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뉴스] 걸으면 암호화폐를 벌 수 있는 새로운 게임 비트헌터즈 등장! 과연 포케몬Go를 넘어설 수 있을까?

in #kr-newbie8 years ago (edited)

[일본뉴스] 걸으면 암호화폐를 벌 수 있는 새로운 게임
비트 헌터즈 등장!
과연 포케몬Go를 넘어설 수 있을까?


jpnews-title.png


안녕하세요 여러분 @goodcontent4u 굿컨입니다.
세상은 확실히 블록체인 기술로 뜨거워져 가는 것 같습니다.
걸으면서 게임을 즐기면 암호화폐가 벌린다니 꽤나 파격적이군요.


이미지 출처: flick! digital

↓여기서부터 기사원문 시작입니다.

포케몬GO같은 새로운 게임 "비트헌터즈(BitHunters)",
걸으면 돈이 벌린다니?

비트헌터즈(BitHunters)를 발표한 것은, 도쿄중앙구의 리얼 월드 게임즈 주식회사.
포케몬GO처럼, 스마트폰을 갖고 현실세계를 걸어다니며 전개되는 GPS게임으로 현재, 봄 론칭을 향해서 사전접수중에 있다.(http://bithunters.jp/)

필자 덧>


게임 트레일러를 보니, 증강현실을 게임에 접목한 듯하네요.

포케몬과 똑같이 거리를 실제로 걷는다.

게임은 판타지물로 파티를 짜서 거리를 거닐면 몬스터가 출현하여 전투를 통해 경험치를 쌓아가는 타입. 단순 RPG와 다르게 실제로 거리를 걷지 않으면 안되는 점은 포케몬GO 등과 똑같지만, 거리 이곳저곳에서 나타나는 몬스터와의 전투라는 RPG풍의 게임은 많은 사람이 기다려왔던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GPS게임+암호화폐


이미지 출처 : flick! digital

이렇게 써 놓고 보면 Ingress나 포케몬GO의 국산 판타지 풍의 게임으로 보이나 이 게임을 단연 흥미 깊게 만드는 것은, 바로 GPS게임이라는 틀에 "암호화폐"를 더한 것에 있다. 걷거나 게임 내 경험치를 쌓음으로써 제공되는 토큰에 비트코인 등에서 사용되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사용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 토큰, 장래에는 비트코인 등과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즉, 최종적인 계획으로는 "걸으면서 돈 버는" 게임이 된다는 얘기다.

거리를 걸으면 몬스터와 만난다. 또 Ingress나 포케몬Go 등과 마찬가지로 현실세계에 있는 사적(史跡) 등이 포털로써 등장한다. "걸으면서 돈 번다"는 얘기는 당최 무엇이고 그 돈은 누가 내주는 것일까? 질문을 하니, 동사의 CTO/CFO인 오카베 노리타카(岡部典孝)씨가 답하길 "이 토큰을 많은 사람이 가치가 있다고 인정함으로써 가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비트코인 등과 똑같은 시스템입니다. 발행된 비트코인에 대해서 많은 사람이 가치가 있다고 인정함으로써 가치가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문외한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대답이 돌아왔다.

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면, 1Km정도 걸음으로써 캔주스 하나 살 정동의 가치가 발생한다고 한다. 어쩌면 효율적으로 토큰을 벌어들이면 비트헌터즈를 플레이하며 살아가는 "프로 비트헌터"가 탄생할지도 모른다.

"그게 직업이 되나?"라고 여길지 모르겠지만, 블로그를 써서 돈 버는 블로거, 동영상을 업로드 하며 돈 버는 유튜버도 처음에는 의아하게만 여겨졌다. 비트헌터즈를 플레이해서 돈을 버는 비트 헌터가 탄생하더라도 이상할 일은 아니다.

적과의 전투는 판타지 풍이다. 파티 동료가 마법을 걸고, 검을 휘두른다. 오토 배틀도 가능하다.

돈을 버는 또 하나의 시스템

이 비트헌터즈에는 수익을 얻기 위한 시스템이 또 하나 존재한다. 그것이 지방자치제에 의한 건강과제해결을 위한 보조금이다. 앞으로 일본은 고령자가 늘어날 것이기에 막대한 의료비부담을 안게 된다. 그래서 미리 건강증진을 시킴으로 인해 의료비부담을 줄이고 그렇게 줄여서 책정된 의료비의 몇%인가를 사업자에게 지급한다는 시스템이다. 리얼 월드 게임즈사에서는 코우베시(神戸市)와의 협력으로 비트헌터즈를 사용하여 "의식하지 않은 건강증진행동이 습관화되는 시스템 만들기"의 실증실험을 실시하기로 했다.

즉, 걸어서 건강해진 분만큼, 의료비부담을 경감시켰기에 토큰이 지급된다는 것이다.
게임 중에 동료가 된 캐릭터. 캐릭터에도 레벨이나 강함, 기능이 있으며 '룬'이라 불리는 아이템을 합침으로써 더욱 캐릭터를 강화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일반에게는 실현곤란한 GPS 게임을 실현시킨 시스템

포케몬GO의 인기에 이어, 같은 게임을 개발해라!라는 시령은 일본 게임 각사에 내려진 듯 하나, 사실 이게 그렇게 쉬운게 아니다. 무엇보다 현실세계의 지도를 사용해야 하는 점. 이를 위해서는 Google과 같은 권리자에게 매우, 막대한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 초기의 Ingress나 포케몬GO는 운영하고 있는 Niantic사가 Google의 사내 벤쳐였기에 발족 가능한 게임이었다 여겨진다. 물론 Google사내의 일이니 확정지을 수는 없더라도 비교적 싼 이용료였을 것이다. 뭐든간에 Niantic의 대표인 존 한케씨는 Google Earth를 만든 사람이니 말이다.

하지만 그 Niantic사도 현재는 지도사용료 코스트를 낮추기 위해서인지 OSM(Open Street Map : 오픈 라이센스로 만들어진 지도 데이터)을 이용하게 됐을 정도니.

리얼 월드 게임즈사에서는 지도 데이터는 자사개발이라 한다. 이 지도 데이터 라이센스 확보도 계획하고 있으니 소위, 비트헌터즈는 그 샘플 게임인 셈이다. 타사가 이 지도 데이터를 사용해서 게임을 개발할 수도 있게 된다는 얘기다.

두사람이 걸은 거리, 무려 2만4000Km

이 게임 개발에 무려 4년의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 원래 리얼 월드 게임즈사는 게임 개발회사의 관련회사로 게임 개발회사인 리얼앤리얼사는, 현실세계와 오버랩하는 게임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었으나 Ingress가 초래한 충격은 매우 컸다고 한다.
거기서 세이코(清古)씨와 오카베(岡部)씨는 철저하게 Ingress와 포케몬GO를 플레이. Ingress는 두사람 다 최상위인 레벨 16에, 포케몬GO도 세이코씨가 트레이너 레벨 40, 오카베씨가 33에 도달했다고 한다. 이를 위해 걸은 거리가 무려 두사람 합산 2만4000Km(지구의 반지름 이상)을 넘었다고 한다.

"걷고, 건강해지고, 돈 벌자"라는 완전히 새로운 게임 "비트헌터즈" 일반공개까지 이제 조금 남았다. 처음부터 플레이하면 포털 등록 등에도 참가할 수 있고 메리트도 크다한다. 흥미가 있는 분들은 사전등록!!!




굉장히 흥미로운 기사였습니다. 일본에 계신 분들이 아니고는 사전등록을 해봐야 플레이 할 수 없기는 합니다만 분명히 블록체인과 연계된 게임 서비스로 암호화폐 발행까지 되는 점은 분명히 굉장한 이슈가 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한국에서 아류작, 혹은 해당 게임사에서 한국지도까지 구현하지 않는 이상 국내에서 이 게임으로 돈을 벌기는 무리이겠지만 분명 '아류'작들은 줄줄이 탄생할 듯 합니다.

지금이야 자신도 어른이 되었지만 옛날에 부모님들이 늘상 하시던 말씀이 있죠.
게임이던 만화든간에 소위 오락이라 불리는 것들에 빠져 있으면 하시던 말씀.

"그걸 하면 밥이 나오니 돈이 나오니?"
게임해서 밥 살 돈이 나오기 시작하면 이제는 뭐라고 해야할까요? ㅎㅎ

IT기술을 기반으로 점점 '수익'창출 방법도 다양해지는 세상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가능성과 다양성을 인식하지 못한채 또 선두를 뺏기고 나서 끝물에야 뽀로로GO같은 거 만들라는 소리하지 말고 좀 더 새로운 기술과 흐름에 주목해서 '선도'해가는 제대로 된 IT강국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상으로 포스팅 마칩니다.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굿컨과 처음 만나신 뉴비분들이라면 도움이 될 글 목록!
★WARNING★ 뉴비님들 필독!^^ 이곳은 블록체인 블로그입니다.
[초보강좌] 움직이는 이미지로 보는 스팀잇-초보라면 반드시 해야 할 일-백업 패스워드
[초보강좌] 움직이는 이미지로 보는 스팀잇-스팀잇은 여러 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다?!?
[초보강좌] 움직이는 이미지로 보는 스팀잇-편집기 전환방법
[초보강좌] 움직이는 이미지로 보는 스팀잇-프로필, 아바타, 커버 이미지 설정하는 방법
[초보강좌] 움직이는 이미지로 보는 스팀잇-커버 이미지 만들기
[초보강좌] 움직이는 이미지로 보는 스팀잇-NSFW(Not safe for work), 자극적인 컨텐츠 표시설정
[초보강좌] 움직이는 이미지로 보는 스팀잇-첫 포스팅? 이 태그는 꼭!




텍스트와 일반 이미지로 구성된 강좌!
아래 내용으로 미리 선행학습해보세요^^
★WARNING★ 뉴비님들 필독!^^ 이곳은 블록체인 블로그입니다.
[초초보팁] 의외로 모르시는 스티밋 사용법
[초초보팁] 마크다운 스타일 가이드 글자(TEXT) 크기 조절하기
[초초보팁] 마크다운 스타일 가이드 글자 꾸미기 일람
[초초보팁] 마크다운 스타일 가이드 리스트를 만들어 봅시다
[초초보팁] 마크다운 스타일 가이드 이미지(사진) 올리는 방법
[초초보팁] 마크다운 스타일 가이드 업로드 한 이미지(사진) 수정해보자
[초초보팁] 댓글에 사진은 어떻게 넣어요?
[초초보팁] 마크다운 스타일 가이드 인용문 만들기
[초초보팁] 스팀잇을 주로 컴퓨터로 이용하신다면? 서식을 만들어 쓰면 편합니다!
[초초보팁] 마크다운 스타일 가이드 색상 박스(code)는 어떻게 만들까?
[초초보팁] 본문 사진 크게 보는 법
[초초보팁] 마크다운 스타일 가이드 테이블(표) 만들어봅시다!
[초초보팁] 테이블(표) 쓰지 않고 컬럼 나누기
스팀잇(Steemit)을 게임처럼 즐기게 해주는 스팀잇보드(SteemitBoard)
'썸네일(Thumnail:미리보기) 중요합니다!'
[초초보팁] 본문 글씨 색상 바꾸는 방법
[초초보팁] 베껴쓰는 서식!
[뉴비팁] 스팀달러(SBD)로 스팀파워 업 시키는 방법
[뉴비팁] 보상확인, 이게 얼만거지?
[뉴비팁] 소재의 리바이벌
[뉴비팁] 프로필 사진 변경방법
[뉴비팁] 뉴비의 젖줄, 올바른 태그사용
[초초보팁] Flag(깃발마크)=다운보트
[뉴비추천] busy 이런 점이 좋아요!
Steepshot-스팀잇계정으로 사진공유하고 보상도 얻고!
뉴비 생존기 이벤트에 올라타라!
Steepshot(스팁샷) 문제점 보완하기
(※ 스티밋에서는 링크가 걸린 항목들을 클릭하면 바로 페이지가 바뀝니다. 즉 새창열기가 안되니 컴퓨터를 이용해서 보실 때는 링크가 걸린부분은 ctrl+마우스 왼쪽키 혹은 링크 걸린 문장에 커서를 두고 마우스오른쪽 키를 이용해 새탭 열기 혹은 새창열기로 보시기를 권합니다.)







talws.gif

팔로우 해주실 땐 말씀 남겨주세요. 바로 맞팔갑니다^^

Sort:  

저도 이런게 꼭 나오길 기대했었네요 :)
한국에선 안될거 같긴 하네요 ㅎㅎㅎ

머리가 꽉 막힌 꼰대들이 많으니 기술을 기술로 인식을 못할테니 말입니다...;;

포켓몬고도 군사시설 어쩌구 하면서
못들어오게 하려고 발악이엇죠

뭐든 걍 "하지마"
대기업과 공무원이 하는거 빼고는
"하지마"

이게 대한민국 현실이네요

오 재미있는 시도인것 같습니다.
게임 분야에서도 더 많은 블락체인 프로젝트들이 생겨났으면 좋겠네요.

저도 그런 바람입니다.
게임도 즐기는 시대를 벗어나 이제는 게이머도 수익창출이 가능해진 시대인데 말이죠. 좀 더 이런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들도 많이 선보였으면 합니다.

건강해지면서 돈도 벌고 게임도 하고
3박자를 갖춘 게임이네요
한국에도 정식 출시 됬으면 좋겠네요

3박자는 두루 갖췄는데 GPS가 메인이니 맵데이터가 가장 문제일거 같습니다.
일본에서는 맵 데이터 비용 무시 못하니 자사개발 맵을 사용했다는데 한국에 들어올 때 구글이든 네이버든 다음이든 이런 맵 데이터를 비용 들여 쓰진 않을 듯 하니...과연...orz

아... 그 부분이 있었네요 ㅜㅜ

인그레스를 꾸준히 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기대되는 게임이네요 :)

기대작이 한국에서도 발매되기를 바래봅니다.

캬~ 나름 기발한데..
어떻게 발전할기 기대되네요.

한국도 좀 제대로 머리 트인 사람들이 이끌어나가면 좋을텐데요...
국내에서 이런 소식이 먼저 전해지면 좋은데 늘 해외 서비스 따라하기 뿐이니...참...

오늘 하루 가장 추운날이 될꺼같아요!
완전 무장하고 하루를 시작했네요! ㅠㅜ
감기 조심하세요~~

짱짱맨님도 감기 조심하세요^^

올리신 지난 포스팅 하나씩 정주행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좋은 팁도 많이 배우고 재미있는 기사도 얻어가네요.
보팅 꾸욱~ 팔로우 꾸욱~하고 갑니다. ^^

찾아주셔서, 읽어주셔서, 보팅&팔로우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맞팔했어요^^

와 게임하면서 돈벌고 운동까지 삼박자를 갖추긴 했는데 개발이 잘 되야 할텐데 말이죠. 많은 곳에 보급되면 정말 사용하는 유저들 엄청날 것 같는데요 ㅎ

하지만 또 이게 우리나라에 들어올려면 엄청난 장벽이 기다리고 있으니...
우리나라도 빨리 이런거 하나 만들었음 좋겠는데 말예요...;

흥미로운 시도이긴 하네요! 근데 포켓몬 고처럼 불법판이 나오지 않을까 조금 걱정되긴 합니다

저도 같은 생각 했습니다.
해킹에 대한 대책없이 이 게임이 운영되면
킬로수 조작으로 엄청난 불로소득으로 인해
게임이 순식간에 망하겠죠

우려되는 문제긴 하군요. 서버단이 아니라 클라이언트 부분에서 조작은 가능할테니...서버로 넘어갈 때의 진위여부를 어떻게 가리냐의 문제가 되려나요?

가능성도 있군요. 암호화폐 토큰 발행을 위해서 블록체인 시스템을 채용한 것이니 나름의 보호책도 강구했으려니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