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특허 분석] 오늘 공개된 따끈따끈한 블록체인 특허를 소개합니다

in #kr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블록체인 특허연구소입니다.

특허청에 특허신청(출원)을 하면,
'1년 반' 후에 그 내용이 공개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매일 수천 개의 새로운 특허가 공개되는데,
이렇게 공개되는 특허들은 '1년 반' 전에 누군가가 생각해서
적어놓은 아이디어라는 것이죠.

마침 오늘(2018.02.09) 공개된 블록체인 특허가 있어, 소개드립니다.

발명의 명칭: 블록체인 기반 트랜잭션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출원일: 2016.08.01
출원인: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요약문을 먼저 보면,

본 발명은 블록 해시 기반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소수의 노드들에 블록 검증 권한을 무작위로 할당함으로써,
트랜잭션 검증의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컴퓨팅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트랜잭션 검증 시스템에관한 것으로,
트랜잭션이 모여 생성되는 블록 및 상기 블록을 수신 시
상기 블록에 대한 블록 검증 권한이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블록 검증 권한이 할당된 경우에
상기 블록의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처.JPG

블록 '생성'이 완료되면, 생성자는 이를 주위 노드들에게 '방송'하고
방송을 들은 주위 노드들은 해시 계산을 한 번 수행하여
생성된 블록이 유효한 블록인지를 '검증'한 후 자신의 블록에 추가하게 되는데요.

위의 발명에서는
굳이 모든 노드들이 유효 블록인지를 검증하지 않고,
랜덤하게 선택된 일부 노드들만 유효 여부를 검증한 후 주위에 전파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그러면, 각 노드는 '검증'에 사용되는 컴퓨팅 파워를 아낄 수 있는데요.
이는 전체 노드 중 선택되는 노드 개수의 비율에 비례하게 되겠죠.
(위 특허에서는 6%의 비율을 예시하였습니다)

'블록 검증에 사용되는 컴퓨팅 파워 및 시간'이 만약 상당하다면,
이 특허가 중요한 가치를 가질 수 있을텐데요.
블록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연산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조금 더 알아봐야겠네요.
혹시 아시는 분이 있다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이상 오늘 공개된 따끈따끈한 블록체인 특허를 간단하게 소개드렸습니다.

Sort:  

힘내세요! 짱짱맨이 함께합니다

감사합니다 짱짱!!!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