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랜서의 견적산출, 나의 몸 값 책정하기.

in #kr6 years ago (edited)

페이스북-커버.jpg

안녕하세요 최호웅PD입니다ㅎ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영상제작단가,
견적 산출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합니다.

사실 굉장히 예민한 부분이고
경우의 수가 워낙 많기 때문에
정확한 액수로 표현드리기 힘든 어려움이 있습니다...;

다만 이 글을 통해서 견적을 책정하는 다양한 기준을 파악하고
부디 어디가서 눈탱이 맞지 마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ㅋ

자, 도대체 합리적인 작업비용은 어떻게 책정해야 할까요?

무조건 제로베이스(Zero-base)에서 시작합니다.

우선 작업비용을 책정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선행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1. 작업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비용을 청구해야합니다.
  2. 영상은 다양한 소스와 인력이 필요한 복합 제작물입니다.
  3. 프리랜서의 견적은 곧 '몸 값'입니다.

<1>모든것을 다 대여해서 작업한다고 가정합시다.

견적 산출의 핵심은 모든것을 전부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한다는 전제입니다.

촬영장비는 물론 컴퓨터, 편집툴(프리미어,에펙 등), 폰트, 음원, 스튜디오 등
제작 관련한 모든것들에 가격을 매겨보세요.

개인 장비가 있다면 그것은 견적에 대한 할인옵션이지,
견적 논외 대상이 아닙니다.

물론 인건비는 별도로 책정해야하며
이 부분은 아래에 다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객관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1차적인 견적이 여기서 나오게 됩니다.
다만, 현실과 동떨어지게 비현실적인 가격이 책정될 수도 있는게 사실이죠..ㅎ
특히 아주 간단한 편집작업이나, 1시간 이내의 스케치 촬영 등
단순작업에는 그대로 적용하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필요한것이 바로 '착수비용'입니다.

착수비용이란
작업이 시작됨과 동시에 작업량에 상관없이 책정되는
최소한의 작업 비용, 즉 최저임금과 비슷한 개념의 '최저 작업비용'.

착수비용은 제작자의 연차, 능력별로 천차만별이 될 수 있습니다.
상황과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등 다양한 변수도 있으니
너무 유연하지 못한 대응도 때로는 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영상이 얼마나 복잡한 컨텐츠인지 아십니까?

영상에는 영상촬영소스, 사진소스, 일러스트소스, 음원소스, 오디오소스....
엄청나게 다양한 소스들이 사용됩니다.

그 각각의 소스들을 조화롭게 시간의 배열에 따라 조합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그것이 바로 '편집작업'입니다.

그리고 각각의 소스를 얻기 위해서는
촬영, 녹음, 집필, 드로잉 등 다양한 인력이 수반될 수 있습니다.
라이센스를 구매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종종 클라이언트가 소스를 수급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영상제작을 위한 소스를 얻는 과정에서 인력이 필요하므로
'인건비'라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흔히 1인 프로덕션으로 불리는 프리랜서들이
이 부분에서 빛을 발하기도, 암흑의 노예가 되기도 합니다.

즉, 다재다능한 프리랜서가
합리적으로 견적을 책정하여 클라이언트를 설득시킬 수 있다면
몇 인분의 인건비를 독식할 수 있는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한편 견적협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몇 인분의 일을 하고도 1인분의 인건비밖에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죠.

<3> 나의 몸 값은 얼마나 될까?

회사원들은 1년에 한번, 또는 수 년에 한번씩 연봉협상을 진행합니다.
그러나 프리랜서는 매일같이 견적을 주고받으니
견적 산출은 촬영/편집만큼이나 익숙한 업무가 되어야 합니다.
잘 해야 하구요.

상황에 맞게 잘 대응하는것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또한 이 몸값은 굉장히 유동적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능력에 따라, 환경의 변화에 따라
올라갈수도 낮아질수도 있습니다.

저는 촬영을 웨딩촬영 알바로 시작하여
업체카메라를 지급받고 식당 3만원의 페이를 받았습니다.
2~3년차 정도 때, 개인장비 6D를 보유하고 15정도의 페이를 받았으며
현재는 a7s2를 보유하여 기본셋팅 간단한 촬영 당 30~50정도의 페이를 받습니다.

약 10배 이상 몸 값이 오른 셈이죠.

몸값은 내가 막 올린다고 올라가지도 않고
클라이언트가 낮춘다고해서 낮아지지도 않습니다.

<!> 다금바리 회 싯가에도 암묵적인 기준은 있다

몸값은 굉장히 복잡한 이해관계가 상호작용을 하면서 만들어지는데
그래도 수요와 공급에 따른 암묵적인 기준은 있습니다.

정말 초초초초 간략하게 정리해본다면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을 듯 합니다.

  • 시장에 작업자를 대체할만한 인력이 있는가?
  • 안정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만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가?
  • 연말연시 등 성수기/비성수기 스케쥴에 따른 인상 인하폭

사실 1번 질문으로 모든 세부기준들이 수렴되기는 합니다.
가장 원초적인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니까요.

그럼에도 2번 질문을 추가한 이유는
이 글을 보게될 다 수의 사람들은 일명 '유망주'에 속하는 뉴비들이기 때문입니다.ㅎ

연차가 곧 경험이자 안정성을 말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뉴비가 위기대처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데에는 이견이 없습니다.

특히 촬영부분에서는 워낙 변수가 많고
한번의 실수가 돌이킬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은 꽤 중요하게 작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행사가 많은 연말연시, 또는 시즈널 이슈 등
작업자의 스케쥴에 따른 기간별 작업비용 변동도 참고해볼만 하겠습니다.

당신은 시장에 풀린 FA선수입니다.

너무나 다양한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서 만들어지는것이 작업비용입니다.
스포츠를 좋아하는 분들은 FA시장에서 선수몸값이 책정되는 방식을 보면
어느정도 이해가 빠르실거라 믿습니다.ㅎㅎㅎ

시장은 아직도 블루오션이고 장미빛 가득하지만
시장과 개개인의 미래는 완전히 별개의 일입니다.

블루오션에 빠져 죽는사람도 레드오션에서 크루즈를 타는사람도 있을테니까요.

이 곳은 피튀기는 정글이라는 사실을 잊지 마시고
오늘도 몸 값 떡상을 위해 정진하시길 바랍니다 :)

GAZUA!

Sort:  

오호 세상에 이렇게 복잡한 속사정이..

몸 값 떡상 ㅋㅋㅋㅋㅋ
보유 코인이 오르는 것도 좋지만 본인 몸 값이 오르는 것 만큼 좋은 것도 없죠!ㅎㅎ

뭐니뭐니해도 안정자산 몸 값이 최고입니다..ㅋㅋ

같은 영상인으로써 정말 좋은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유용한 글 많이 올려보겠습니다.ㅎ

좋은 글 잘보고 갑니다.
STEEM 재미있네요.
보팅 AND 맞팔신청합니다.

반갑습니다.ㅎ

더욱 더 떡상하는 한해되시길 바랍니다 ㅎㅎ

Congratulations @howoongc!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You made more than 100 upvotes. Your next target is to reach 200 upvotes.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of Honor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Do not miss the last post from @steemitboard:

SteemFest³ - SteemitBoard Contest Teaser
The new Steemfest³ Award is ready!

Support SteemitBoard's project! Vote for its witness and get one more award!

Congratulations @howoongc!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1 Year on Steemit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Do not miss the last post from @steemitboard:

SteemWhales has officially moved to SteemitBoard Ranking
SteemitBoard - Witness Update

Support SteemitBoard's project! Vote for its witness and get one more award!

Congratulations @howoongc!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2 years!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