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s Apply STEEM to Internet of Things. part 0. The Road of the Internet of Things

in #iot7 years ago

Nice meet you guys again.
Today, I introduce "what is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the road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Because I received comments that content is difficult in the last posting. (https://steemit.com/iot/@littleanti/let-s-apply-steem-to-internet-of-things-part-1)
If you have any interest in our research, please contact me via [email protected]

다시 뵙게 되어서 반갑습니다.
오늘은 저번 포스팅의 내용이 너무 난해하다는 이야기가 많아서, Internet of Things (IoT) 사물인터넷이 어떤의미를 가지며, 어떠한 로드맵을 가지는지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만약에 저희 연구실의 연구에 대해서 관심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email protected]"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What is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IoT)란?

Everything is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Internet "Whenever," "Anywhere," by "Anyone" and it creates useful services for human beings.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모든 사물들이 "언제", "어디에서나", 인터넷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인간에게 유익한 서비스를 창출 하는 것을 말합니다.

===

Things of IoT mean something made for a specific purpose. Things include physical devices such as sensors, computers, and automobiles, as well as virtual services such as Internet shopping, online advertising, and virtual currency.
In other words, the Internet of things is "things that are created for a specific purpose in physics and virtual are interconnected via the Internet and work for a more general purpose".

사물인터넷의 사물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물건을 의미합니다. 사물은 센서, 컴퓨터, 자동차 등의 물리적인 장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쇼핑, 온라인 광고, 가상화폐 등의 가상적인 서비스를 포함합니다.
다시한번 정리하자면, 사물인터넷은 "물리, 가상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사물들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보다 범용적인 목적을 위해 작동하는 것"입니다.

===

Then what are requirements to realize the Internet of things?
It is a little bit different according to the economic and technical point of view.
Typically, 1) Connectivity that connects all things (referring to things , people, and virtual services) through the Internet. 2) Data repository (cloud) that collects, stores, and shares data from all connected things. 3) Big data analysis using shared data, and machine learning service is required.

그렇다면 사물인터넷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구성요소는 무엇이 있을까요?
경제적, 기술적 관점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지만, 크게 사물인터넷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1) 모든 사물(사물, 사람, 가상 서비스을 지칭)을 인터넷을 통해 연결하는 연결성 . 2) 연결된 모든 사물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수집, 저장, 공유하는 데이터 저장소 (클라우드) . 3) 공유 데이터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 Connectivity: Standar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iFi, LTE, 5G, Bluetooth and Zigbee. It supports connectivity among things.
  • Data: Cloud data services such as Google driver, Microsoft Azure cloud and Amazon web service. It is used to collect, store and share Internet of Things' data.
  •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g platform such as Google Tensor Flow, IBM Watson, Facebook Chatbot, GE Predix Platform and Amazon Alexa. It provides services that make people convenient by using data generated by objects.
  • 연결: WiFi, LTE, 5G, Bluetooth, Zigbee 등의 표준 통신 기술들이 사물에게 연결성을 지원합니다.
  • 데이터: Google driver, Microsoft Azure cloud, Amazon web service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물 데이터를 수집, 저장, 공유 하는데 사용됩니다.
  • 머신러닝: Google Tensor Flow, IBM Watson, Facebook Chatbot, GE Predix Platform, Amazon Alexa 등은 사물이 생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람들을 편리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The OIiot (Open Lauguage for Internet of Things) platform, introduced in Part 1, is the type of data repository.
You can use the Oliot to store data from IoTs devices following a global standard (GS1) and to share selected data according to your needs.
However, lots of open data repositories, including the Oliot, have a common problem.
It is "no data", and "there is no service" using data even if there is data.

위의 세 가지 구성요소중에서 Part 1. 에서 소개한 OIiot 플랫폼은 데이터 저장소의 종류이며,
Oliot을 사용하여 사물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일된 규격(GS1)으로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별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Oliot을 포함한 많은 오픈 데이터 저장소는 공통된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데이터가 없다"는 점, 데이터가 있더라도 데이터를 사용한 "서비스가 없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

I want to use STEEM's unique system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 will apply characteristics of STEEM to the IoT data repository, and apply properties of IoT to the STEEM system.
If Oliot with STEEM research succeeds, it is possible to maximize user participation to create an IoT ecosystem and
it also prevents the data (information) weaponize by breaking down centralized data collection (Google, Apple, Samsung etc.)

저는 STEEM의 독특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합니다.
STEEM이 가진 시스템적 특성을 사물인터넷 데이터 저장소에 적용하고, 또한 STEEM이 가지고 있지 않은 사물인터넷적 특성을 STEEM 소스에 적용할 예정입니다.
Oliot with STEEM 연구가 성공한다면, 사물인터넷 시대에서 사용자 참여를 극대화 시켜 사물인터넷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
을 것이고 중앙집권적 데이터 수집을 와해 시킴으로써 데이터(정보)의 무기화를 방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Please leave a comment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opyright in the picture and contents. I will fix it.

그림과 내용에서 저작권과 관련하여 문제가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십시오. 수정하도록하겠습니다.

Sort:  

우와,,,대박이다.. 잘쓰셨습니다.

Very cool 😎

좋은 글이에요. 감사합니당!!!!

Congratulations @littleanti!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2 year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Do not miss the last post from @steemitboard:

New japanese speaking community Steem Meetup badge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