로 바꿀 수 있다는 말이어야 합니다.

1링크에 5달러어치 상품으로 보장한다는 말은 사람을 원숭이로 보는 소리입니다. 그 상품이 5달러 어치인지 어떻게 알겠습니까? 자기가 매긴 가격이 그대로 상품의 가치가 되나요?

5달러 어치 금으로 바꿔줄 게 아니라면 결국 말장난일 뿐입니다.

Sort: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