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ple 2$로 예측하는 "중앙화 블록체인의 해 2018"

in #kr6 years ago (edited)

Ripple 2$로 예측하는 "중앙화 블록체인의 해 2018"

"SBI Ripple Asia, 일본에서 신용카드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바라보는 암호화 화폐 투자의 힌트

오늘은 리플이 2$를 넘어 3$ 진입을 목표로 하는 그림이 그려지는 날이군요.

어제 저녁 지인들과 식사를 하면서 리플은 곧 시총 2위가 될 것이고, 그 의미는 생각보다 꽤나 크다라고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재미있게도 바로 불과 몇 시간 뒤 리플은 이더리움을 제치고 시총 2위를 달성하기에 이르렀습니다.

Screenshot (1).png

사실 그간 리플의 성장세에 발목을 잡는 것은 엄청난 발행량이었고, 그 보다 더 "중앙화"된 블록체인이라는 특성이 대다수 투자자들에게 일종의 거부감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블록체인은 당연히 "탈중앙화"의 철학에 부합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자리잡고 있다랄까요.

하지만, 사실 리플의 성장의 이유는 그 반대의 측면에서 생각을 해야 옳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미 "투자자의 관점에서 "블록체인, 탈중앙화가 과연 답인가?" 제도권이 원하는 암호화 화폐는? "이라는 지난 글에서도 설명드린 적이 있었죠.

많은 분들께서 "블록체인" 기술에 대다수 "탈중앙화"에 대한 이미지를 가지고 계십니다만, 실제로 블록체인 기술 자체는 탈중앙화의 개념을 반드시 필수조건으로 수반할 필요는 없습니다. 예컨데 오늘의 큰 상승을 보인 "리플(Ripple)"의 경우가 비"탈중앙화"된 대표적인 코인의 성공적 사례로 꼽을 수 있겠습니다.

최근 일본의 금융 서비스 회사인 SBI 홀딩스(블록체인 기술에 가장 적극적인 50조 달러 규모의 거대규모의 금융사) 는 두 가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 화폐에 대해 직접적인 투자와 지원에 대한 의사를 표명했습니다. 그 하나가 바로 위에 언급한 "리플(Ripple)"로 SBI 는 RC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국가간 화폐 전송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테스트 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시스템은 국내 은행권과 연계해 한-일간의 실질적인 송금 시스템으로 테스트 중이라는 뉴스로 보도되기도 했습니다.

출처 : https://steemit.com/kr/@indend007/3cm9ak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제도권에 편입한, 혹은 적극적으로 "화해"한 암호화 화폐들이 살아남게 됩니다. 그리고 이들은 큰 성장을 얻게 될 겁니다.

정치적 의미에서 "통제 할 수 없는 것 = 위험"으로 대변됩니다. 블록체인 기술이 아무리 좋다고 하더라도 대다수의 사람들이 활용을 할 수 있게 되려면 인프라가 필요하고, 그 인프라의 기조는" 제도권으로부터의 수용"이 되어야 합니다.

최근 중국 정부의 비트코인의 마이너(해시파워) 통제에 대한 우려가 섞인 기사들이 보도되고 있습니다. 제도권에서 정상적으로 수용되지 못한 기술의 미래는 사실 그리 밝다고만 볼 수는 없을 겁니다.

https://news.bitcoin.com/another-mainstream-media-clickbait-scare-chinese-government-can-take-over-bitcoin/

블록체인은 훌륭한 기술적 가치를 가집니다. 이들은 중앙화냐 탈중앙화냐를 따지기 이전에 유용하고 실생활에서 머잖아 널리 쓰일 기술이 됩니다.

하지만, 그러한 기술의 확장, 인프라의 구축은 필연적으로 큰 자금이 필요하며, 수용을 위한 정치 경제적 커넥션들이 수반됩니다. 기술의 폭발적인 수용을 위해서는 그 블록체인 기술을 책임질 수 있는 "배경"이 필요합니다. 리플의 경우는 리플 랩이 존재하는 동시에 이를 지원하는 SBI 가 있습니다. 이들은 처음부터 제도권의 수용에 모든 초점을 맞추고 기술적 부분은 물론 "합법적 기준"을 충족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투자자로서 가져야 할 안목

암호화 화폐 투자자로서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기술과 가치를 보는 동시에 배경과 제도권의 수용 가능성을 보아야 합니다.

단순히 누가 관여하고 있다더라 수준의 찌라시가 아니라, 실제로 지분 보유율을 보거나 실제 구성된 컨소시움의 가치를 판단하는 등의 안목이 필요합니다.

또한 코인들의 상관관계 역시 굉장히 중요합니다. 제도권들은 "사례"를 중요시 여기죠. 법원에서 판례가 앞으로 일어날 판결에 대한 중요한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과 같습니다. 이미 특정 기술이 수용되었다면, 유사한 기술 역시 쉽게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큽니다.

1.jpg

그 일례로 리플(XRP)의 성장이 있다면, 스텔라 루멘(XLM)의 성장도 기대해보아도 좋을 겁니다. 마침 의미 있는 가격 상승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정 암호화 화폐를 추천 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역학 관계에 있는 암호화 화폐들은 위에서 설명한 대로 함께 동반 성장 할 수 밖에 없다는 본질적인 이유들 때문입니다.

스텔라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 대신에 몇 개의 링크를 남겨드리겠습니다. 댓글로 좋은 견해, 혹은 재미있는 미래 스토리를 작성해 주시는 분들께는 보팅을 통해 충분한 보상을 드리겠습니다.

리플과 스텔라 비교 그리고 한계점들 by 한승환 대표
http://www.seunghwanhan.com/search?q=%EC%8A%A4%ED%85%94%EB%9D%BC

스트라이프(STRIPE) https://goo.gl/8UMU3T

P.S 참고로 스티밋은 영미권 포럼의 형태에서 파생되었습니다. 스티밋의 총 포스팅 숫자는 단순히 이러한 긴 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댓글들까지 카운팅하죠. 이는 하나의 "쓰레드(Thread)에서 가치 있는 포스트(Post)들이 가지처럼 뻗치는 그네들의 포럼(Forum) 문화에서 기인한 것인데, 따라서 댓글들도 아주 중요한 컨텐츠라는 의미입니다.

적어도 제 글에서는 자유롭게 토론하시고, 훌륭한 댓글에는 추천을 아끼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중앙화 블록체인의 해 2018

중요한 설명은 모두 드렸습니다. 아마도 2018년은 본격 제도권 자금의 유입시 홍수처럼 몰려오는 동시에 진정한 기술적 가치를 가지는 블록체인들 중 제도권 편인이 원활한 암호화 화폐의 대부흥 시기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찌라시에 속지 마시고, 암호화 화폐의 "사업성"에 초점을 맞추십시오. 이제는 코인으로 대변되는 암호화 화폐들이 "주식가치"를 가지는 시대가 열리게 될 겁니다.

Sort:  

10만리플을 양병하고자했던 지난 6월이 기억납니다.
리플의 이런 상승은 세계금융시장의 메이저의 움직임과 맞닿아 있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비트코인도 마찬 가지겠죠.
폭락은 있으나 붕괴는 쉽지 않다 봅니다

맞습니다. 이제 이러한 기술 코인들에 대한 제도권 영입이 본격화 되리라고 봅니다. ^^

리플은 리플네트워크 가치의 호재로 인한 가격상승이지, 리플코인 자체의 화폐이용성으로 인한 가치상승이 아니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저도 그 의견이 맞다고 생각하고 있구요. 나중에는 리플 네트워크에 편입된 다른 코인들이 사용될 것이고 수많은 코인들이 기다리고 있겠지요..

네 제 지난 글에도 그렇게 적었었고 이 글에서도 스탠스는 동일합니다. ^^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2018년도 GZA~ ^^

아니 새로운 코인인줄 알았습니다. GZA !!!

좋은 글 감사합니다.
4위였던 리플이 3위가 될것같다 했는데...그러네요^^

이젠 2위가 되었죠. ^^

좋은글 고맙습니다. 중앙화라는 거부감때문에 큰 수익을 놓쳐서 아쉽네요.

기회는 계속 있으실 겁니다. 알려드린 대로 좋은 시각으로 찾아보시면 아직도 출발선상에 선 코인들이 많을 겁니다. ^^

몰랏던 사실을 알아가네요. 리스팀으로 저장해 갈게요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리플과 스텔라 상승이 놀랍네요. 좀 더 관심을 가져야겠군요. 리플 상승의 끝이 궁금하네요. 비코를 제치고 정말 1위 코인이 될까요?

역시 내가 들어가면 내려가고 내가 나오면 올라가는 법칙은 t.t 리플 화이팅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이제 동서양 모두 정부에서 암호화폐를 주시하기 시작했고 제도적 장치들이 도입되기 시작한만큼 2018년은 더 기대되네요 ㅎㅎ

코린이는 조용히 업봇만 남기고 가겠습니다 ^^

리플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스티밋 안에서 함께 볼 수 있어 흥미롭네요.
거래 수수료로 쓰인 리플이 소각되기 때문에 향후 리플의 가치를 의심스럽게 보시는 분도 계시더라고요ㅎㅎ

저도 리플 자체가 가격이 상승되는 것은 그 자체가 가치가 있어서라기보다 리플 네트웍의 가치 상승이 리플의 가격에 반영된 정도라고 보고있습니다.

그렇게 보시는군요! 답변 감사합니다ㅎㅎ

리플은 제도권속으로 한걸음씩 다가가고있는듯한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추후 어떤 코인들이 새롭게 시작될 규제와 경쟁속에서 살아남게될지 흥미롭네요

리플을 SBI 홀딩스에서 밀어준다는 글을 읽은 기억이 납니다.^^ 오늘도 소중한 글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글입니다.. 리플은 신기술과 보수적인 정부를 이어주는 징검다리 같은 존재 이기때문에 시총 2위가 될 수 있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