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센터넷(Decenternet) VS 인터넷(Internet)

117.jpg

허위정보는 무언가를 지배하는 교묘한 마력이 있다. 인류의 현황에 대한 통찰을 위해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의 예시를 들고자 한다. 소크라테스는 플라톤에게 평생을 창이 없는 벽과 마주 보고 묶여있는 죄수자에 대해 묘사했다. 죄수자 등 뒤에는 불이 있어, 벽에 비친 여러 그림자를 보고 즐거워하거나 집착하곤 한다.

동굴에서 석방이 된 죄수자는 등 뒤에 불 대신 태양을 보고 나서야 그림자가 현실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며, 동굴 밖이 자신들이 상상한 세계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동굴 벽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불처럼 인간은 감각을 통해 인식되는 것에 큰 영향을 받는다.

대중은 더 이상 그들에게 보여지는 그림자와 같은 조작된 현실이 아닌 진정한 현실을 깨달을 수 있다. 갇힌 죄수자는 동굴이란 감옥을 떠날 생각이 없으며, 동굴 밖의 현실을 상상조차 할 수 없지만, 밖을 나가게 됨과 동시에 각성하게 된다. 죄수자가 족쇄를 풀고 도망칠 수 없던 것과 같이, 대중 또한 사회라는 한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탈출과 동시에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가 펼쳐질 것이며, 다른 영역에 도달할 것이다. 그 결과물이 디센터넷이 성취할 세계이다.

사회의 기본적 인프라에 대한 의문은 의심, 공포, 제한의 사슬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능성을 경험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이어진다. 인터넷이라는 인프라를 통해 세계 대부분의 정보를 접할 수 있으며 그 정보는 삶의 근본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과연 진정 지금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인프라가 광범위하게 펼쳐진 세밀한 정보까지 다루게끔 설계가 되어 있을까?

ARE YOU BOLD ENOUGH TO SEE THE TRUTH?
IF SO, PROCEED WITH CONFIDENCE.

https://decenternet.com/

0.png

Sort:  

안녕하세요 fisheyelens 님 무ㅐㅜㅛㅡㅐㅕㄴ 입니다. telegram triggah61으로 메세지 한개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