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의 그들은 무엇인가

in #kr-pen6 years ago

pg.jpg
노인이 지팡이를 짚고 한 발 한 발 걷고 있다. 광장을 가로지르는 노인의 목적지는 흡연실. 노인은 한참을 걸어 흡연실에 도착한다. 재떨이를 마주한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담뱃갑을 꺼낸다. 하지만 노인은 담뱃갑에서 담배를 꺼내 물지 않는다. 담배를 입에 물지도, 손에 들고 있지도 않지만 노인의 손은 재떨이로 향한다. 재떨이에 도착한 손은 재떨이를 헤집는다. 노인의 손은 최대한 원통형을 유지하고 있는 꽁초들을 찾으면 그것을 담뱃갑으로 옮긴다. 보편적으로 원통형의 그것들은 담뱃갑에서 손으로, 손에서 입으로, 입에서 손으로, 손에서 재떨이로 향한다. 하지만 노인의 손에 닿은 것들은 반대로 재떨이에서 손으로, 손에서 담뱃갑으로 움직인다. 나머지 과정은 유예되었다. 그것들은 동료들과 다르게 짓이겨지지 않았기에 해체되고 노인은 잔해들을 모아 하나로 만들어 손으로, 입으로 가져갈 것이다.

원통형을 유지한 그것을 찾는 노력을 하는 대신, 완전한 상태의 그것을 구걸하는 노인도 있다. 하루에도 몇번을 마주치는 그 노인은 최대한 비굴한 표정으로 니코틴을 갈구한다. 내가 본 바로는 노인이 특별히 좋아하는 원통형의 그것도 있는 모양이다. 많은 거절에 익숙할 노인이지만, 가끔은 더욱 절박하게 원하기도 한다. 노인이 특별히 좋아하는 종류인지, 노인의 갈증이 참기 어려운 상태였는지는 알 수 없다. 담뱃값이 오른 이후로 노인의 성공률은 크게 내려간 것 같지만, 이따금 세상을 다 가진 표정으로 지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세상이 아직 그리 삭막하진 않은 것인가, 아니면 그 노인의 존재 자체가 세상의 삭막함을 보여주는 것인가?

제각각의 방법으로 니코틴을 갈구하는 그들에 비해 여유로운 이들도 있다. 시야가 탁 트이지 않아서 눈에 잘 띄지는 않지만, 그만큼 길이 좁아서 보행자들에게는 크게 각인 되는 위치에 그들이 소주병을 사이에 두고 둘러 앉아있다. 그들이 보행자들에게 불편할 것을 감수하고도 좁은 길목에 있기에, 그들의 눈에 띄지 않고 그들을 관찰할 방법은 없다. 그들을 관찰하는건 예의도 아닐 것이다. 지금도 아슬아슬할까? 아무튼 그들에 대해서 아는 것은 별로 없다. 그들이 세상에 몇 남지 않은 풍류를 아는 이들이라 그렇게 시간을 보내는건 아니라는 것 뿐.

내 스타일은 무언가를 끌어내는 것이라 생각한다. 때로는 논리적이기도, 때로는 억지이기도 하겠지만, 글은 그 자체에 담긴 내용으로만 가치를 지니진 않는다. 그래서 내 글이 억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해도, 독자들이 그 글을 읽으며 새롭게 떠올릴 생각들이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굳이 의미를 찾기 위해서 글을 쓴다는게 아니라, 내 글은 그냥 그랬다. 하지만 역시 낮에는 머리가 돌지 않는다.

머리가 잘 돌지 않는 와중에 괜찮은 생각을 하나 해냈다. 내가 끌어낸 무언가가 억지라 하더라도 독자들이 글에서 새롭게 떠올리는게 있고 그로 인해 글에 가치가 생긴다면, 내가 아무 것도 끌어내지 않아도 독자들이 새롭게 떠올리는게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새벽에 쓰는 글과 낮에 쓰는 글은 많이 다른 느낌이다. 독자들의 느낌은 또 어떨까.

Sort:  

김리님 낮에 쓴 글은 소설을 읽는 것같이 묘사한 부분이 촘촘하고 세밀하게 다가옵니다. 예전에 직장이 부산역 근처라 늘 광장의 노숙자를 관찰했는데 그 때 기억이 나네요:)

모두가 늙어감을 당할테고 그들중
대부분은
무소유의 풍류를 배울 틈조차 없었을테고
또 그런그들 대부분이 경쟁사회 시스템의
부유한 위너는 아닐것입니다
최소한
늙었음 만으로도 어느정도 기품과
무조건적 존경을 받던 시골 촌로의 삶으로부터
우리는 얼마나 멀리 후퇴했는지요
옛시절 만큼 만이라도
그들을 초라하지 않게하는 정부이기를 바래봅니다

여행하다보면 한가로이 여행다니는 유럽 연금수령자들이 부러운 하루입니다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들은 어쩌면 저 노인의 간절함을 이해하지 못할지도 모르겠네요...
아주 한참 전에 미국 말보로 광고가 떠오르네요. 한 사내가 태양이 작렬하는 사막을 가로질러 걸어옵니다. 딱 봐도 엄청 덥고 지치고 목말라 보이죠.
그런 그가 다행스럽게도 마을을 발견하고 마을로 들어섭니다.
눈앞에 가게가 있고, 가게에 들어선 그는 물병을 집어듭니다. 하지만, 주머니에서 꺼내든 돈은 달랑 1달라. 그가 애타게 담배를 바라봅니다. 물병을 내려놓고 담배를 집어 계산하죠.
그리곤 담배를 멋지게 피워물고 석양속으로 사라집니다.

왠지 모르겠지만, 그 노인과 사막의 사내가 겹쳐지네요 ^^

건조한 묘사가 오히려 노인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떠오르게 만드네요..

니코틴을 구걸하는 노인들이 넘쳐나는 사회가 한국이 아닐까 생각해 보네요
복지가 취약한 사회의 노인들은 불쌍하기까지 하지요

앞으로 가는 것을 반대로 돌려보시다니. 다른 사람의 눈으로 세상을 보았습니다.

젊은시절 열심히 일했지만... 자신의 노년을 제대로 준비못한 것이 지금의 노년층이 아닐까 싶네요! 복지라도 늘어나면 좋겠지만... 그또한 쉬운일이 아님을...

물질적인 풍요로움이 없이 삭막한 느낌의 노인 묘사가 인상적이에요.

노인의 풍류란
어쩌면 포기에서 오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심오한 글이네요ㅎ 잘읽고 갑니다.

앗! 낮에 쓴 글이군요!!! ㅎㅎㅎㅎㅎ 글쎄요... 크게 차이를 못 느끼겠는데요. 다만 디테일 묘사가 강화된듯 합니다. 낮이라 밝아서 그런건가요? ㅎ

낮이라 카페 대신 광장으로 나가셨나보네요^^ 낮에 직접 보고 쓰신 글이라 그런지 묘사가 많고 생생하네요!ㅎ

문득 묘사를 촘촘하게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거든요. 연습하다 보면 늘겠죠.

네 촘촘하고 생동감이 느껴지는 묘사입니다.ㅎ

사진도 낮에 찍으면 빛이 잘 나오던데, 오늘의 그림이 그런 듯 해요. 거절을 당연하게 여겼을때 기대치 않은 성공은 묘한 중독성이 있을 것 같아요. 도박같은 매력..

니코틴에 대한 갈증이 해소되는 것과 동시에 간헐적 보상이기도 하니, 노인에게는 아주 큰 쾌락을 주는 행위일지 모르겠네요.

맞아요. 끌어냅니다. 단지, 내 글의 조악함이 걸맞지 않은 까닭으로 제대로 된 글 하나 내기 어렵다는 것을 제외하면, 언제나 사색의 재료가 되고 있으니, 이것만으로도 얼마나 좋은지 모릅니다.

사색의 재료로 활용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느낌은 확실히 좀 다른 거 같은데요. ^^

사실 제가 느낀 느낌은 두려움입니다. 나도 이 글에 묘사된 노인처럼 구걸할 수도 있다. 과연 40년 후 내 모습은 어떨까? 나의 노력과 우리 사회의 긍정적 발전으로 인해 구걸하는 인생은 안 살아도 될 세상은 과연 올까? 이런 두려움이요...

느낌이 조금 다른가 보군요.
글은 그냥 글이라고 생각했는데, 역시나 담배 한대 물고 밖에는 어두컴컴해야 글 발이 받나 봅니다.

나이 들어가며 그러지 말자라는 것이 있는데, 그 모습이 바로 윗 글에 묘사된 모습이네요. 멋있게 늙고 싶습니다. 정말...

느낌이 많이 다르신지는 모르겠지만 읽는 사람은 괜찮습니다.

느낌이 좋다, 나쁘다가 아니라 그냥 다르다고 생각했습니다.

담배만이 아닌
다른 무언가를 통해서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잘 마련되어지지 못한
결과를 보는것 같아서 맘이 아프네요...

담배는 그래도 쓰레기통에서 구할수라도 있지 술은 그러지도 못하니....

제 눈에는 작가님의 글냄새는 같은데요. 너무 민감하신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제가 둔한거겠지요.

새벽과 낮이 천지 차이죠

다 읽고나니 다소 무거운 마음이 듭니다.

광장이란 단어에 최인훈님의 소설 광장이 떠올랐습니다 전혀 개연성이 없어 보이지만 생각해 보니 또 그렇지도 않다는 억지 생각도 듭니다 다만 다른 것이 있다면 저 노인은 구질한 삶에도 끝까지 자신의 삶을 영위하시는 것과 최인훈의 주인공은 그 어떤 사회에서도 인간의 삶은 충족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결국 자살을 선택한다는 차이.
그러나 저 노인분은 어쩜 지금 저 삶의 선택이 노인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이상적인 삶일지도 모른다는 억지스러운,,,,,
곁에 계시다면 담배 두어 갑 사 드리고 싶네요 그래서 해결될 일은 아니지만.

광장이란 단어에는 참 묘한 냄새가 납니다

기온이 딱 좋습니다

그러게요 풍류를 즐기는 건 아니죠. 노년에 나는 어찌될지 모르다 보니 마냥 남일 같지는 않네요

많은 거절에 익숙한... 이란 표현이
왜 제 마음에 와닿는지 모르겠네요... ^-^;

제목만 보고 촛불 광장과 같은 그런 곳에 대한 이야기일까? 하며 들어왔는데 전혀 다른 전개의 내용이네요. 직접 본 장면을 묘사한 건지 상상한 내용인지 궁금하네용 +_+ 잠시 서울역 광장을 걷다온 기분인건 확실합니당

직접 본 장면들입니다. 상상을 덧붙여서 써볼걸 그랬습니다.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분당 야탑역 버스정류장 주변에도
묘사해주신 분들과 비슷한 분들이 적잖이 계셨습니다
버스 기다리다보면 말 섞을 일도 많이 생겼었죠

가끔은 불쾌하게 접근하는 분도 계시고
조심스럽게 예의 다 갖춰서 부탁하는 분도 드물게 계시고
첫 문단의 노인 처럼 장초를 찾아 헤메이는 분들 도 계시고

당시에는 그냥 저런 모습들을 마주하는 상황 자체가 마냥 싫기만 했는데 세월이 조금 지난 지금은 제각기 어떤 사연들을 갖고 있는지 궁금한 마음이 더 크네요
제각기 다른 사연이 있는 분들일텐데

노인들이 요양소로 가지않는 이유 중의 가장 큰 것이 바로 술과 담배라고 합니다.
밥을 주고 잠자리는 주지만 술과 담배는 주지않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