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DAPP] 스캐터 백서 분석 : 평판 시스템 + RIDL 토큰의 용도

in #kr6 years ago

안녕하세요 EOS 서포터 크리머 입니다 :)

어제 [스캐터 RIDL 토큰 Q&A]를 소개해드렸는데요.
아직도 스캐터/RIDL에 관해 궁굼증이 있으신 것 같아 오늘은 스캐터 RIDL 토큰 백서 분석을 통해을 해보겠습니다.

스캐터 백서 분석

요약


  • 스캐터신원확인 지갑이고 RIDL은 각 ID의 평판을 위해 사용되는 토큰 입니다.

스캐터/RIDL 토큰 소개


  • ID(신원)과 평판은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스캐터 ID란 ?

  • 스캐터에는 2가지 타입의 ID가 있습니다.

1. [사용자 ID]


  • 사용자 ID란 일반 스캐터 유저의 ID를 뜻 합니다.

  • 스캐터는 중앙화된 어플리케이션들과 비슷한 유저 경험을 제공 합니다.

  • 이 ID는 RIDL 시스템에 등록되어지며 모든 RIDL 네트워크 전반에 유일무이한 ID가 될 것 입니다.

  • 덕분에 평판을 유지하며 이오스 계정 변경이 가능 하며 아무도 여러분의 이름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등록한 시점 부터 평판 시스템 사용 시작 합니다.

  • 사용자 ID는 EOS 계정/퍼블릭 키 마다 오직 7일에 한번씩 등록될 수 있습니다.

2. [어플리케이션 ID]


  • 웹/앱들의 ID를 뜻 합니다.

  • 악의적인 개발자가 다른 네트워크에 코드베이스를 복사하여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처럼 위장하지 못하게 합니다.

  • 피싱/스캠방지를 위해 RIDL에 등록이 되어있지 않다 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들에게 평판을 줄 수 있게 합니다.

평판 시스템


  • 평판은 RIDL을 통해 등록된 유저들과 어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서로 평가 할 수 있습니다.

[ 앱/웹이 유저를 평가]


  • 유저가 특정 행동들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면 대출 신용 등급과 같은 역할을 하거나 스팀잇에 글을 쓸때 일정 수준 이하의 평판을 가진자는 글을 못쓰게 하는 것 입니다.

[유저가 앱/웹을 평가]


  • 예를 들어 거래소가 출금/전송을 늦게 할 시 거래소에 대한 평가를 매길 수 있습니다.

스크린샷 2018-03-29 14.10.59.png

평판 시스템 세부 사항


  • 평판에는 반드시 1 RIDL 토큰을 쓰게 되어 있습니다.

  • 평판들은 반드시 그 평에 대한 설명하는 메모가 있어야 합니다.

[어플리케이션 ID] 평판 세부 사항


  • 유저들을 평가할 수 있지만,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평가를 할 수 없습니다.

  • 유저들을 원하는 만큼 평가 할 수 있지만, 24시간의 텀이 있으며 평가를 내리기 위해서는 좋은 평판을 유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 만약 평판이 낮다면 유저를 평판 할 수 있는 기능이 철회 됩니다.

[사용자 ID] 평판 세부 사항


  • 앱에 대한 평판은 어느시점에나 바뀔 수 있으며 하나의 토큰 당 오직 현재 평판에 +1 또는 -1 입니다.

RIDL 토큰과 평판

  • 평판은 보유토큰과 비례 하지 않습니다.

  • [사용자 ID]는 평판을 위한 최대 100개의 토큰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 RIDL 토큰을 더 모으기 위해서 사용하거나 이동시켜야 합니다.

  • 어플리케이션 ID는 토큰양의 최대치를 보유하더라도 계속 적으로 평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RIDL 토큰은 어플리케이션들이 유저들을 평가하고 유저들이 어플리케이션들을 평가함으로서 항상 시스템상에 움직임을 있게 합니다.

평판 기준의 예시


  • 어플리케이션 : 보안 / 기밀유지 / 능숙도 / 사용자경험 등

  • 유저 : 에티켓 / 지불(상환) 능력 등

평판의 공개


  • 평판 자체는 공개되지만, 그 평판을 구성하는 평가나 내용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 단, 계정 소유자는 그 상세평가와 내용을 공개할 권한을 가집니다.

평판의 조작 가능성


  • 특정 세력들이 인위적으로 명성도를 조작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마저도 RIDL은 ‘그리 나쁜 것이 아니다’고 평가합니다.

  • 실제 생활에서의 평가 역시 동일한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문제는 시간가치를 활용하여 이러한 악의적인 행동들을 해결 하고자 합니다.

  • 시간 가치의 예를 들면 '스팀잇'에 대한 평가를 하는 사람이 있다면 첫 사용자 보다 오래 사용한 사람의 평가를 더 영향력 있게 반영 하는 방법입니다.

[ RIDL 평판 성장/쇠퇴 알고리즘 ]

스크린샷 2018-03-29 15.05.04.png

  • 계정은 ‘거래용’과 ‘평판용’ 두 가지 상태 중 하나로 존재 합니다.

  • 상태를 변경 시 24시간 동안 평가, 거래 등 모든 활동이 불가합니다.

  • 무차별적인 시스템 남용(시빌어택)을 막기 위한 것 입니다.

글을 마치며


  • 다음편은 스캐터에 대한 [사견]과 [크리머레이팅]을 통한 별점 평가가 있을 예정이니 기대해주세요 :)

크리머 글 알람 받기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EOScreamer
(채팅/리딩/가격 X 알람 기능 O)


이오스 보팅짤.png

Sort: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리스팀 합니다

항상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리스팀도 너무 감사드려요 :)

크리머님 포스팅 기다리고 있었는데! 빠른 포스팅 감사합니다!

어플리케이션 ID의 평판과 RIDL 토큰이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은 알겠는데
사용자 ID도 그러한 것인지 아직까지 쉽게 이해가 가지는 않네요 ㅠㅠ

평판(신용) 시스템이 블록체인에서 이뤄진다는게 신기하기도 하고
아직까지 제가 생각치 못한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는 있지만,
신원확인이나 '원클릭 쇼핑'에 RIDL 토큰이 소요되는게 아니라면
아직까지는 큰 메리트를 못 느끼네요.

[크리머 레이팅] 전까지는 1 EOS 투자를 미뤄야겠습니다 ㅎㅎ
내일 포스팅도 기대할게요!

[사용자 ID]도 토큰에 비례하지 않을 거 같습니다 :)

RIDL 토큰은 신원확인/원클릭쇼핑에 쓰이진 않고 [평판 시스템]을 위해서만 쓰일 것 같습니다.
아직 출시가 되지않아 저도 정확하게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진 모르겠지만

본문에 있는 것처럼 블록체인 세상에선 온라인 평판이 어느때보다 중요해질것 같습니다 !
내일 준비 중인 [크리머 레이팅]을 통해 예시나 제 사견을 더해볼테니 이해하시기가 백서보다는 더 쉬우실거에요 :)

항상 좋은 정보 잘 받고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항상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아직까진 생소한 감이 있는데 일단 새로운 시스템인 것 같네요. 써봐야 어떤 느낌인지 알 것 같아요.

맞습니다 아직까진 생소한 부분이 분명 있습니다 ㅎㅎ 저도 써보기 전까지는 정확하게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진 모르겠지만 상상해볼수는 있겠죠 ?

내일 [크리머 레이팅]을 통해 좀 더 쉬운 설명과 예시를 생각해보겠습니다 :)

한번 더 보면 이해가 될려나요 흠

아직은 정확히는 모르겠네요

백서를 분석한거라 다소 추상적이고 애매한 부분이 있는것 같긴합니다

내일 [크리머 레이팅]을 통해 좀 더 쉬운 설명과 예시를 올려보겠습니다 :)

네 다음글 기다리겠습니다

정보감사합니다.^^ 백서 내용을 그대로 이해한다면.. 저는 이미 능력자겠죠?^^
이해못해서 다른분의 댓글에 언급하신 [크리머 레이팅]을 기다리겠습니다.ㅋㅋ

ㅎㅎ 저도 이해 하는데 조금 힘들었네요 ㅠ 페이퍼만으로는 100% 이해하기 힘들것 같아 오늘 중으로 [크리머가 상상하는 스캐터/RIDL 토큰의 미래] 라는 예를 통해 이해를 도와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