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실전3] 테스트 네트워크에서 Geth 기동

in #geth6 years ago

이번 시간은 실전2에 이어서 디렉터리 위치를 보고 초기화가 완료된 geth를 실행해 보겠습니다.

먼저 디렉터리 위치를 확인해보자!!!

하단에 보이는 그림처럼 data_testnet이 있는 위치로 다들 오세요

저 위치로 가는 방법은 아주 ~~~~ 간단합니다.

cd ../ 이 명령어는 현재 위치에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ether 이 명령어는 ether라는 폴더(디렉터리)로 이동

dir 이 명령어는 내가 있는 위치에 어떤 폴더들이 있는지 보는 명령어

해당 명령어 3개로 충분히 data_testnet 위치로 이동 가능합니다.

쉽죠잉~!!

  • chaindata : 디렉터리 아래에 블록에 대한 정보
  • keystore : 디렉터리 아래에 계정에 관한 정보

이렇게 보시면 되십니다. 그러면 초기화 완료가 되었기에 Geth 실행을 해보겠습니다.!!!

실행에서 기초적인  옵션 사용을 봐야 합니다. 

하단에 보시는 바와 같이 geth (실행) networkid(네트워크식별자) nodiscover(다른노드검색 못하게)

maxpeers(연결노드수지정) console(대화형 자바스크립트 콘솔 기동) geth.log(로그파일을 해당 경로에 저장

하겠다는 의미) 가 있습니다

응?? 이게 뭐지....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텐데 기본적인 옵션이라 외울 필요 없습니다.!!!

그러면 ">" 이 표시 즉 프롬프트 표시가 나오실 겁니다.


다음 시간은 테스트 네트워크에서 ether 송금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