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guide] 스팀잇은 SNS와 무엇이 다른가? What is different between Steemit and Social Media(Social Network Service)

in #kr-guide7 years ago (edited)

직장인 successtrainer 대문.jpg

석세스트레이너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처음 스팀잇에 입성을 할 때 많은 SNS 중에 하나라고 생각하시고 접근을 하게 됩니다.
스팀잇 입성 후에도 원오브뎀(one of them)이라고 여기고 SNS 와 동일 하게 비교하는 경우가 많으신데요,
페이스북과의 비교, 인스타그램과의 비교가 여기에 해당이 됩니다.
나아가 페이스북 이용자, 시가총액 등과 비교가 되는 일이 많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그랬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생각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그냥 단순한 SNS 가 아니라는 거죠..
페이스북과 비교대상도 아닙니다.
왜냐하면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이니깐요..

스팀잇을 단순 one of SNS 라고 생각했을 때 맞딱뜨리는 현실은 생각보다 참담합니다.

  • 어라? 왜 글이 안써지지?/ 업로드가 안되지?
  • 어라? 왜 보팅이 되지 않는 것이지?
  • 어라? 왜 내글에 반응이 없지?
  • 어라? 왜 내글에 보팅이 들어오지 않지?
  • 어라 ? 왜 내글에 보팅횟수는 많은데 보상은 작지?
    ....
    그림1.jpg

혹시 위와 같은 메시지를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솔직히 저는 본적이 없었지만)
장기간 낮은 스팀파워로 활동을 하는 경우에 위와 같은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이 메시지가 뜨면 글도 못올리고 보팅도 못합니다.

  • 어라? 왜 글이 안써지지?/ 업로드가 안되지?
  • 어라? 왜 보팅이 되지 않는 것이지?

그러면 이 두가지 물음이 던져집니다. 시스템에 뭔가 장애가 있는건가? 라는 생각도 들수있습니다.

그런데 시스템은 지극히 정상입니다.
이렇게 되도록 설계된거죠...처음부터 스팀잇은...
스팀파워가 낮으면 글을 쓰거나 보팅을 할 때 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스팀잇(주식회사) 개발자들이 의도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저는 아래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스팀을 사세요.
이곳은 스팀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공간입니다.
(아무나 막 들어와서 활동하는 그저그런 SNS 가 아닙니다)

  • 어라? 왜 내글에 반응이 없지?
  • 어라? 왜 내글에 보팅이 들어오지 않지?
  • 어라 ? 왜 내글에 보팅횟수는 많은데 보상은 작지?

요 물음 들은 왜 생길까요?

내 글이 뻘글이라서?(요즘 트렌드가 갑자기 뻘글시대로 바뀌기는 했지만 ㅎㅎ)

안타깝지만, 정곡을 찌르는 말이지만,

스팀파워가 낮아서 입니다.

이 부분을 깨닫지 못하시고(인정하기 싫어서 인것 이기도 합니다만) 불평을 하는 글들이 예전에 엄청 많이 올라오더라구요..

스윗제시와 같은 사람도 있다~! 라고 반론을 스윗하게~ 제시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ㅎㅎ
그런데 극히 일부 이고, 저런사람(?)도 로또에 당첨되었다~! 그러니 나도 된다 라고 믿으면서 로또에 올인할 수는 없는 노릇이잖아요? ㅎㅎ참고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사진과 원문을 링크합니다.

하루 수익 100만원씩 달콕달콕 받아가시고 계십니다:)

https://steemit.com/travel/@sweetsssj/travel-with-me-74-a-visit-to-dolphin-cay-to-interact-with-sea-lions

저는 스팀잇의글을 보면서 보상이나 글이 묻히는 것에대해 언급/불평을 할 때 스팀파워에 대해서 언급하는 경우는 거의 못봤습니다... 아니 전혀 못본것 같습니다...
그래서 보상을 기대하고 입성했다가 실망만 하고 떠날 뿐이지 그 원인을 아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아니, 알려고도 하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전 스팀잇에 대해서 쬐금 아는척(?) 하면서 말할 때 블록체인 기반 SNS 이다 라고 말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스팀 기반 SNS 이다 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일반적인 SNS 처럼 누구나 평등하게 동일한 발언권을 가진 것이 아니라고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저는 오히려 주주총회나 이사회와 더 비슷하게 느껴질때가 있습니다.
주주들을 위한 게시판 같은거죠.( 왜 팍스넷이 떠오를까요 ㅎㅎ)

주주총회에서 발언권은 한주라도 더많이 갖고 있는 사람(단체,기관,기업)이 더 많습니다.
소액주주들은 종종 눈뜬장님(?)이 될때도 있구요^^;;
정책은 대주주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대주주의 말에는 힘이 있습니다. 뻘말이든 아니든 관계가 없습니다.

스팀잇steemit 도 비슷합니다.
미노우들의 발언은 힘이 약합니다.
고래는 대주주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스팀잇주식회사에서 그렇게 설계했습니다.
철저히 스팀을 소유한 사람을 위한 공간을 만들자...스티머(스팀을 보유한사람)을 위한 스티머에 의한 스티머에 공간
그래서 글을 쓰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스팀이 있어야 한다는 거죠..
또는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컨텐츠를 생산해야 합니다.

왜 이러한 구조를 만들었을까요? 스팀잇 주식회사는...

스팀이라는 가상화폐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스팀이 사용되는 Social Media 를 만들었습니다.

그 다음은?
당연히 스팀의 발전, 스팀잇의 발전이겠죠.
그래야 많은 사람들이 스팀잇을 통해 행복을 얻을 수가 있겠죠.

그런데 이 과정 중간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있습니다.

그것은 스팀의 가치 상승입니다.
이것이 담보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스팀잇 주식회사에서 의도한 선한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스팀의 가치 제고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글을 쓰는데 밴드위스가 리미트(제한) 걸렸다면서 왜 글이 안써질까요?
보팅도 못하게 만들고...
H19이전에 그동안 왜 글보상을 스팀파워제곱그래프를 활용 했을까요?
스팀파워가 높은 사람의 글이 빛을 발할까요?(이것은 스티미안들에 심리에 의해서 결정되는 부분입니다. 한마디로 있는 사람에게 몰리는 것이죠... 하지만 이부분도 아래의 결론을 뒷받침합니다.)

간단합니다.
스팀을 사라는 겁니다.

사실 스팀잇에 입성하면서 가장먼저 알아야 할 요소라고 최근에 생각이 듭니다.
제일 중요한거죠..
스티잇에 대한 비판은 이부분을 잘몰라서 나오는 것이라고 보입니다.

스팀을 사야 스팀의 가치가 올라가죠.

스팀잇에 입성할 때 여기서 돈을 벌어서(돈을 밖으로 ) 나가야 겠다고 입성했다가 오히려 돈을 더 넣는(스팀을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스팀잇을 떠나는 경우죠...

개발진의 의도대로 스팀을 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저도 물론 조금씩 사고 있습니다.
급한대로 일단 빌리기는 했습니다만 ㅎㅎㅎ

많은 사람들이 스팀잇으로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스팀의 가치가 높아져야 합니다.
그럴려면 스팀잇은 스팀파워기반으로 움직여야 합니다.

당장의 글보상이 작은 이유에 대해 불평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좀더 멀리 내다 본다면 답이 나옵니다.

주는 만큼 돌려 받는거죠.
먼저 스팀을 사는 만큼 나도 보상받고, 스팀의 가치제고로 많은 스티미언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죠.

위 처럼 어려운 글이 올라와도 스팀파워가 있어야 풀보팅으로 응원 할 수 있죠..

저 사람은 뻘글인데 보상을 많이 받는다고 시기하는 것이아니라 그사람이 어려운사람에게 풀보팅을 날릴때 자신은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도 생각해야 합니다.

결론은
기승전스팀파워 입니다.
스팀잇의 선한가치도 스팀파워가 있어야 실현할 수 있는거죠:)

@successtrainer

follow me!


[kr-guide]

[kr-guide] 코빗 스팀 파워업 후기 Story of Steem Power Up Through Korbit
https://steemit.com/kr-guide/@successtrainer/kr-guide-story-of-steem-power-up-through-korbit

[kr-guide] 내 손(증인투표)으로 만드는 스팀잇 운명 How can I make steemit destiny.
https://steemit.com/kr-guide/@successtrainer/kr-guide-how-can-i-make-steemit-destiny

[의견 Opinion]스팀잇의 3년 후 미래 Future of Steemit After 3 Years
https://steemit.com/kr-future/@successtrainer/opinion-3-future-of-steemit-after-3-years

[칼럼 Opinion] 스팀잇 가입자수(관심도) 스팀의 가치 변화 방향 Relate with steem and steemit member
https://steemit.com/kr-opinion/@successtrainer/opinion-relate-with-steem-and-steemit-member

[의견 Opinion] 주식회사 스팀잇의 구조 이해 Understanding Structure of Steemit Inc.
https://steemit.com/kr-guide/@successtrainer/opinion-understanding-structure-of-steemit-inc

[정보 newbie guide]스팀잇 초보분들을 위한 보팅/적응 핵심 노하우 How to get vote and adoptation
https://steemit.com/kr/@successtrainer/newbie-guide

[HardForks19 하드포크 이후 보상변화 정리]What happen my reward? 내글의 보상에 무슨일이?
https://steemit.com/hardfork/@successtrainer/hardforks19-what-happen-my-reward

[정보]정말 혼신의 힘을 쏟은 글이라면 promoted(홍보) 기능을 활용해 보자.
https://steemit.com/kr-newbie/@successtrainer/promoted

Sort:  

맞는 말씀이십니다. 은근 쑥스럽기도 하지만요 ^^ 그래서 저도 예전에 사둔 스팀 최근에 가격이 많이 하락해서 장기버전으로 존버에 들어가기 위해 스티밋에 충전했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네 방문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정곡을 찌르시는 글입니다.저도 결국 100만원 털어넣었습니다 ㅎㅎ

네, 저도 은근히 계속 투입(?)되고 있습니다...ㅎㅎ

가진 돈이 없기 때문에 시간을 투자합니다!

돈이 좋은 점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저도 올리신 중국(?)으로 추정되는 분 꺼 봤습니다 .보통 여행사진인데 보팅겁나찍히드라구요

맞습니다, 저도 돌이켜보니 시간을 엄청투자하고 있는듯합니다;;

글 잘 쓰셨네요. 다들 대놓고 말을 안해서 그렇지 맞는 말입니다.

네 방문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글을 잘못읽은줄알고 두번읽고 세번읽어봤습니다.

상당히 경솔해보이는 글이 적혀있네요

본문중에
"""""""위 처럼 어려운 글이 올라와도 스팀파워가 있어야 풀보팅으로 응원 할 수 있죠..
"미약한 보팅으로나마 위로의...." 이런 댓글은 부끄러운 것입니다."""""""""

보팅이 얼마가됬든 부끄러울필요도 이유도 없습니다.

지금 본인이 무슨말 하는지 알고있으신지요

네 알고 있습니다.
본인의 글도 상당히 경솔해 보입니다.

허허 "성공트레이너"님의 글을 잘보고갑니다.

해당문단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 수정하였습니다.

그리고 트레이너님은 왜 보팅파워를 임대해서 사용중이신지요?

구매해서 사용하셔야 본인글의 논리에 맞는거 아닙니까?

음 이부분은

저도 물론 조금씩 사고 있습니다.
급한대로 일단 빌리기는 했습니다만 ㅎㅎㅎ

이라고 언급하셨는데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시는거 아닐까요? ㅠㅠ

구매했습니다. 구매 하지 않았다는 증거를 갖고 말씀하시는지요?
임차한 이유는 스팀파워가 필요해서입니다.
임차도 무상이 아니라 유상입니다.

트레이너님이 지금 말하는 논지가 한국식피라미드 다단계를 설명하고 있는걸 알고계십니까? 고래들이 이런포스팅안하는건 다 이유가 있습니다.
초입자가 뭘해야하는지에 대한 포스팅을 꼭올려야겠군요

@assali님 이글의 요점과 피라미드 다단계는 너무거리가 있어보이는데요.. 파워임대도 저는 하나의 투자방법이라고 생각하고있고요.. 말씀하신 본문 부분은 조금 표현이 거칠었다고 생각되긴하지만 나머지부분은 잘못된부분은 없어보입니다만..

모르겠습니다. 전 아살리님이 말하는 한국식피라미드인지 다단계인지 알지도 못하고 관심도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Successtrainer 님, 역시 거침없는 글로 마음을 표현해 주시네요. 같은 생각을 하지만 실천을 하는 분과 못하는 분 의 차이인 듯 합니다. 사정은 누구에게나 있으니까요~ 그래도 많은 분들이 좋은글 살리기 위해 열정도 보여주시고 참 따뜻한 스팀이 아닌가 싶네요. 전적으로 다 공감되는 부분입니다. 감사합니다.

네 방문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표현이 조금 직설적이라 올리고 나서 조금 염려(?)되었는데 잘 짚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고견 부탁드립니다:)

네 ㅎㅎ 좋은 말씀으로 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점점 스팀잇이 성장하는 모습이 보이는 듯 합니다.

저도 @krdoko님과 같이 가진 돈이 없기때문에 시간을 투자합니다^^
너무 많이 투자해서 문제지만요 ㅋ

맞습니다...대신 시간을 투자해야 되네요..이제보니 저도 상당히(?)투자하고 있는듯 합니다^^;

트레이닝님 글재주가 좋으신것갔습니다. 지루하지가않았습니다. 초보자도 이해하기쉽게설명해주셔서 높게평가드립니다.^^

방문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저도 파워업을 언제할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기승전 스팀파워업이네요 ~

네, 쓰고 나니 기승전 파워업이되더라구요,, 타이밍을 고르는게 쉽지는 않지만요.. 방문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스팀파워가 진리죠-ㅅ-

네, 맞습니다^^;;

스팀파워가 약해서기 보다...
제가 지금 저런 상태인데

보팅을 너무 남발하면 명성수치의 비해 보팅파워가 너무 떨어지면 발생하는 현상으로 그냥 시간 지나면 해결됩니다.

굳이 스팀파워 올릴 필요 없어요.
현재 자신의 보팅파워를 확인해 보고 50%이하라면 몇일 그냥 보팅만 하지 않으면 다시 70%이상 올라가 있을 거예요. (보팅파워 20%-40%때 정말 답답해서 죽는지 알았네요.)

물론 글쓰기, 덧글, 팔로우, 보팅..등등 불가 상태이여도 몇시간 방치하면 다시 글쓰기 가능한 상태로 변경됩니다.

물론 그때 내가 보팅 및 팔로우(상대가 팔로우를 해도)를 하면 다시 글쓰기 불가 상태가 되요.ㅜㅜ
제가 경험으로 지금 보팅하지 못하고 글만 쓰고 있는 상태입니다.

ㅜㅜ 무지 힘드네요. 약 보팅파워 60% 정도 올라가니깐...조금 나아진듯 합니다.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저도 그렇게 세세한 부분까지는 몰랐는데 자세히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successtrainer 님의 팬으로서 말에 공감하는 바이지만 스팀파워가 약한 분들이 모두 보상이 적다고 불평불만을 하고 있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남을 시기하기보다 각자가 할수있는최선의 다하며 꿈을 꾸고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희망 과 최선이야말로 성공의 열쇠라고 믿는 사람이 여기 스팀잇에는 많다고 보기때문입니다.
하지만 간과해서는 안되는점을 거침없이 이야기 해주신점 감사드리며 혹 나는 불평자가 아닌지 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 맞습니다. 쓰고나니 직설적으로 보이는 표현이 있어 신경쓰였는데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저도 모든 분들이 그렇다고 일반화 시켜서 생각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저또한 각자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고 계신 분들이 많다고 보고 있습니다.

제가 잘이해를 못한것일수도 있는데요
스팀잇이라는 시스템이 진입장벽이 굉장히 높은것 같은 뉘앙스의 글처럼 느껴져서요. 저는 학생이라서 많이투자하지는 못했지만.스팀에가치를 믿어서 저 나름대로는 큰돈을 투자했는데요. 저와같이 관심은 있으나 자본이 부족한 사람들은 다 도망갈것같아요.ㅠ 제 미천한 소견을 조금 보태면 스티머들이 시스템 안에서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투자 하는것 보다는 콘텐츠의 가치에따라 투자하고 스팀의가치가 올랐으면해요. 만약 스팀 파워가 강제 된다면 조금 거북해서요 ㅠ 저는 스팀잇이 진입장벽이 높은 우리들만에 리그가 아니라 대중문화가 됬으면 하거든요.

네 맞습니다. 저도 대중 문화가 되었으면 합니다.
스팀파워가 강제이거나 진입장벽이 높다는 의견이 아니라
위 글은 스팀파워가 높을 경우 할수 있는 일이 더 많고 더 크다는 의미의 뜻입니다.

BUY THE STEEM !!

조금 갸우뚱하게 되네요. 페이스북등의 SNS서비스가 시장가치를 가지는건 실제로 부가가치를 제공하기 때문이죠. 그 부가가치를 이용하려 사람들이 몰리고, 사람들이 많이 쓰는 플랫폼은 그 자체로 돈이 되니까요.

개발진들이 추구하는 방향을 보아도 장기적으로 많은 유저를 끌어모아 스티밋 브랜드 자체의 시장가치를 높이려는것으로 보입니다.(reddit의 이용자수를 목표로한다는 글을 본 기억이 나네요)

스팀이 스팀을 캐는 스티밋 시스템의 본질상 활동유저가 극적으로 늘어난다고 해도 아주 낙관적으로 봐도 50%의 유저는 송사리만도 못한 스팀파워를 가진 상태로 활동하게 될것으로 보입니다만 SNS의 성질상 충분한 수의 유저가 확보된다면 그들은 달러로 들어오는 보상이 없더라도 활동하며 커뮤니티에 기여할것으로 기대됩니다.

스티밋은 다른가상화폐와는 달리 서비스 플랫폼에서의 재화라는 부가가치를 가진 가상화폐 시스템이지만, 현재의 이용자수로는 '서비스 플랫폼으로서의 부가가치'보다는 '투자대상인 가상화폐'로서의 비중이 더 높고, 그건 비트코인등 다른 화폐의 가치가 급락하면서 같이 가격이 변동되는 현상만 보아도 부인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스팀의 시장가치는 스티밋의 플랫폼으로써의 가치가 올라가면, 즉 유저수가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보장되어 안정될 것이고, 지금 스팀에 투자한분들도 충분히 보상받을것이라 생각합니다만, 그것은 수많은 스팀파워가 없는 이용자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해야 가능한 것일것입니다.

물론 말씀하신대로 스팀의 가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현재 보상을 받으며 활동하는분들이 동기부여가 될 것이고, 그분들을 보며 새로이 유저가 유입되는 선순환도 일어나겠습니다만, 말씀드린바와같이 결국엔 보상과 상관없이 SNS플랫폼으로서만 스티밋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수가 늘어나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맥락에서 스팀파워가 낮은 유저의 스티밋이용의 가치를 평가절하하시는것은 좋게 말해도 당황스러운 것이군요.

네, 고견 감사드립니다.

많은 정보 가져 갑니다....^^
스팀을 사라......와-우...............................................!!

네 방문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깔끔하게 정리해주셨네요.
저도 그래서 스팀을 사서 종종 모으고 있습니다. (소액이지만요 ㅎㅎㅎ)

성공트레이너님 글 잘 읽었습니다. 저는 주로 제 작업 위주의 포스팅을 하느라, 스팀 자체의 가치 상승에 대해서는 깊이 고민해 본 적은 없는데, 덕분에 많은 점들을 생각하게 되고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이렇게 공이 많이 들어간 포스팅이 다소 거친 표현으로 의도치 않으신 방향으로 흘러갈까 염려가 됩니다. 그럼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D

역시나 이런 이유가 있었군요 ㅎㅎ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