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Summit Seoul 2018 에서 만난 CubeChain (큐브체인)

in #kr6 years ago (edited)

얼마전 인터콘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 제1회 “블록체인서밋 서울2018”에 다녀왔습니다.

800명이라는 청중의 숫자가 블록체인 기술의 열기를 다시 한번 느끼게 해주는 군요.
물론 여러가지 모두가 해결해야할 문제점들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정부와 기업, 그리고 참여자들이 긍정의 방안의 모색하여 나아가야하는데, 아직 까지는 세계 각국에서 여러 혼선이 빗어지고 있는 것 같구요.

이에 이해 당사자와 기술 선구자 그리고 기회의 장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블록체인 생태계를 이끌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2018년 4월 12일 11시 ~ 저녁 8시30분 까지 많은 연사분들이 좋은 말씀들이 많이 해주셨습니다.

저는 이중 “블록체인 기반 소셜네트워크 (Cube Chain)에 대해서 실제 연사분의 동영상과 내용에관하여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주)큐브시스템 김동오 대표님의 큐브체인 관련 연설 동영상입니다.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 새로운 가상화폐, ‘큐브체인’을 소개하려 합니다.
블록체인은 해쉬값을 이용하여 시간 순서대로 생성되는 블록을 일렬로 연결하는 구조입니다.
이 구조 때문에 블록 데이터의 위조나 변조가 불가능하다는 안전성의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구조 때문에 블록의 전체 크기가 커질수록 블록을 생성하고 검색하고 업데이트 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점점 길어 진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큐브체인은 다중 방식의 블록 적재와 블록을 생성하고 접근하는 병렬 처리 방식의 고유 알고리즘으로 이러한 단점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였습니다. 이러한 큐브체인을 기반으로 새로운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큐브-오픈-네트워크 (Cube ON) 라고 부릅니다.

큐브-오픈-네트워크는 개인과 개인간의 스몰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메신저 타입의 마켓플레이스와 기업과 개인간의 거래를 지원하는 챗봇 타입의 콜센터 서비스가 있습니다.

특별한 기능이 더해진 큐브체인, 과연 무엇일까요?

일반적인 블록체인의 구조 입니다. 해쉬값을 이용하여 시간 순서대로 생성됩니다.
큐브의 모습입니다. 27개의 블록이 다중 구조로 클러스터링 됩니다.
4개의 해쉬 함수를 사용하는데 이중에 2개는 큐브체인 고유의 알고리즘 입니다.
다중 방식으로 블록을 적재하고 이것을 병렬로 생성 접속하여 속도를 높입니다.

좀 더 자세히 큐브 구조를 들여다 보겠습니다.
27개를 구성하는 블록은 4가지 패턴으로 주변 블록과 관계를 맺습니다.
4개의 패턴블록을 합하면 27개로 구성된 한 개의 큐브가 됩니다.
패턴블록과 근접블록간의 해시 값은 블록내에 저장 됩니다.

24개의 트랜젝션 풀에서 블록이 동시에 생성되는 병렬 구조 입니다.
리스너에 의해 트랜젝션은 각각의 마이닝 주체에게 전달되어 채굴이 시작됩니다.
패턴 블록이 생성되고, 특수블록과 함께 큐브가 만들어집니다.

만들어진 큐브의 블록들은 다시 해쉬값에 의해 연결되고, 큐브 역시 블록-오브-블록으로 간주되어 연결 됩니다. 큐브체인은 이러한 방식으로 병렬 생성되며 다중 적재되어 빠르게 검색이 가능해 집니다.

큐브체인의 핵심적인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ubing 큐빙은 27개의 블록을 모아 하나의 큐브로 만드는 큐브화 기술을 뜻합니다. 거래장부를 기록한 24개의 블록과 3개의 특수블록이 합해져 하나의 큐브를 생성합니다. 특수블록은 기본적으로 3 개로 구성되었지만 특수블록은 더 추가되어 데이터블록의 수와 비율 조정이 가능합니다. 데이터 블록이 생성됨과 동시에 큐브화는 진행되며, 생성된 큐브는 또 하나의 해쉬값을 만들어냅니다. 큐빙으로 인해 블록의 해쉬값과 큐브의 해쉬값이 만들어짐으로 2중으로 검증되는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됩니다.

Indexing Block은 전체 블록에 대한 데이터를 색인 한 블록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검색기능을 강화합니다. Indexing Block은 전체 거래에 포함된 전자지갑을 주소별로 거래가 이루어졌던 큐브높이(기존 블록체인의 블록높이)를 정리한 데이터 블록입니다. 따라서 인덱싱 블록만으로 해당되는 전자지갑의 자료를 더욱 빠른 시간내에 찾을 수 있습니다. 전자지갑의 목록 출력이나 이력제공, API를 사용할 때 빠른 속도로 구현이 됩니다.

Statistics Block 은 전체 블록에 대한 통계값을 정리한 데이터로 매우 빠른 데이터 처리를 보장합니다. POS 대상자를 찾으려면 전체 지갑에 대하여 전체 블록을 서치하여 잔고 리스트를 만들고 이 중에서 잔고 5,000 개 이상의 코인을 갖고 있는 지갑을 골라내야 합니다. 이때 Statistic Block 내에 POS 대상자에 대한 데이터를 모아 놓는다면 매번 반복되어야 하는 검색과정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Escrow Block 에스크로 블록에는 Double authorization data system(이중승인방식)을 도입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일반 데이터는 24 개의 데이터 중 하나로 기록되지만, 에스크로 데이터는 별도로 보관 관리됩니다. 에스크로 데이터는 이중승인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일반 데이터로 재기록 됩니다. Double authorization data system(이중승인방식)이란 일반적인 블록체인을 사용한 거래 시 이루어 지는 승인방식 도중, 거래자들 사이에서 승인 암호화키를 추가 발급하여 이중 승인이 이루어져야 만 거래가 가능한 방식을 말합니다. 에스크로 블록을 사용한 이러한 방식은 암호화폐에서 거래체결이 되더라도 받은 지갑에서 즉시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제3자가 중계하는 에스크로의 형태가 아닌 거래 당사자간의 거래를 보호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에스크로 기능인 것입니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 오픈마켓 뿐만 아니라 개인간의 직거래에서도 안전한 거래 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습니다. 이중승인 방식은 송신인 승인 방식, 수신인 승인 방식, 양측 승인 방식, 특정기간 이 후 자동 승인 방식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기반으로 큐브체인은 완성되었습니다.
이러한 혁신적인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큐브체인은 다양한 큐브체인 생태계를 구성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큐브체인 생태계의 기반은 큐브온(CubeON)으로 Cube Chain Open Network로 4세대 블록체인 기술인 큐브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소셜 블록체인 서비스(Social Blockchain Service) 플랫폼입니다. 큐브온은 큐브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되었 으며, 이 네트워크에 참여한 P2P 노드들은 그들의 자발적 기여와 참여자들의 합의에 따라 새로운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큐브온에서는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창작자의 결과물은 그 콘텐츠를 판단하는 참여자들의 ‘Stake’ 와 ‘Work’ 기부를 통하여 블록체인 내 정식 블록으로 인정되며, 이 경우에 창작자에게 토큰이 보상 됩니다. 참여자들이 기부한 콘텐츠의 ‘Stake’ 와 ‘Work’는 창작자의 Welfare로 축적되어 큐브챗 안에서 마 켓플레이스를 만들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습니다.

큐브온의 ASM (AI Service Manager)는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이것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인공지능 서비스입니다. 큐브온 플랫폼에 참여한 기업은 기존의 콜센터 서비스를 플랫폼상에서 구축 할 수 있습니다. 메신저 형태의 이 AI형 로봇 응대 서비스는 고객의 질문을 스스로 이해하고 기업에 축적된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응답을 만들어 냅니다. 기업은 기존의 콜센터 운영에 필요했던 비용을 줄이고 그 비용의 일부를 고객에게 토큰으로 보상할 수 있습니다.

큐브챗(CubeChat)은 기업과 개인, 개인과 개인 간의 온오프라인 거래를 지원하는 메신저형 마켓플레이스 입니다. 큐브챗은 라이브 동영상을 메신저창 배경에서 실시간 시청할 수 있습니다. 참여자는 이 기능을 통하 여 거래를 하고 싶은 상품을 다양한 아이디어로 소개 할 수 있습니다.
큐브체인 블록체인 서비스인 전자지갑 (Wallet), 원장(Ledger), 코인(QUB) 그리고 지불보증(Escrow) 기능을 통하여 참여자 간에 실시간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혁신적인 시스템입니다.

ASM, 큐브챗 모두 블록체인 서비스를 통하여 거래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모든 거래는 원장 처리되므로 거래 자체가 계약이 되는 새로운 P2P 거래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큐브체인은 4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기존 블록체인 서비스의 최대 단점으로 부각 되는 블록 생성과 합의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 접근과 업데이트 속도를 큐빙 기술로 업그레이드하였습니다. 검색속도, 이중검증, 데이 터통계, 지급보증을 위한 에스크로 기능을 시스템이 직접 제공하는 신개념의 블록체인 기술입니다.
큐브체인 플랫폼상에 구축되는 큐브온 서비스 플랫폼은 다양한 P2P 참여자의 자발적인 거래를 지원하여 기업과 개인 모두 블록체인의 참여자로서 새로운 서비스 혜택을 받게 하는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사용자에게 블록체 인 서비스가 어떠한 미래 가치를 갖고 생활을 바꿀 수 있는지 선명하게 제시할 것입니다.

이외에도 디지털전광판광고의 탈중앙화 (Bidooh), 혁명적인 변화를 통한 에너지 시장의 재활성화(Energi mine)등의 내용은 아주 인상적 이였습니다.

4차혁명의 테두리를 넘어 사회전반에 걸친 모든 산업 및 서비스에도 블록체인의 생태계가 발현할 수 있지 않을까? 제 개인적으로는 생각됩니다. 하지만 이런 여러 시도는 성공만 있지는 않을 것입니다. 실패와 보완 그리고 사회적 협의 등의 과정들이 점점 더 자생적인 블록체인 생태계를 이루어 낼 것으로 믿습니다.

오늘 하루도 많이 수고하셨습니다. 스티미언 여러분 !!

White paper

English : http://cubechain.info/assets/file/Cube%20Chain_ENG_0413.pdf
Korean: http://cubechain.info/assets/file/Cube%20Chain_KR_0413.pdf
Chinese: http://cubechain.info/assets/file/Cube%20Chain_CN_0413.pdf
Japanese : http://cubechain.info/assets/file/Cube%20Chain_JPN_0413.pdf
Technical White paper
English : http://cubechain.info/assets/file/Technical-White-Paper_EN.pdf
Korean: http://cubechain.info/assets/file/Technical-White-Paper_KR.pdf
Chinese: http://cubechain.info/assets/file/Technical-White-Paper_CN.pdf
Japanese : http://cubechain.info/assets/file/Technical%20White%20Paper_JP.pdf

Official Site : http://cubechain.info
YouTube : https://www.youtube.com/channel/UCYDEC2HP8oVRXuKsAeUtrLA
Telegram : https://t.me/joinchat/GpHbwQ3NGztrj8ZcwJjg_g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cubechain
Twitter : https://www.twitter.com/cube_chain

Sort:  

이벤트 참여 감사합니다ㅎㅎ
보팅 꾹 누르구 가용~^^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 하셨습니다.

뭔가 새로운게 점점 나오네요.
이러면서 발전해 나가는거겠죠~
개발 잘 되서 한국도 기술력 있는 코인이 있다는걸 보여줬으면 합니다^^

한국에서도 기술력있는 코인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말만이 아니라 증명해가면서.. ^^
오늘 하루 수고 하셨습니다.

큐브 체인도 나쁘지 않은 코인같네요!! 좋은 글 잘봤습니다!!!

점점 블록체인 세상도 발전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많은 시행착오와 여러 난관이 있겠지만 , 협의와 조정을 통해 완성되는 블록체인 생태계가 되길 바랍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 하셨습니다.

이벤트 보팅완료입니다
화이팅~~!!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You got a 10.47% upvote from @moneymatchgaming courtesy of @hybum! Please consider upvoting this post to help support the MMG Competitive Gaming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