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두's 코인 :: 이오스, 에버리피디아를 품다 # IQ 토큰 드랍 SOON # EOS 토큰 등록은 당장에 필요없다!

in #eos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호두(@hoduleader)입니다 :>

이제 에버리피디아의 IQ토큰 에어드랍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에버리피디아의 운영자인 Sam Kazemian EOS 보유자들에게 IQ토큰과 EOS의 교환 비율이 1대1 이상이 될 것이라고 텔레그램에서 공식적으로 언급했습니다.


koreos.io참조

조만간 정확한 토큰 발행량이 공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에버리피디아에 대한 설명은 지난글을 참조 부탁드립니다.
(https://steemit.com/kr/@hoduleader/s-eos-dapp-dac)

조금 내용을 수정하자면

Everipedia is a for-profit, wiki-based online encyclopedia[1] launched in December 2014[3] as a fork of Wikipedia.[18] The site's name is a portmanteau of the words "everything" and "encyclopedia."[19] The website is owned by Everipedia, Inc.[5] The company is headquartered in Westwood, Los Angeles, California.[4] As of December 2017, Everipedia is the biggest English-language encyclopedia,[20] according to The Next Web, and has over six million articles, according to The Block.[21] The site allows for a significantly larger range of articles than in the English Wikipedia because its inclusion criteria for notability are lower.[10]

Everipedia was co-founded by Sam Kazemian, Theodor Forselius, Travis Moore, Mahbod Moghadam,[7] George Beall,[8] and Christian Deciga,[9] with Kazemian serving as president,[22] Forselius serving as chief executive officer,[6] Moore serving as chief technology officer,[6] Moghadam serving as community manager,[23] and Deciga serving as executive editor[3] and iOS developer.[24] In December 2017, the site announced that co-founder of Wikipedia Larry Sanger joined as chief information officer.[11]

Everipedia는 위키피디아를 표방한다기 보다는,

2014 년 12 월에 Wikipedia의 포크로 시작된 위키 기반 온라인 백과 사전입니다. 2017년 12월 기준 한 전문기업(NEXTWEB)에 따르면 현재 가장 큰 백과사전 이라고 합니다.

에버리피디아의 토큰인 IQ토큰을 받기위해서 당장에 EOS를 보관하고 있는 곳의 주소를 EOS공개키 등록을 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indend007님 글 참조: https://steemit.com/coinkorea/@indend007/7uyaui-eos)

여기서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ERC20토큰의 개념과 EOS공개키 등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ERC20 토큰

ERC20이란, Ethereum Request for Comment 20의 약자입니다.
이더리움 위에서 발행되는 토큰의 표준을 정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간단합니다.
즉, 별도의 블록체인을 가지려면 생태계가 어느 정도 구축되어야 하는데 새로운 코인이 생태계나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자금이 없기에 이더리움의 블록체인을 사용하여(빌려서) 토큰의 형태로 코인을 발행하는 것입니다.
또한 Dapp들의 경우에도 동일한 형태로(사유는 다르겠지만) 토큰의 형태로 코인을 발행하게 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토큰은 "아직 각자의 블록체인을 가지지 못한 코인이전의 단계" 라고 이해하면 되며,

코인은 "메인넷 이후(블록체인 생태계를 이룬 후) 각자의 블록체인을 가진 코인의 단계"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EOS 공개키 등록

EOS는 6월즈음 ICO가 끝나고 메인넷이 런칭이 되게 됩니다.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만, EOS 토큰이 발행한 것을 샀다고 해서 무조건 토큰을 코인으로 변환해주는 것이 아닌 "별도의 EOS 공개키 등록을 통과한 EOS토큰만 " 코인으로 변환해주기 때문에 공개키 등록이 필요합니다.

실질적으로 ICO 참여를 한 주소라면 참여시 공개키 등록이 필요하기때문에 별도의 추가작업은 불필요하며,

빗썸이나 그 외 현재 해외사이트에서만 구매해서 개인지갑에 옮겨놓은 경우에는 별도의 공개키 등록이 필요합니다.

EOS 공개키 등록방법(MEW 지갑 사용기준)

1. https://eos.io 접속 -> GET EOS 클릭

2. 토큰구매관련 동의 누르기

3. 쭉 내려서 토큰 REGISTER 누르기

4. MEW지갑 클릭후 'GENERATE EOS KEY' 눌러 개인키/공개키 발급받기


위의 공개키/개인키에서 개인키는 반드시 아무에게도 보여줘서는 안됩니다.
향후 EOS 공개키 등록 후 개인키로 본인 EOS공개키를 인증하게 됩니다(계좌의 비밀번호와 같습니다)
이후는 위 그림 설명나온대로 진행하셔도 되고 밑에 추가로 참조하셔도 됩니다.

5. MEW지갑(https://www.myetherwallet.com/)으로 접속 -> CONTRACT 칸 클릭 -> EOS : CONTRIBUTION 클릭

예전에는 별도로 스마트 컨트렉트를 입력해서 진행했으나 현재는 MEW자체에 계약이 추가되서 선택만 하면되서 간편합니다.

6. 엑세스 후 FUNCTION 중 REGISTER 선택


이오스 주소등록이기에 REGISTER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7. 본인 지갑 등록 후 컨트랙션 시행

이더 출금과 동일한 방식입니다. 이더나 토큰을 송금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 컨트랙트로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수료가 발생하므로 본인의 주소에 이더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오스는 아직 메인넷 런칭을 하지 않은 ERC20토큰이기 때문에 트랜잭션 발생시 이더리움이 사용되어 집니다

@ 빗썸에 가지고 있으면 에어드랍을 해줄지 알수 없어 매우 불안하기에.....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개인지갑에 공지후에 옮겨 두시는 것을 추천하며(공지후에 하셔도 안 늦을 것 같습니다) 옮기는 김에 까먹지 않게 미리미리 EOS 키등록을 해주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8. 등록 후 등록 완료여부 확인 : https://eosauthority.com/ 사이트에서 본인 주소 입력


등록된 주소라면 다음과 같이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글이 뜹니다.

이것까지 꼭 확인해주세요!:>

@조금씩 EOS DAPP들이 움직임을 시작했습니다. 올해 한해 다같이 기대해보아요!!
@전반적인 소식은 @indend007님이 계시는 koreos.io 커뮤니티를 자주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Sort:  

Hi! I am a robot. I just upvoted you! I found similar content that readers might be interested in:
https://en.wikipedia.org/wiki/User:Leprof_7272/Everipedia

이오스 등록을 지금하지 않아도 에어드랍이 떨어지는 걸 몰라서 미리 하긴 했지만 언젠가는 해야했을 일이니 잘 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ㅎㅎㅎ

지금안하면 나중에까먹을거에요 ㅎㅎ
귀찮은건미리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