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IO 공개키 정상 등록 확인 절차(이더스캔 활용)

in #eos6 years ago (edited)

이더 스캔 활용 EOS.IO 키등록이 궁금하신분은 따라 해보시면 됩니다.

개인키랑 공개키가 쌍으로 존재하고, 상호 검증이 가능하고, 개인키로 공개키 생성가능하나 공개키로 개인키를 생상 하는건 불가하다고 보시면 됩니다.(선택적이라 그렇습니다. 소수집합중에 선택이라 수학적인건 나중에 책보고 다시..;;)

전제는 메타에 이오스가 있어서 EOS.IO에 등록까지 했는데 제대로 키가 등록되었나 궁금하다.

이더 스캔 본인 지갑으로 들어가보시면

본인 지갑에서 EOSCrowdsale로 트랜잭션이 이루어진 내용이 있습니다.

캡처 1.JPG

해당 TxHash 값을 누르면
overview에 뭔가가 보입니다.
아래는 입력 데이터 입니다. 지갑에서 공개키를 보냈네요?

캡처2.JPG

EOS.IO에서 메타마스크 제어권을 가지고 생성한 공개키를 등록요청을 메타에서 실행토록 진행했습니다.

캡처3.JPG

위에 HEX로 표시된 5줄을 맨 아래 2개를 text로 바꿔서 붙여보면 EOS.IO에서 등록시 생성된 공개키랑 같음을 알수있습니다.

4th line(text) + 5th line(text) = EOS.IO 공개키(public key)

참고로 첫번째는 지갑 주소입니다.(addr로 바꿔보시거나 그냥 앞에 0다 빼보면 지갑 주소랑 같음을 알수 있습니다.),

2,3번째는 잘 모르겟네요.

찾아서 알려드리려고 했는데 ㅎㅎ

코인 전환을 한번도 해본적이 없어서 아마 메타에서 개인키로 서명한 데이터를 EOS.IO서버에서 검증했고 정식 등록했으니 다시 공개키로 암호화해서 메타에서 개인키로 풀면 해결될거 같긴한데 이부분은 로직을 잘몰라서(사실 스마트 컨트렉트도 어렵네요.ㅠ.ㅠ 메인넷이후에 다시 확인해서 공유드릴게요.)

아무튼 이과정으로 공개키가 같다면 정상 등록된것으로 알수 있습니다.

-끝-

아래는 마이이더월렛 등록 법이라는데 그냥 구조 이해하는데 참고했습니다.

참고 정보 : https://bitcointalk.org/index.php?topic=3869594.0

**완전한 내용은 아니고 제가 알고 있는 구조로 설명한 내용입니다.

**개정할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