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밋 게임 포스팅] 게임은 정말로 사람을 폭력적으로 만드는가?

in #kr-game6 years ago (edited)

'하는 것도 없고 하고, 싶은 것도 없고, 의욕도 없는,
아직 인간이 되고픈 20대 인간 언저리 index입니다.'

플로리다의 고등학교에서 일어난 총기난사로 인해 미국은 정치권에서 총기난사와 같은 폭력적인 범죄가 늘어나는 이유는 게임 때문이다. 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18년 3월 9일 게임 산업의 대표들과 진행한 대담에서 게임에 등장한 잔혹한 장면만 모아놓은 동영상을 보여주며, '거참 폭력적이지 않소?'라며 대담을 시작하는 등, 게임에 대한 정치권의 공격 수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 빌라노바 대학교(Villanova University)의 패트릭 마키 심리학교수는 이러한 게임에 대한 공격을 반박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패트릭 교수가 미국 놀이 문화 포럼에 기고한 연구 결과와 그의 저서 모랄 컴뱃:폭력적인 게임과의 전쟁은 왜 틀렸는가?(Moral Combat: Why the War on Violent Video Games Is Wrong)에 의하면, 총기 난사사건을 일으킨 범인 중 80%는 비디오게임과 별다른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 대다수의 범인들은 비디오게임과 같은 내향적인 취미보다는 몸을 다루는 외향적인 취미에 몰두한 경향이 많았다고 합니다.

DX3mYd2W0AE4tdJ.jpg

총기 난사 사건들의 범인들의 집합군 출처: 패트릭 마키(Patrick Markey)교수의 트위터

또 패트릭 교수는 정치권과 언론에서 비디오게임과 폭력성을 연관 짓기 시작한 시기는 1999년에 일어난 '콜롬바인 고교 총기 난사'사건 이후라고 말하며, 1993년에 일어난 총기난사 사건을 예로 듭니다.

1993년 19세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소년이 자신이 근무했던 레스토랑에 총기를 난사한 사건이 일어났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소년은 총기 난사 사건을 벌이기 전, NES로 나온 슈팅게임인 Hogan's Ally에 매우 심취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1993년, 당시 언론은 소년이 직장에서 해고당한 것과 인종차별에 대한 보복으로 사건을 벌였으라 추측했으며, 그가 심취해있던 게임이나, 포르노, 힙합음악 과 같은 자극적인 매체에 대한 언급은 매우 적었다고 합니다.

Hogan's_Alley_Screenshot_NES.png

NES로 나온 Hogan's Ally플레이 장면

반면, 1999년 그 악명 높은 콜롬바인 고교 총기난사 사건이 일어났을 때, 언론은 범인들이 플레이한
게임인 DOOM시리즈의 폭력성과 그들이 즐겨 들었던 음악인 마릴린 맨슨의 음악으로 인한 악마숭배를 원인으로 추측하며, 게임과 데스메탈과 같은 자극적인 매체에 대해 언급하기 시작합니다.

154003_poste.jpg

콜롬바인 고교 총기난사 사건의 범인들은 볼링을 즐겨했기 때문에, '그렇게 따지면 볼링도 규제해야 하는것아니냐? '라고 언론과 정치인들의 행태를 조소했던 마이클 무어의 2002년 작 볼링 포 콜럼바인

20180312110123_6544 (1).jpg

패트릭 교수가 두 사건을 비교한 뒤, 콜롬바인 고교 총기 난사 사건 후 비디오게임의 폭력성을 다루는 기사가 얼마나 증가했는지 보여주는 도표

DX0RDwlX0AAZcXf.jpg

비디오 게임 판매량과 폭력범죄 발행건수의 상관 도표 출처: 패트릭 마키(Patrick Markey)교수의 트위터

패트릭 교수는 위의 두 사건을 비교하면서, 버지니아 공대의 제임스 아이보리 교수의 주장을 인용해 말합니다.
'언론은 ‘중산층 가정의 평범하고 착한 백인 아이’가 범죄를 저질렀을 때는 '비디오게임,메탈음악,포르노,만화와 같은 자극적인 매체나 세뇌 등과 같은 외부에서 원인을 찾으려고 한다.'

그리고
백악관이 2018년 3월 9일에 업로드한 'Violence in Video Games'영상에 대해
비영리단체인 Games for Change가 2018년 3월 12일에 #GameOn라는 영상으로 답했습니다.

Sort:  

원인에 대한 예방을 하기보다는
해명하기 위한 이유를 찾기 급급한게
우리나라랑 별반 다름없이 느껴져서 웃프네요 ㅠㅠ

잘 보고 갑니다.

우리애가 이럴수 없어! 서양판이죠 뭐..

게임을 좋아하는 아들을 둔 아빠 입장에서 어느정도 안심이 되는 글이네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저도 게임을 좋아하고 게임을 좋아하는 아버지 밑에서 자랐습니다만
무엇보다 중요한건 게임하는 습관에 대한 교육인거 같습니다.

재미있게도 영화는 주로 원인대상에서 빠지죠. 게임,만화등에 견줄 수 없는 고급 문화란걸까요?

역사가 오래되다보니 그런거 아닐가 싶습니다.
게임도 오래되면 이제 다른거로 공격갈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