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백서 번역 및 해설 7부 : 스팀의 위력

in #kr6 years ago (edited)

마지막 파트입니다.

스팀의 위력

스팀은 사용자 기여(게시글 및 투표)의 가치가 다른 것들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댓글 1개도 나름대로의 가치를 가지지만, 수백만 개의 큐레이터된 게시글들은 수백만 혹은 수십억 달러의 가치를 갖는다. 투표 1표가 갖는 큐레이션 가치는 거의 없지만, 수십억 표는 엄청난 큐레이션 가치를 갖게 된다. 큐레이션 없는 콘텐츠의 가치는 제한적이다. 인터넷 상의 모든 콘텐츠에 연결 링크가 없다면, Google은 유용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검색 결과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정보 간의 연결 링크들이다.

모든 사람이 이익을 얻으므로 모두가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개별 사용자는 아무 것도 지불하지 말고 대신 스팀에 가치를 부여하는 모든 일에 대해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당사가 해야 할 일은 소셜 네트워크 가치를 창출하는 사용자 기여와 그렇지 않은 요소를 확인하는 것이다.

총체적으로 Reddit 사용자들은 초당 220회 투표하고 초당 23 개의 게시물을 작성한다. Reddit의 시가 총액은 5억 달러^18에서 40억 달러^19 수준으로, 이는 대부분 지난 해의 활동 가치라고 가정할 때 모든 투표들과 게시글들에 각각 $0.06에서 $0.50 수준의 가치가 있음을 의미한다. Reddit 가치의 대부분이 전 주에 이뤄진 실시간 토론들에서 창출되고 이는 새로운 활동의 가치를 극적으로 높인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작년이 아닌 오늘 사람들이 많은 곳에 사람들이 몰리게 마련이다.

^18 Reddit Valuaton, Newsweek, 2014 http://www.newsweek.com/investors-think-reddit-worth-500-million-26
^19 Worth of Web, March 2016 http://www.worthofweb.com/website-value/reddit.com/

소액 결제는 없음, 팁은 선택적

암호화폐를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통합하려는 기존의 시도들은 사용자가 서로 지불할 수 있게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많은 서비스들이 팁 도입을 시도했다. 이론상으로는 팁 주는 방식이 간단할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팁을 주게 될 것이라고 한다. 콘텐츠 홍보비를 지불하는 것을 장려하는 서비스들도 있다. 기사가 벌어들일 수 있는 후원금 액수를 추정해주는 서비스들도 있다.

위에 언급된 모든 서비스들은 소액 결제로 이어진다. 지불 주체가 누구냐는 점만 다를 뿐이다. 해당 서비스들은 소액 결제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센티브 기반 콘텐츠 제작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기업가들은 지불 주체에만 집중하며 극명한 사실을 간과하고 말았다: 모든 사람이 모든 사람의 행동으로 이익을 얻으므로 관점에 따라 모두 지불해야 하거나 아무도 지불하지 않아야 한다.

사용자가 게시글에 “좋아요” 투표를 하면 커뮤니티가 지불을 해주기 때문에 스팀은 소액 결제를 완전히 우회한다. “좋아요” 투표 여부와 상관없이 동일한 금액이 투표자가 아닌 커뮤니티에 의해 지급된다.

경제적 의사 결정을 내릴 때 받는 스트레스는 대부분의 참여를 막는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

정보가 폭증하는 디지털 시대에서 우리는 인터넷 콘텐츠와 관련하여 매일 다양한 선택들을 직면하게 되며, 그러한 의사 결정들로 인해 불확실성이 나날이 높아져 가고 있다. 소액 결제 지지자들은 간소화된 구현이 소액결제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러한 주장은 의사결정 프로세스에 대하여 이중 잣대를 적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2]. 거래 1건으로 의사 결정을 정당화할 수 없는 것이다. 사용자들이 아무 망설임 없이 승인하는 유일한 거래들은 비용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거래들뿐이기 때문에, 금액과 상관없이 모든 소액 거래들은 심리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또한, 심리적 거래 비용이 특정 한계치까지 상승하며 소액 결제의 장점이 전혀 부각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늘 신문이 1달러라고 생각하는 것은 쉬우나, 각 기사 혹은 단어의 가치가 얼마인지를 추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모든 인터넷 콘텐츠들의 결제가 소액 결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세분화된다면 그러한 딜레마는 더욱 심화된다.

  • 소액 결제: 전망이 밝은 비즈니스 모델^20

^20 Micropayments: A Viable Business Model http://cs.stanford.edu/people/eroberts/cs181/projects/2010-11/Microp

스팀에서는, 소액 결제 금액을 콘텐츠 제공자에게 지불하지만, 해당 콘텐츠의 투표에 참여한 사람들은 지불하지 않는다. 대신, 보상 비용은 신규 토큰으로 지급한다.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고 투표에 참여할 수 있으며, 돈을 충분히 벌고 탈퇴할 수 있다 (스팀 시스템의 시가 총액에 변동이 없다는 가정 하에). 다시 말해서, 스팀의 소액 결제 솔루션은 사용자에 의해 중재되는 콘텐츠를 보유한 대중적인 웹사이트들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게다가 스팀은 지불 대상자들을 알아내는 사람들에게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하고 있다! 이는 매우 혁신적인 발상이라 할 수 있다.

연결 링크에 담긴 가치

연결 링크가 완전히 없어질 경우, 인터넷은 상당 부분의 가치를 잃게 될 것이다. Google이 1,600만 검색 결과들 중에서 최상의 애플파이 조리법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은 웹 페이지들 간의 상관관계 덕분이다. 연결 링크 없이는 Google이 취합할 수 있는 유일한 정보는 단어 사용 빈도뿐이다.

연결 링크들은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지속적으로 진화해왔다.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콘텐츠에 투표를 할 때마다, 해당 사용자와 콘텐츠 간의 연결 링크가 추가된다. 해당 콘텐츠를 통해 소비자와 생산자를 연결한다. 연결 링크들이 많을수록 정보의 가치가 상승한다.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상대적/의도적인 정보의 연결성이다.

소셜 네트워크는 연결 링크의 수량과 품질을 최대화하여 콘텐츠 집합에서 추출한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컨텐츠를 큐레이팅하는 것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연결 링크가 없는 상태에서 컴퓨터가 그런 작업을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스팀은 새로운 콘텐츠를 가장 먼저 찾고 식별하는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한다.

큐레이션에 인센티브를 적용함으로써, 스팀 네트워크는 자동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콘텐츠 홍수 속에서 가장 유용한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암호화폐 도입 문제 해결

암호화폐^21를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비트코인을 사용해 본 경험자라면 누구나 서비스 가입 후 신용카드 혹은 계좌 이체를 통해 계정을 충전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Facebook이 돈도 내고 두 가지 형태의 ID도 제공해야 했다면 채택률이 어땠을까?

^21 24 Dailydot, Jon Southurt, 2015년 4월 http://www.dailydot.com/opinion/bitcoin-cryptocurrency-adoption-hard

스팀은 단순하지만 가치있는 작업을 한 모든 사람들을 보상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이를 통해 STEEM 토큰들의 보급률이 확대될 것이다. 암호화폐에는 사용자들이 많을수록 확대되는 네트워크 효과가 있기 때문에 그러한 보급률 확대는 더욱 유용하다. 극단적인 예로, 만약 사토시가 비트코인의 100%를 보유하고 있었더라면 비트코인은 아무런 가치가 없었을 것이다.

암호화폐 유동화 문제 해결

사용이 어렵거나 매매가 불가능한 화폐는 거의 가치가 없다. $1.00 가치의 비트코인을 우연히 발견한 사람은 그 비트코인을 되팔려면 $1.00 이상의 비용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계정 개설, KYC 검증, 수수료 지급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1.00 이상이다. 소액 암호화폐는 줍는 것조차 귀찮은 잔돈과 같다.

기업들은 암호화폐를 신속히 유형 자산/서비스로 전환할 방법을 사용자들에게 제시한다. 기업들은 미국 달러 환율에 고정된 화폐를 필요로 한다. 변동성이 높은 화폐를 도입하려면 상당한 회계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매출만 증대된다면 기업들은 어떠한 화폐도 수용할 것이다. SBD와 같은 안정적인 화폐를 보유한 사용자 기반을 광범위하게 보유할 수 있다면 기업들의 진입 장벽이 대폭 낮춰질 것이다. 기업들의 존재는 거래소 없이도 출구 전략의 실행을 가능토록 만든다.

소액 암호화폐를 유동화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후원금을 통해 스팀 플랫폼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는 웨이터에게 팁을 주는 것과 마찬가지다. 소액 후원금이라도 사람들이 많아지면 금액이 커질 수 있다. 손님과 웨이터 모두가 이익을 보는 것이다.

검열

스팀은 전 세계에서 엄선된 증인들에 의해 운영되는 분산 네트워크이다. 모든 사용자 활동들은 블록체인 상에서 공개되고 검증이 가능하다. 따라서, 누구도 STEEM 보유자들이 소중히 여기는 콘텐츠를 검열할 수 없게 된다.

steemit.com과 같은 개개의 웹사이트들이 특정 콘텐츠를 검열할 수도 있지만, 블록체인 상에 게시된 콘텐츠는 검열이 불가능하다.

언론의 자유는 모든 자유의 근간을 이루며, 언론의 자유에 대한 침해는 합의를 달성하는 유일한 평화적 수단, 즉 토론을 저해한다. 유권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으며 정보가 없는 유권자는 투표권을 잃는 것보다 사회에 더 큰 위협이 된다. 검열은 정보 공개를 제한하여 투표권을 훔치는 수단이다. 스팀은 언론의 자유와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검색 엔진 최적화를 통한 유기적 발견 해결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거의 가치가 없다. 반대로 스팀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생성하고 공유하도록 권장한다. 이 콘텐츠는 검색 엔진에 의해 색인이 생성되어 궁극적으로 다수의 수동적인 사용자에게 가치를 부여한다. 이 검색 트래픽은 스팀 네트워크에 대한 유기적 광고를 만들고 네트워크 효과를 증가시킨다.

블록체인 기반 귀속성으로의 전환

인터넷은 전세계에 정보를 가장 손쉽게 배포할 수 있는 매체이다. 동시에, 적절한 귀속성을 원하는 콘텐츠 제공자들에게는 가장 위협적인 매체이기도 하다. 현재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상에서, 귀속성은 하룻밤 사이에 잃을 수 있는 그 무엇이다. 즉, 누구나 원 제작자의 동의 없이 게시된 동영상 혹은 영상을 복제하여 남들과 공유할 수 있다. (해설: attribution 이란 단어를 귀속성이라고 번역했는데, 저작권 또는 출처와 관련 있는 단어입니다.)

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의 경우, 원 제작자 혹은 저자가 항상 콘텐츠의 출처 증명을 보여주는 공개 기록 및 타임 스탬프를 가리킬 수 있다. 제작자가 허가 또는 출처 표시 없이 재공유한 사람들에게 소송을 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블록 체인 기반 레코드는 특정 시간에 특정 사용자가 내용을 게시했다는 공개 증거를 제공합니다. 미래에는, 블록체인 기반 귀속성의 진위가 정부에 의해 공인되고, 콘텐츠 제공자들의 권리는 더욱 증진될 것이다.

거의 대부분의 블록체인에서 타임 스탬프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고 비트코인 네트워크에도 그러한 시도가 있지만, 콘텐츠 제공자들은 “1급 시민들”이기 때문에 여전히 스팀이 경쟁 우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스팀 블록체인은 콘텐츠 기반을 토대로 구축되므로, 콘텐츠 제공자들이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콘텐츠 저작권을 확보할 수 있다.

광고를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보상으로 대체하는 방법

대부분의 콘텐츠 수익 모델에서 콘텐츠 제작자는 한 가지 또는 다른 형태로 광고를 활용한다. 많은 제작자들은 광고가 작품의 가치를 떨어 뜨리는 방법임을 인식하고 있지만 제작자는 수익 창출을 통해 자신의 시간에 대한 보상을 얻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광고는 양날의 칼이다. 광고를 통해 제작자는 가장 쉽게 돈을 벌 수 있다. 광고가 없으면 수익 창출이 어렵지만 콘텐츠가 더 풍부하다.

스팀 연계 소셜 미디어에 본인 작품을 게시하는 원 제작자들은 사용자들의 “좋아요” 투표 만으로도 돈을 벌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배당금 지급은 완전히 디지털 방식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중간 상인이 전무하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보상에 의한 수익 창출은 광고에 의한 것보다 가속화되고 진입장벽이 낮아질 것이다.

결론

스팀은 암호화폐 및 소셜 미디어 업계의 과제들을 극복할 목적으로 고안된 실험이다. 스팀은 기존의 소셜 미디어 서비스와 차별화된 수익 창출 기회를 콘텐츠 제공자들과 인터넷 독자들에게 제공한다. 스팀 내에서, 사용자들은 그들의 기여도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보상을 온라인으로 받는다. 이러한 보상은 스팀의 유동성 덕분에 달러 가치를 갖게 되며, 스팀 보유자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더 많은 독점력을 가질 수 있다.

Sort:  

굉장하군요! 어떻게 이런걸 생각해내고 만들었을지..

블록체인을 실생활과 연결시키려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할 일이지요 ㅎㅎ

제가 공부하는 것보다 해설본 올라오는게 더 빠르네요...ㅎㅎ
여유 있을 때 다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