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힐리즘의 사상 : 니체, 이 사람을 보라

in #kr6 years ago

안녕하세요. 뉴비 @armdown 철학자입니다. (armdown은 '아름다운'이라고 읽어주세요.)
이번 포스팅은 니체의 사상 중 '니힐리즘'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했습니다.

니힐리즘의 사상 : 니체, 이 사람을 보라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 그가 죽은 지 100년도 훨씬 넘게 지났다. 하지만 여전히 그는 새롭고 낯설다. 그는 마치 갓 쓰인 것처럼 읽힌다. 또는 읽히지 못한다. 니체가 읽히지 못하는 것은, 많은 독자들이 그가 제기한 물음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물음의 중심에 니힐리즘(Nihilismus)이 있다.

흔히 신의 죽음이 니힐리즘을 가져왔다고 한다. 마치 '신은 죽었다'는 니체의 말이 신을 죽이기라도 했던 듯이. 하지만 말 한 마디로 죽을 신이 아니다. 오히려 신을 죽인 것은 우리들이다. 신을 만든 것이 우리이듯이. '신은 죽었다'는 말의 깊은 뜻이 거기에 있다.

우리의 인식은, 우리가 신을 죽였다는 것, 애초에 우리가 신을 만들었다는 것을 아는 경지에까지 이르렀다. 이 때 니힐리즘은 인식론적 의미를 갖는다. 니힐리즘은 여러 의미로 쓰이지만, 그 말은 특히 최고의 가치와 의미의 상실을 가리킨다. 최고 가치로 여겨져 온 신이 우리가 만들어낸 존재에 불과하다니!

그런 인식 이후에 찾아오는 허무감이 워낙 크기 때문에, 그 허무감이 니힐리즘 자체로 오인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 둘은 구별되어야 한다. 니힐리즘의 인식은 우리가 가진 인식 권력의 증대를 나타내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인식 권력은 앎(Wissenschaft)을 통해 발휘되며, 순수하게 긍정해야 할 그 무엇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신을 만들어 냈을까? 세상을 있는 그대로 긍정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긍정은 우리가 처해 있는 조건을 명확히 아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현실 추수에 반대된다. 긍정은 말처럼 쉽지 않다. 대개 세상은 고통스럽게 경험되기 때문이다. 특히 시간 앞에서의 무력감은 한없다. '이미 일어난 일'(Es War ; it's done)은 결코 돌이킬 수 없으며, 의지(Wille)는 그 앞에서 무력하기만 하다. 이로써 원한감정복수심은 쌓여만 간다. 그래서 우리는 그 고통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신을 발명했다.

‘자신의 실존의 의미와 가치를 보장받기 위해서라면 인간은 아무 것도 의욕하지 않기보다는 차라리 무(無)를 의욕한다’고 니체는 말한다. 없는데 있는 것처럼 발명된 것이 바로 최고 가치인 신이었던 것이다. 무를 향한 의지. 이 때 니힐리즘은 태도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이제 우리는 신을 만들어낸 것이 우리 자신이라는 것을 알기에 이르렀다. 여기서 우리가 깨달아야 하는 것은 우리가 신까지도 만들어낼 수 있는 권력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의 실천적 창조 권력은 그만큼 크고 강하다. 우리는 무를 존재케 할 수조차 있다. 우리는 드디어 이 점을 알게 되었다.

이 창조 권력의 대표적인 본보기가 예술과 기술이다. 니체는 많은 사람들의 견해와 달리 예술과 기술의 친연성을 강조하였다. 그것이 창조하는 자, 증여하는 자로서의 삶의 방식이기에. 니체의 사상이 근본적으로 미학적인 까닭이 그것이다. 그 미학은 근본적으로 삶을 재료로 한다는 점에서 윤리이다. 그 윤리는 사회 속에서만 행해진다는 점에서 정치이다.

이 과정에서 산출되는 것이 고통의 반대인 기쁨이다. 커다란 기쁨은 고통마저도 긍정한다. '그것이 삶이었던가, 그럼 좋다, 다시 한 번!' 기쁜 앎(la gaya scienza)은 이렇게 외칠 수 있게 해준다. 삶과 세계 속에서 기쁨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용감한 자들이면 누구나 니체를 가깝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니체의 의미.

니체에 대한 가장 좋은 입문서는 니체 자신의 책들이다. "기쁜 앎",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도덕 계보학", "이 사람을 보라" 같은 책들을 첫 페이지부터 차례로 읽어 보라. 채 몇 줄 읽어가기 전에 번개에 맞은 것 같은 전율이 엄습할 것이다. 그 후 그 떨림 속에서 사는 삶은 결코 전과 같을 수 없을 것이다.

*관련되는 철학 글입니다.
철학자 이름의 괴상한(?) 표기 (니체, 스피노자)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 구체성의 사고로
현대 철학의 지도 그리기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great thanks~

미쳤다.. 저는 <우상의 황혼>으로 니체를 처음 만났는데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거 처럼 한 줄 한 줄 읽어나갈 때 마다 제 몸에 흐르는 전율은 아직도 잊을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오늘 그 비슷한 느낌을 선생님의 글을 읽으면서 느꼈던 거 같습니다. 니체는 저에게 굉장히 고마운 존재고 존경하는 분이기도 합니다. 미국에서 오랜 유학생활을 하며 무기력함에 빠지고 우울증에 시달릴 때, 저를 우울증에서 구해준 사람이 바로 프리드리히 니체였습니다. 우리의 삶이 가치가 있는 것은 고통도 있고 기쁨도 있기 때문이다. 영원한 고통, 영원한 기쁨. 얼마나 단조로운가! 깊은 깨달음을 얻고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것 처럼 고통도 긍정하기 시작했던 거 같습니다. 선생님께서 추천해주신 책들은 반드시 다 읽어보겠습니다. 양질의 글. 이런 글은 대학가서도 접하기 힘든 글인데 이렇게 써주셔서 감사하고, 앞으로도 꾸준히 정독하겠습니다 선생님. 많은 가르침 주세요.

이렇게 긴 댓글로 반응해 주시니 기쁩니다.
스팀잇이 더 좋은 공간으로 발전하는 장면을 목격하는 순간입니다!
계속 교류하며 배워갑니다.

이런 커뮤니티를 통해서 좋은 철학 스승을 만난 거 같아 매우 감사하고 기쁩니다!! 앞으로 니체 글 많이 써주세요! ㅎㅎ

풀보팅 하고 갑니다. 정말 좋은 글입니다. 30분 정도 정독했는데, 제 머리를 툭툭 건드려주는 글이었습니다.

언젠가, 애덤 스미스의 '도덕 감정론' 이라는 책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니체는 한 번도 접하지 않았는데 @armdown 님의 글을 보니, 니체도 재밌게 읽을 수 있겠군요. 감사합니다.

아, 고맙습니다!
니체의 글도 종종 번역해서 올리겠습니다. (기존 번역이 좋은 경우에는 이런 수고를 할 필요가 없으니, 그냥 소개드리기만 하고요.)

팔내려 님이 아니셨군요. ㅎㅎ
니체를 읽으며 전율이 엄습하는 경험, 저도 군대 있을 때 해 봤습니다. 왜 그렇게 군에 있을 땐 학구열이 불타 오르던지 평소 멀리했던 책들을 골라 읽었는데 니체는 정말!

ㅎㅎ 많은 분들이 '팔내려'로 읽으시더라고요.
니체, 불타오르죠. 군에서 좋은 경험 하셨네요.

최근 두철수의 철학수다 팟케스트를 들으며 하나하나 접해가고 있어요. 팔로하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열심히 공부하고 계시는군요.
저도 맞팔하며 배울게요.

뭔가 철학이 담긴 글
제 머리로는 모든 내용을 이해할 순 없지만
그래도 차근히 잘 읽어보고 갑니다
감사해요.

앞으로 되도록 쉽게 (물론 어려운 글들도 섞여 있을 겁니다만) 쓴 글들로 뵙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글을 읽다보니 몇 가지 궁금한 사항이 생겨 외람되지만 질문을 드려볼까 합니다. 제가 모르거나 친숙하지 않은 부분이 많기 때문에, 질문 또한 우문일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니힐리즘의 인식은 우리가 가진 인식 권력의 증대를 나타내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인식 권력은 앎(Wissenschaft)을 통해 발휘되며, 순수하게 긍정해야 할 그 무엇이다.

이 부분에서 인식 권력이란 결국 어떤 식으로 정의될 수 있을지 여쭙습니다. 또한 니힐리즘의 인식이, 인식 권력의 증대를 가리키는 것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도출이 가능할지도 여쭈어봅니다.

예술과 기술의 친연성을 강조하였다. 그것이 창조하는 자, 증여하는 자로서의 삶의 방식이기에.

여기에서 증여는 왠지 들뢰즈로부터 나온 느낌이 드는데, 증여하는 자로서의 삶의 방식이라는 것은 어떠한 식으로 해석할 수 있을지 여쭙습니다.

짧게 답하기 어려운 질문들이네요.

  1. 인식 권력과 관련해서는 '해석하는 힘'으로 바꾸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차차...
  2. 니힐리즘의 인식이 권력의 '증대'를 나타낸다는 건, 거꾸로 니힐리즘을 인식하지 못하면 권력이 전과 같은 정도로 머무른다는 말이겠지요. 그건 다시 니힐리즘을 간과한다면 인식이 깊지 못하다는 말이고요. 최종적으로는 인식은 니힐리즘까지 미쳐야 한다는 것이지요.
  3. '증여'는 본래 들뢰즈가 니체한테서 배운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증여하는 삶이란 세상을 자기 힘으로 변형하는 삶이지요. 마치 예술가가 재료를 가공해서 원하는 작품을 만들듯이요. 예술가에는 못미치지만 기술자도 그런 일을 하고 있고요.
    답변이 짧았습니다만, 천천히 논의해 가겠습니다. 앞으로도 겹치는 내용이 많이 기다리고 있으니까요.

자세히 답을 달아주셔서 찬찬히 읽어보았습니다. 글에서 제시해주신 개념이 조금 더 명확해지는 느낌입니다. 앞으로의 글도 기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저도 증여하는 삶이 무슨 말인가 궁금했었는데 무슨 말인지 알겠군요.

잘 읽고 갑니다!

계속 관심 가져 주셔서 고맙습니다.

제가 그래서 긍정적 회의주의자 Positive Nihilist 입니다 :)

^^
이미 도달하셨군요.

정말 재밌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좋게 읽어주시는 독자가 있다는 게 글 쓸 때 큰 보람입니다.
팔로하며 새로운 지식 많이 배우겠습니다.

"엄마, 신이 어디에나 계신다는 게 정말이에요? 정말 무례하군요!" '즐거운 지식'에 나오는 이 대목이 언뜻 생각나네요. '신은 죽었다'는 너무 무섭고 '신은 무례하다'가 저는 더 좋습니다. 재밌으니까! 니체는 언제나 즐겁습니다! 니체가 있어 스팀잇도 한층 즐거워요~

니체의 사상과 맞아떨어지기도 하고요~

네, 맞습니다. 그리고 니체도 니체지만 저로선 제 사상과 맞아떨어지는게 중요합니다.^^ 지속가능한 쾌락주의sustainable hedonism! ㅎㅎ

@pirisorie님께서 이 포스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리스팀을 해주셨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