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s Apply STEEM to Internet of Things. part 1.

in #iot7 years ago (edited)

Nice to meet you guys. I am Wondeuk Yoon who is currently studying Ph.D. in KAIST, Korea.
I will plan to research on applying STEEM's block-chain system to the Internet of Things (IoT).
I think it will be long and long posting until the completion of my research.

안녕하세요. 현재 대한민국 KAIST 전산학부 박사과정을 진행중인 윤원득입니다.
저는 스팀잇을 통하여, STEEM의 블록체인 시스템을 사물인터넷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 예정입니다.
연구를 완료하는 날까지 앞으로 길고 긴 포스팅이 될 것같네요.

~

First of all, I introduce preliminary research, called a Oliot(Open Language for Internet of Things) in Realtime Embedded System Lab (RESL) for "Applying STEEM to the Internet of Things".

우선적으로 오늘은 Realtime Embedded System Lab (RESL)에서 진행 중인 선행연구 Oliot(Open Language for Internet of Things)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

If you do not want to read a long text, I suggest PPT slide of "the Road to Internet of Things"
(https://www.slideshare.net/gatordkim/the-road-to-internet-of-things)

긴 글을 읽기 힘드시다면, 입문 PPT를 참고하세요.
The Road to Internet of Things (https://www.slideshare.net/gatordkim/the-road-to-internet-of-things)

About Oliot (Open Language for Internet of Things)


Oliot.jpg

The Oliot is aiming an international standard based Internet of Things (IoT) Infrastructure Platform, by extending the code system of GS1 and their standard architecture to support various IoT connectivity and protocols such as bar code, RFID, ZigBee, 6LoWPAN, etc. Oliot also aims a complete implementation of GS1/EPCglobal standard.

선행연구인 Oliot은 GS1[1]의 코드 시스템과 바코드, RFID, ZigBee, 6LoWPAN 등과 같은 다양한 IoT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표준 아키텍처를 확장하여, 국제 표준 기반 IoT (Internet of Things) 인프라 플랫폼을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또한 Oliot은 GS1 / EPCglobal 표준의 완전한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Oliot System Architecture


Oliot.png

We are currently working on following sub projects:
Oliot (GS1 based IoT Infrastructure Platform)

  • Oliot LLRP Reader
  • Oliot F&C (ALE)
  • Oliot EPCIS v1.1, v1.0
  • Oliot ONS, DS
  • Oliot Traceability&Recall
  • Oliot Pedgree
  • Oliot GS1 source

현재 진행 중인 Oliot의 서브 프로젝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Oliot LLRP Reader
  • Oliot F&C (ALE)
  • Oliot EPCIS v1.1, v1.0
  • Oliot ONS, DS
  • Oliot Traceability&Recall
  • Oliot Pedgree
  • Oliot GS1 source

~

Oliot LLRP Reader:Implementation of EPCglobal Low Level Reader Protocol (LLRP).
Oliot F&C (ALE): Implementation of EPCglobal application level events (ALE) interface which provides APIs for filtering and grouping IoT data.
Oliot EPCIS: Enables to capture and share EPC-based event ( Basically RFID Tag event ).
Oliot ONS: Service discovery system on top of Directory Naming Service (DNS). - Find services.
Oliot DS: Implementation of EPCglobal Discovery Service. It discovers event data, which related on GS1 ID, from distributed EPCIS. - Find event data.
Oliot GS1 source: Framework for sharing product data in digital world and provides standard schema for specific data according to standard.

Oliot LLRP Reader: RFID 태그의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위 컴포넌트인 ALE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듈로 국제표준 EPCglobal Low Level Reader Protocol (LLRP) v1.1을 준수한다.
Oliot F&C (ALE): EPCglobal application level events (A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것으로써 IoT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및 그룹핑 API를 지원한다.
Oliot EPCIS: EPC 기반 이벤트를 캡처하고 공유를 가능하게 해준다.
Oliot ONS: DNS 인프라 위에서 작동하는 서비스 검색 시스템이다.
Oliot DS: EPCglobal의 디스커버리 서비스를 구현한 것으로 분산 EPCIS에 퍼져있는 GS1 ID와 연관된 이벤트 데이터를 검색하는 시스템이다.
Oliot GS1 source: 제품 정보를 디지털 언어 및 국제표준 스키마로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이다.

~

In the next posting, I will explain what each subproject's role is and how it works.

다음 포스팅부터는 각 서브프로젝트들의 역활은 무엇이며, 어떤 기술로 작동하는지에 대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Thank you for reading, here is a brief description about the GS1(Global Standard #1) and Auto-ID Labs which are supporters of Oliot project. and an introduction of the lab.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밑의 내용은 Oliot 플랫폼의 기반이 되는 GS1(Global Standard #1) 및 Auto-ID Labs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연구실 소개 글이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GS1 and Auto-ID Labs


Auto-IDLabsLogo.png gs1-epcglobal.png

The term Internet of Things was firstly introduced in 1999 by Kevin Ashton at the Auto-ID Labs, MIT (http://www.autoidlabs.org), which is the primary research partner of GS1.
GS1 provides various types of codes such as bar code, RFID code, QR code for thing identification, and standardizing system infrastructure for global business and applications (supply chain, food safety, medication, etc.).
GS1 is making an effort to hold the position of a standard technology for IoT era as well as B2C from B2B via GS1 code extension, GS1 digital, and IoT standard technology development.
Among seven Auto-ID Labs (MIT, Cambridge, ETH Zurich, Keio, Fudan, Adelaide, KAIST) over the world, Auto-ID Lab, KAIST start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IoT field since 2002, starting from the RFID and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And since 2005, we started to develop various IoT technologies that are specialized to GS1 standard.

인터넷 분야의 용어는 GS1의 주요 연구 파트너 인 MIT (http://www.autoidlabs.org)의 Auto-ID Labs에서 Kevin Ashton이 1999 년에 처음 소개 한 용어입니다.
GS1은 바코드, RFID 코드, 물건 식별을위한 QR 코드, 글로벌 비즈니스 및 애플리케이션 (공급망, 식품 안전, 약물 치료 등)을위한 시스템 인프라 표준화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코드를 제공합니다.
GS1은 GS1 코드 확장, GS1 디지털 및 IoT 표준 기술 개발을 통해 B2B에서 IoT 시대의 표준 기술 및 B2C의 표준 기술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KAIST의 Auto-ID Lab은 전 세계적으로 7 개의 Auto-ID Lab (MIT, Cambridge, ETH Zurich, Keio, Fudan, Adelaide, KAIST) 중 2002 년부터 IoT 분야의 연구 개발을 RFID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과학 기술. 그리고 2005 년부터 GS1 표준에 특화된 다양한 IoT 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Realtime Embedded System Lab (RESL)


RESL researches and develops the almost all fields for (IoT): a hardware platform (sensors), a network platform to connect IoT devices to the Internet, open data platform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for collecting, storing, and sharing data produced from 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platform using open data platform.
homepage: http://resl.kaist.ac.kr/

또한 제가 현재 소속 중인 RESL은 사물인터넷을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부터 사물인터넷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플랫폼, 그리고 사물인터넷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국제표준으로 수집, 저장, 공유하는 국제 표준기반 데이터 오픈 플랫폼, 공유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플랫폼까지 사물인터넷을 위한 전반적인 분야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http://resl.kaist.ac.kr/

Sort:  

블록체인 시스템과 사물인터넷의 결합이라니 정말 세상을 바꿀만한 연구를 하시네요 ㅎㅎ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는 아직 학부생이지만, 대학원 진학 이후에 블록체인 관련 연구를 생각하고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열심히 배워가겠습니다 :)

Congratulations @littleanti!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number of upvotes received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If you want to support the SteemitBoard project, your upvote for this notification is welcome!

멋진 연구를 하고 계시는군요.
저 같은 일반인은 이 코인판을 돈을 벌러 들어온 곳 이었는데 실질적으로 세상을 바꿀 연구를 하신다는 것에 많은 관심이 갑니다.

다만, 가능하시다면 저 같은 사람들도 알아들을 수 있도록 쉬운 용어로 향후에도 포스팅 하여 주신다면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지 싶습니다.

더 멋진 포스팅 기대하며 보팅 및 팔로우 하고 갑니다.

다음 포스트로 일반적인 관점에서의 사물인터넷과 연구에 대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

잘 모르겠지만...뭔가 심오해보입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