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투자 지표 (2018.1.30)

in #kr6 years ago

안녕하세요, Aiyren입니다.

오랜 만에 증시가 조정을 받은 모습이지만 오늘도 헬스케어 업종은 대부분 상승하며 상승세를 지속해 나가고 있습니다. 건설 섹터도 몇 년 간 지속 하락하다가 저평가 매력때문인지 연초부터 약 15% 상승하면서 반등을 이어나가고 있네요.

이번 주도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투자자 판단을 돕기 위한 자료로서, 투자의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ETF 투자 지표 (2018.1.30 마감 기준)

최근 변경 사항

  • 상관관계 (월별 수익률) TOP 20 추가

모니터링 대상

  • Google Finance 직전 1년간 월별 가격 및 수익률 내역 (총 12개월)
  • 레버리지/인버스 ETF 제외 (지난 포스팅 참조)

투자 지표

** [새 탭에서 이미지 열기] 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어요

1) 일간 수익률 (TOP 30)

  • 지수 : 코스피 (-1.17%) / 코스닥 (-0.66%)
  • 섹터 : 헬스케어 상승 지속, 건설/은행 반등 중
    62A0B6FA-A374-4507-BE3D-9741093CAF7D.jpeg

2) 변동성 (TOP 30)

3) 듀얼 모멘텀 (TOP 30)

절대/상대 모멘텀*을 1/3/6/12개월 평균 값을 가중치별로 합산한 점수

  • 절대(ABS)모멘텀 : 1~12개월 누적수익률이 양수일 경우 1점, 음수일 경우 0점
  • 상대(REL)모멘텀 : 1~12개월 누적수익률의 전체 순위별 상대 점수 (0~1점)
    4A3DD643-9291-4229-B602-BC475A2F0792.jpeg

4) 통합 점수 (TOP 30)

  • 변동성 지표 30%
  • 모멘텀 지표 60%
  • 상관관계(코스피200 기준) 10%
    04E4B6E8-61C5-4139-A835-7CA63EFE5B1E.jpeg

5) 상관관계 (통합 점수 TOP 20 기준)

  • 1에 가까울 수록 강한 양의 상관관계 (가격이 같이 움직임)
  • -1에 가까울 수록 강한 음의 상관관계 (가격이 반대로 움직임)
  • 0 : 상관관계 없음
    46B839F7-6670-4CA9-B395-211D063F1FFB.jpeg
Sort:  

깔끔하게 정리하고 계시는군요. etf보다 개별주를 좋아하지만 요즘은 정말 etf가 대세인것 같습니다. 덕분인지 거의 섹터 단위로 움직이고요. 팔로우 및
리스팀 하겠습니다. ^^

저도 작년까진 저평가 개별주 투자를 많이 하다가 작년 대세상승기에 저평가주들이 소외되면서 지수형 ETF로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ㅎㅎ 중단기 모멘텀 위주의 투자는 개별주보다는 섹터나 지수형 ETF가 나아보이더라고요 (근거는 없습니다^^)

너무 어렵네요.. 역시 경제는 오늘도 어렵습니다!

처음엔 어려워보이지만 알고보면 개별 주식보다 투자하기 쉬워요 ㅎㅎ

좋은 글 감사합니다.ㅎㅎ
앞으로도 계속 팔로우하면서 배워야겠네요

네 반갑습니다 ^^ 자주 들러주세요~

Congratulations @aiyren!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total payout received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By upvoting this notification, you can help all Steemit users. Learn how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