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스팀잇 탈퇴 / 스팀달러 + 스팀 + 스팀파워 총합계 / kr커뮤니티 규모 등등

in #kr-qna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디아나문(@dianamun)입니다. 어제 대중 앞에서 스팀잇을 소개하는 자리가 있었는데요. 저 역시도 스팀잇을 공부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사용법 보다는 제가 이용한 경험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갔습니다. 그때 나온 질문들 중에서 제가 제대로 답하지 못한 것들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1. 스팀잇 탈퇴
    다른 SNS의 경우에는 탈퇴 시, 자신이 남겨 놓았던 모든 흔적들이 사라집니다. 하지만 스팀잇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이루어진 SNS 플랫폼이기 때문에 기존의 탈퇴 개념도, 흔적 지우기도 불가능하다는 게 차이점인 것같아요. 그런데 스팀잇에도 탈퇴라는 개념이 있나요? 그리고 혹시 삭제 기능이 없는 스팀잇에도 탈퇴하게 되면 그 정보가 사라진다거나?? 하는 기능들이 있나요? 제가 이해한 대로면 그런 게 없는 게 맞겠지만 혹시나 하여 문의 드립니다.

  2. 스팀 / 스팀달러 / 스팀파워 총합계
    처음에는 보상받는 것도 신기하고 그래서 우선은 계속 지갑으로 넣고, 그러면서 후원도 하고, 송금도 하고, 환전도 하고 그렇게 했었는데요. 그 과거 기록들을 다 정리하자니 너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릴 것같더라구요. 그런데,갑자기 그게 궁금해졌어요. 저자보상은 우선 스팀달러와 스팀파워로 받게 되는데, 제가 만약에 스팀달러를 다른 데 쓰지 않고 그냥 그대로 모으기만 했다면 총합계가 얼마일까? 총합계가 궁금해졌습니다. 저자보상으로 받은 스팀파워의 총합계가 얼마인지 알 수있는 방법이나 사이트가 있나요?

  3. KR 커뮤니티의 규모는 지금 얼마나 되나요?

  4. 스팀잇을 사용하려고 하는 뉴비들의 경우, 수정은 7일이내 그리고 삭제는 안 된다는 것을 이야기하는데요. 그러다보니 다들 '무섭다...' 라는 반응을 보이곤 합니다. 기록이 영원히 남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다들 기본적으로 있는 것 같아요. 만약 주변에서 이런 반응을 보이신다면 어떻게 이야기를 해주시나요?

  5. 스팀잇에 올린 콘텐츠가 구글검색으로도 잘 잡히나요?

  6. 스팀잇에 올린 콘텐츠는 7일 동안만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이후에는 태그 기반으로 검색했을 때는 스팀잇 안에서 검색이 안 되는 것 같아요. 스팀잇 안에서의 태그기반 검색은 작성 후 7일 이후가 되면 검색이 안 되는 게 맞나요?

  7. 한 번 올린 콘텐츠를 다시 또 올리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콘텐츠는 7일 동안만 저자보상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작성자가 그 콘텐츠를 가지고서 한 번 더 게재 후 보상을 받겠다~ 라고 한다면 어떠신가요? 저는 종종 보상을 받지 않는 가운데서 동일 포스팅을 두 번 게재하는 사례는 보았습니다. 그런데 동일 콘텐츠로 중복하여 올린다면? 보상도 또 받겠다고 올린다면? 이런 부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 기업에서 스팀잇을 이용하는 경우에, 스팀 / 스팀달러로 수익이 발생된다고 하면, 이 부분을 현재 세금처리를 따로 하고 계신 분들이 계신가요? 이 안에서 왔다갔다 하는 거라면 괜찮겠지만, 혹시 인출하여 원화로 수익을 배분하는 과정에서 이런 것들을 어떻게 정리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9. 스팀잇에 올린 포스팅의 '뷰'수가 좋을 때, 그것이 스팀잇 안에서 미치는 영향이 있나요? 아니면 '뷰'수는 그저 수치일 뿐인가요? 가령 페이스북 같은 경우에는 도달수가 몇 명이나 됐는지도 의미있게 보는데요. 스팀잇 안에서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Sort:  
Loading...

@dianamun 님 덕분에 스팀잇 조금 더 알게 된 것 같아요! 앞으로의 콘텐츠 활동도 응원하고, 또 좋은 정보 기대하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ㅎㅎㅎ
아래 답변들이 그때 현장에서 물어보신 것에 대한 직접적인 답변이 될 거 같아요.

3.현재 스팀잇 트래픽의 9.2%를 한국에서 차지하고 있고 미국 다음으로 2위입니다.

4.웬만하면 개인정보 노출이나 법에 저촉될만한 글, 본인의 흑역사가
될만한 글은 쓰지 말라고 합니다.

5.스팀잇 내부 검색 자체가 구글 인덱싱엔진을 이용합니다.
즉, 구글에 잘 잡힙니다.

  1. 구글에서 site:steemit.com 으로 검색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kr-qna태그는 "주로 뉴비" 분들이 "스티밋에 대해 질문을 할 때" 쓰이는 태그입니다! 😝
순수한 질문이 아닌 게시글에는 보팅 지원을 하지 않고 있어요 :)

kr-qna태그가 순수한 질문들이 아닌 글들에 붙게 되면, 서포터즈분들이 뉴비 분들을 도와드리기 힘들어진답니다. 😖

kr-qna태그를 이용하여 순수하게 질문글을 올리고 싶을 때는 제목에 꼭 "질문"이라는 단어를 넣어주세요!😃

이상 kr-qna 서포터즈 가이드 봇이였습니다! 🤖🤖🤖

🔗올바른 #kr-qna태그 사용법 소개글 링크

cool)) the author well done

일부는 저도 궁금한 질문이네요. 제가 답을 해드릴 처지는 못 되고 답이 달리길 기다리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답변 주신 덕분에 몰랐던 부분을 많이 알게 되었어요 ㅎㅎ

`1. 탈퇴: 없는 것으로 알고있어요. 탈퇴해봐야 블록체인에 기록된 글은 지울 수 없으니, 탈퇴 의미가 있을지 모르겠어요. 그냥 개인키를 까먹는거랑 다를 바 없을 것 같아요.

`3. kr커뮤니티 수: https://tool.steem.world/Post/Stat 여기 있을지 모르겠어요.

`4. 수정은 7일이내 그리고 삭제는 안 된다: 광개토대왕비에 새길만한 글만 써라!

`5. 구글검색으로도 잘 잡히나요?: 키워드에 steemit도 함께 쓰면 쉽게 검색되요. 유명한 글은 steemit 안붙여도 잘 뜨구요.

`6. 태그 검색: 스팀잇 검색기능은 너무 거지같아서 한 번 해보고 안써서 잘 모르겠어요. 그냥 구글링으로..

`7. 중복 포스팅: 저는 그런 글을 보면, 작가의 최신글에 가서 보팅해요.

`8. 세금: 외국의 경우 바로 해당국가 화폐로 환전하여 매출로 잡는다고 들었어요.

`9. 뷰 수: 저 혼자 F5 100번 누르면 100뷰 되더라구요. 아무런 인센티브가 없는 것 같아요.

화이트페이퍼는 안읽어봐서 틀릴 수 있어요^^

광개토대왕비에 새길만한 글 ㅋㅋㅋㅋㅋ
앞으로 좀더 유의해야겠어요 ㅎㅎ
답변 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이번에 저자보상 나오면 일부를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정말 고맙습니다.

그러지 말아주세요. 그냥 선의로 남겨주세요^^. 식물이야기 잘 보고 있어요!!

에공 고맙습니다 꾸벅꾸벅

흐흐 @dianamun 님 덕에 스팀잇 잘 배웠습니다! : ) 앞으로도 하시는 활동들 기대할게요!

국화님도 가입을 하셨었군요 ㅎㅎㅎㅎ
국화님의 활동도 기대하도록 하겠습니다 ^^

저도 궁금했던 내용들인데, 감사합니다! ㅎㅎ

네 저도 질문을 받고나니 더 궁금한 것들이 생겨서 공개 문의를 ㅎㅎㅎ
이렇게 질문하고 답을 얻으니 좋네요 ^^

풀봇 드리고 갑니다.

넵 고맙습니다 ^^

우왕 다른 분들이 답변 잘해주셔서 저도 배우고 가네요^^:;;

이번에 많이 배웠어요.
스팀잇에서는 질문을 던져도 이렇게 친절하게 잘 가르쳐주시는 분들이 많아 정말 많이 배워요.

저도 잘 몰랐던 내용인데 덕분에 저도 알게 되었네요!

^^ 정말 친절한 스티미언분들이 많아서 좋아요

나머지 분들이 댓글을 잘 달아주셨네요. 8번 항목만 첨언 드립니다.

#8
스팀, 스달과 관계없이 암호화폐 전체에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8.a. 한화로 인출하기 위해서는 한국 거래소를 이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지난번 정부의 거래실명제 실시후 2000만원 이상의 출금을 시도하면 모니터링 대상이 됩니다. 해당 내용을 찾아보니 간단한 기사가 있군요.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24/2018012400190.html

8.b. 일반적으로 현재 암호화폐 운영 회사들은 직원들 임금을 가상화폐로 주는 방식을 통해 한화/달러화 교환 없이 바로 지출 하는 형태를 취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거래소 내부 지갑에서 여러명에게 지속적으로 전송 할 경우 모니터링 대상이 되므로 외부 지갑에서 외부 지갑으로 보내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관련법이 없으며, 따라서 아직 합법도 불법도 아닌 상황입니다.

8.c. 한국 정부는 암호화폐에 있어 아직 어떠한 세금도 부과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법인의 경우에 a의 조건 미만에서 입/출금을 시도하시더라도 세무 기장시 매입/매출을 잡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 가능한 방법은 개인 명의로 된 출금만 가능합니다.

민감한 내용이라 오프라인이라면 모를까 웹상에서는 더 이상 자세하게는 답변 달기가 어려울 듯 하네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

와..! 고맙습니다.
기업들에서도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스팀잇 안에서의 활동을 장려하고 콘텐츠를 만들어 내려고 하지만, 이런 부분이 사실상 가장 어려운 것같아요. 그냥 해도 되는 건지, 더 검토를 해봐야 하는 건지, 그럼 어떤 검토를 해야하는지 등등이요. 이렇게 정리해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저자보상이 얼마 되지 않겠지만 우선 페이아웃 시점에 저자보상 중 일부를 드리도록 하겠스빈다. 고맙습니다.

과거 포스팅을 봤는데 에세이, 소설, 연애, 북스팀, 행사, 웹툰... 다양한 활동을 하셨내요 ㅎㅎㅎ 저는 개인적으로 에세이도 좋았는데 이젠 더 안하시는지 궁금해용~

에세이는 지금 4월에 그림 작가님과 함께 다시 한 번 오픈할 예정이에요.
추가 에세이는 작성하는 대로 올릴 예정이랍니다. ^^
에세리를 좋아해주셔서 고맙습니다

8번만 답변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법적인 기준이 없습니다. 참고로 일본을 예를 들면 스팀파워는 자산으로 SBD는 엔계좌로 인출 및 타 가상화폐거래시 이익확정이 되는데 회사의 경우 컨텐츠등을 생성하는데 들어간 비용이 명확히 증명이 되는경우 비용처리가 가능합니다. 개인은 해석이 달라집니다. 단 아직 일본 공식적인 관청에서 정확히 스팀을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없어보이네요.모든것은 비트코인 중심입니다.

답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여러모로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일본의 사례와 함께 들으니 뭔가 더 흥미롭네요. ^^

7번 같은 경우는
재탕한다고 하더라도 무언가 내용을 덧붙이거나 그러면 더 좋을 것 같아요 ㅎㅎㅎ
아예 똑같이 포스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그렇겠어요. 너무 똑같이 올리기 보다는 뭔가... 다른?
흠흠

덕분에 저도 많이 알아갑니다
아직 모르는게 참 많아서 공부해야겠어요

다들 좋은 답변과 의견 주셔서 이번 기회에 많이 알게 됐어요 ㅎㅎ

 6 years ago  Reveal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