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BOOK] 책 내용을 어떻게 내것으로 만드는가

in #kr-book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kr-book을 밀고 있는 tsjoe입니다.

문학이야 굳이 그럴 필요 없겠지만, 사회, 자연과학 등의 책은 간단히 읽고 넘기기엔 무척이나 아까운 마음이 들 때가 많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책 제목 말고는 아무 것도 떠오르지 않는 경우가 많기도 하고요.

그렇다고 같은 책을 2번, 3번 읽을 수도 없으니 말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책 내용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몇가지 노하우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물론 재독, 삼독은 발췌독으로 읽으면 그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첫째, 책에서 중요한 곳을 표시합니다.

대개의 교양서는 교과서처럼 밀도가 높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주요한 몇가지의 주장에 근거와 예시를 가지고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고로 표시해야할 곳은 주장의 핵심이 되는 내용과 근거입니다.

아무런 도구가 없다면 책장 귀퉁이를 접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겠지만, 포스트잇 플래그 같은 것을 쓰는게 깔끔하고 찾기도 쉽습니다.

책 읽기가 익숙하지 않으면 모든 부분이 중요해보이고 핵심을 찾는 것도 녹록치 않습니다. 그렇기에 시행착오를 거쳐 반복적으로 연습이 필요합니다.

know_how_01.jpg

  • 저는 이런 식으로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하는 부분, 책의 주요한 맥락이라 보이는 부분에 포스트잇 플래그를 붙입니다. 시판되는 것이 두꺼운 것과 좁은 것 두가지인데 후자가 조금 더 깔끔합니다. ^^

둘째, 메모를 합니다.

저자의 주장이나 논리만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좋은 독서라고 하기 어렵습니다. 물론 자기 논리나 기반 지식이 부족하다면 기본을 알기 위한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맞건 틀리건 스스로 살을 덧대거나 다른 의견을 갖는 연습도 필요합니다.

메모는 별도의 공간을 활용하면 좋으나 항상 심플한 것이 좋습니다. 제 경우 포스트잇 가장 작은 것을 활용해 메모를 하고 부착했지만, 최근엔 그냥 귀퉁이 여백도 곧잘 씁니다.

책은 굳이 깨끗하게 읽을 필요가 없습니다. 새책 같은 깨끗함을 유지하고 싶겠지만 자기만의 방법으로 씹고 뜯고 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지식의 습득에는 더 좋습니다.

know_how_03.jpg

  • 이렇게 별도의 노트에 쓰거나 그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다만 책과 분리되기 쉬워 제 경우는 포스트잇에 메모하고 책 내 관련한 부분에 부착합니다.

셋째, 서평을 씁니다.

서평 또는 요약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첫째와 둘째 방법을 통해 모은 정보와 생각 등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정리하는 과정입니다. 정해진 형식은 없습니다.

목차 단위로 정리할 수도 있고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만 모아서 할 수도 있습니다. 또는 책의 주장을 반박하는 내용을 채워넣을 수도 있죠. 처음엔 기본 지식이나 생각이 부족해 요점을 정리하는데 그칠 수 있지만, 지식이 쌓여나갈수록 저자의 주장보다 자신의 생각을 늘려나갈 수 있을 겁니다.

이 과정을 거쳐 얻을 수 있는 것은 논리적으로 글을 쓰는 연습, 책을 곱씹어 지식을 체득 시키기 등 활용 방법에 따라 다양해집니다.

이렇게 하면 이렇게 된다. 라는 공식이 아니라, 운동을 통해 근력을 기르는 것처럼 정보와 사고를 통해 뇌를 단련하고 지식을 학습하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https://steemit.com/kr-book/@tsjoe/kr-book

  • 앞서 언급한 방법을 통해 정리한 '메트릭 스튜디오' 리뷰입니다.

이상 저의 책 읽기 노하우였습니다. 책 읽기 뉴비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Sort:  

스스로 홍보하는 프로젝트에서 나왔습니다.
오늘도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오늘도 여러분들의 꾸준한 포스팅을 응원합니다.

오 좋은 노하우네요 ^^ㅋㅋ
요약은 조금씩 하는데
책에 먼가를 쓰기엔 아까워서 ...ㅠ.ㅠ
못하고 있는...ㅋㅋ;;
앞으론 메모나 밑줄처럼,
책에도 간략하게 정리를 좀 해봐야겠어요 ^^ㅋㅋ
잘 보고 갑니다. !!

저도 오래 전에 산 책은 무척이나 깔끔합니다. 사실 책 그 자체보다 책의 내용이 중요한 것인데, 책을 좋아할수록 책의 물리적 형질이 훼손되는걸 싫어하는 경향이 있죠 ㅎㅎ 과감하게 메모하고 뜯고 찢고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저는 보통 ebook 을 이용해서
첫번째만 제외하고 나머지를 이용하는 습관을 들어야겠습니다.
그나저나 하루 15분 혹은 한챕터 책읽기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것부터 잘 지켜야 겠네요 ㅎㅎ

e-book에도 리더기마다 제각각이지만 포스트잇 기능이 있는 것들이 많은데 만약 지원한다면 활용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오~!!! 요즘 이런 독서법에 관심 많은데!!!
꿀팁 공유 감사합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KR-BOOK 저도 적극 지지하며, 따르겠습니다!ㅋㅋ

감사합니다. 한분씩 늘어나니 보람이 있네요 ^^

제게 좋은 글입니다. 그때그때 집중해서 읽기에 두번읽으려나 사실 흥미도가 많이 떨어지더라구요. 그렇다고 한번으로 읽고 만족하기에는 글의 내용이 잘 생각안나구요. 이런 방법으로 조금씩 연습해나가봐야겠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팔로우와 보팅하고갈게요

감사합니다. 맞팔하겠습니다. ^^

어제가 제일 추운줄 알았는데!
오늘이 더 춥습니다. ㅜㅜ
좋은 컨텐츠가 즐거운 스티밋을 만드는거 아시죠?

이번주 내내 계속 한파라더군요 추운데 건강 조심하세요 감사합니다. ㅜㅠ

좋은 노하우 공유 감사합니다!

별말씀을요 매번 감사합니다 ^^

와 제일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것만 적어주신것 같아요!ㅎㅎ
필기도하고 서평도하고 있긴한데..책에 저렇게 메모와 표시까지..
좀 더 책을 제것으로 만들기 위해...일단 책을 많이 읽어야겠네요^^

화이팅입니다. 올려주시는 글 잘 보고 있어요 ^^ 책도 많이 읽으시고 리뷰도 부탁드려요. 리뷰는 kr-book으로 ㅎㅎ

저랑 독서방법이 비슷하네요 ~ 책을 좋아하시고요.
kr-book 을 미신다고 하셨는데, booksteem 이랑 차이가 있는건가요?
오늘 가입해서요..

북 스티미언 알게되어서 넘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