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은 본질이 아니다.

in #kr6 years ago (edited)

블록체인은 본질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과정에 대한 보상과 그 보상의 개방성이다. 블록체인은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 중 하나일 뿐이다.

개인적으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현상과 이슈의 본질을 파악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00% 파악하지 못하거나 낮은 지식으로 인해 잘못 파악할 때도 많지만 말이죠.

스팀잇의 시도와 그 시도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본질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steem

지난 글에 정리된 내용('스팀잇의 사례로 본 가상화폐와 CRM' @jayden.yoo)을 통해, 저는 스팀 백서 제일 첫장, 표제부에 적혀 있는 문구를 공유한 바 있습니다.

Steem
An incentivized, blockchain-based, public content platform.

위의 문장으로 보건데,

  • 스팀은
  •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 인센티브화된
  • 공개 컨텐츠 플랫폼

입니다. 잔가지들을 제거하고 읽어보면, 스팀은 공개 컨텐츠 플랫폼입니다. 그 공개 컨텐츠 플랫폼이 잘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 그들만의 철학을 담아 만든 기준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공개 컨텐츠 플랫폼인 것이죠. 그리고 그 인센티브의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적, 경제적 장치가 바로 블록체인이 되는 것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야기하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이야기가 바로 탈중앙화입니다. 기존의 중앙집권화된 정보 권력을 분산시킴으로서 투명하고 자율적인 생태계를 마련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스팀잇 이라는 서비스 관점에서 본다면, 블록체인을 통한 탈중앙화라는 선택지를 고름으로 인해 필수불가결하게 발생하게 되는 치명적인 이슈이자 단점들이 존재합니다.

바로, 잊혀질 권리의 비보장과 정보 관리 책임 소재의 불분명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는 임의로 삭제되고 변경되기 어렵습니다. 또한 공개적으로 운영으로 되기 때문에 누구나 그 기록을 확인하고 검토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 계속 이슈가 되고 있는 잊혀질 권리에 대한 보장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사실상 없죠. 또한 (그럴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에 수렴할 것으로 판단되나) 예기치못한 사유로 블록체인에 관여하고 있는 다수의 서버가 그 역할 수행을 중단한다고 하였을 때, 그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던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권리는 박탈 당하게 됩니다.

출처: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angmyun78&logNo=221072888288&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인센티브화된 공개 컨텐츠 플랫폼, 꼭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여야만 할까요?

위와 같은 관점에 컨텐츠 플랫폼은 '컨텐츠 플랫폼'이라는 본질적 특수성 때문에 탈중앙화된 방식보다 중앙화된 정보 관리 방식이 서비스의 정상적 유지를 위해 보다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충분히)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스팀(잇)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을까요?

스팀 백서를 통해 보면, 그들은 스팀을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은 벤처 기업의 성장에 기여한 모든 사람들이 기여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지분, 현금 혹은 차입금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 원칙은 모든 벤처 기업들의 설립 및 유상 증자 시 적용되는 주식 배분 원칙과 동일하다고 말입니다.

하지만, 결국 기업의 성장에 기여한 모든 사람들이 기여도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지분, 현금 혹은 차입금을 받기 위해서는 그 재원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그동안 기업은 이를 위해 IPO라는 방식으로 주주를 모으고, 자본을 확보하였습니다. 하지만 자본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이 생긴것이죠. 바로 가상화폐입니다. ICO를 통해 가상화폐를 발행하고 거래소에 상장시킴으로써 가상화폐의 순환가치가 발생하고 자연스레 자본이 확보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확보된 재원을 통해 기업을 기업의 성장에 기여한 모든 사람들에게 그 기여도에 따른 보상을 지급할 수 있게 됩니다.

제가 스팀과 스팀잇을 통해 지켜보고 있는 것은 블록체인의 미래가 아닙니다. 제가 지켜보고 있는 것은 바로 서비스 이용자로서의 권리에 대한 사상의 변화입니다.

그 동안 현실 세계의 서비스들은 결과에 대한 보상만을 가지고 이야기해왔습니다. 하지만 점차 Sweat Equity 에 대한 생각들이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단순히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투자된 자본, 그리고 생산된 컨텐츠로 발생된 눈에 보이는 수익, 이익 뿐이 아니라, 그 컨텐츠가 생산되고 큐레이션되는 이용 과정에 대한 보상을 이야기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콘텐츠 생산과 큐레이션에 쏟은 시간과 노력도 충분히 가치가 있고 보상받아야 한다는 것이죠.

과정에 대한 보상이라는 개념은 비단 소셜 블로깅 서비스에만 국한되어 적용되진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접하고 있는 모든 산업/서비스 분야에 있어서 앞으로 점점 더 Sweat equity 에 대한 이슈가 대두될 것이고, 기업은 기업의 영속을 위해 그 Sweat equity 에 대한 보상을 어떻게 지급할 것이며, 그 재원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기존 처럼 그냥 포인트, 마일리지를 지급하면 되는 것 아니야?

출처:http://eng.threeshinemall.com/

기존의 포인트, 마일리지는 특정 제휴처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폐쇄형 리워드라는 성격 때문에 그 가치의 한계가 존재해왔습니다.

그럼 그냥 돈으로 주면?

출처:https://www.wsj.com/articles/what-to-consider-before-you-dash-into-cash-1512357360

기존의 포인트, 마일리지가 폐쇄형 구조로 설계된 이유는 기업이 이용자에게 지급한 보상이 그대로 외부로 빠져나가 기업의 지속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고 바로 비용이 되기 때문입니다. 폐쇄형으로 묶어두면 고객에게 지급한 보상이 다시 기업 내의 서비스 이용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지속 이용의 순환 고리를 만들 수 있다는 생각에서 였죠. 따라서, 그냥 현금으로 즉시 보상을 지급하는 행위는 기업 입장에서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럼 어쩌라는 거야?

그렇기 때문에 스팀의 보상 경제 시스템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중요한 것입니다. 고객에게 기여도에 대한 적절한 보상(스팀달러)을 지급하면서 그 보상이 개방형 거래(스팀)가 가능하고, 커뮤니티의 지속 성장을 위한 도구로 전환(스팀파워)되면서 기업이 즉시 지급해야할 비용이 부채로서 자산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 이용자는 커뮤니티(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자발적으로 커뮤니티(기업)에 이익이 되는 일을 해야하는 신용협동조합의 조합원으로서의 의무. 그것들을 어떻게 발전시켜 현재 러닝하고 있는 산업(서비스)에 적용할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고, 적극적이고 실험적인 경제 시스템 설계와 실행에 대한 챌린지를 받게 될 것입니다.

저희는 그 챌린지를 미리 대비해야할 것입니다.


관련글 : '스팀잇의 사례로 본 가상화폐와 CRM(스팀잇 입문자, 문외한을 위한 스팀잇 A to Z 모음)' @jayden.yoo
관련글 : '포인트, 마일리지 통합 플랫폼 - 베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VS 하나은행 GLN (G코인)' @unjerry



Vote / Comment / Resteem / Follow ☆☆☆

Sort:  

공감합니다. 블록체인은 미래 우리가 기대해 마지않는 사회에 은근히 숨어야 할 기술적 용어의 일부로 잊혀질거라고 생각합니다. 공명정대한 가치의 이전과 공유가 보장되는 탈중앙사회는 대중이 인지조차 못할 정도로 시나브로 스며들겠죠?

맞습니다.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기대수준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의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봇팅하고 팔로잉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글 잘 읽었습니다. 스팀잇 기반으로 독자 작가 보상형 웹툰 서비스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제 생각과 많이 비슷하십니다. 좋은 글 앞으로도 기대하겠습니다.

진행하시는 프로젝트 관심가지고 지켜보고 있습니다. 응원합니다 :)

좋은 글 감사하게 읽었습니다 앞으로도 부탁드립니다 ^^

관심가지고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저는 회계적인 문제 때문에도 포인트나 현금 지급 방식은 sweat equity reward로 적합하지 않다고 봅니다. 이들 전통적인 reward 가 부딪히는 회계적 문제를 세부적으로 구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a. 고객에게 reward 지급할 때마다 기업이 비용을 인식함

  • 설령 좋아요에 1원 씩 지불한다 하더라도 순식간에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입니다. 또 즉각적으로 현금으로 지급하지 않고 포인트로 지급한다 하더라도, 회계장부 상에는 비용 인식과 고객에게 지불해야 할 부채(예수금)를 기록해야 합니다. 기업의 재무건전성이 매우 악화됩니다.

b. 고객에게 지급하는 reward가 기업의 비용이 아님

  • 고객에게 지급하는 reward를 "게임 아이템"과 같이 실제 비용이 아니라 단지 디지털 코드로 지급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고객이 게임 아이템을 아이템 거래소에서 현금화하는 것은 순전히 고객의 현금으로 기업의 회계 장부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또한 reward 디지털 코드는 오직 기업 서비스 플랫폼에서만 돌며, 기업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에게만 어떤 특정한 가치를 가질 뿐입니다. (ex- 집행검은 리니지에서 게임하는 가치 외에는 다른 가치 없음) 그리고 이는 서비스 플랫폼 외부의 재화에 대한 결제수단으로 이용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회계적 가치 0) 따라서 대외적인 경제 생태계를 창출하지 못합니다.

저와 비슷한 생각이시네요. 적어주신 내용에 대해 같은 의견입니다 :)

굉장히 중요한 포인트를 잘 짚어주셨네요! Sweat Equity ... 노동의 가치를 담은 자산, 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을까요. 링크해주신 자료도 잘 공부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심가지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돈은 code가 아닌 user에게서 나온다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생각을 가져가야할 지 여러 방면으로 고민해보고 있습니다 :)

이 방식도 문제가 많으나, 지금까지 제가 아는 방식중엔 가장 멋집니다.

윈스턴 처칠이 한
"많은 형태의 정치체제가 시도되어왔고 앞으로도 시도될 것이다. 누구도 민주주의가 완벽하거나 만능이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실제로는 민주주의가 최악의 정치체제라고들 하기도 한다. 여태까지 시도된 모든 다른 형태의 정치체제를 제외하고 말이다."
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그 철학을 실제로 시도하고 구현내고 이정도의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얻을 인사이트가 많아 보입니다 :)

이제는 스티밋이 페이스북보다도 한층 더 인간적인 SNS라는 생각이 확고재 지고 있네요.
이곳에는 읽어보면 주옥같은 글들이 참 많습니다. 앞으로 자주 소통해요^^

페이스북은 깊이 있는 글을 올리기엔 가벼운 플랫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브런치나 네이버 블로그와는 또 다른 느낌입니다. 이 곳에 작성되는 글들을 보며 굳이 비슷한 느낌을 찾자면 개인적으로 미디엄 스러운 것 같긴 합니다 :)

요새들어 스티밋에 기자들도 많이 유입된다는 정보를 확인했어요. 그들 역시 단순히 기자로 먹고사는것보다도 스티밋이란 SNS가 끌리나 봅니다. 좀더 심도있는 글을 쓰는게 가능하다는 것이 이유겠죠.

물론 스팀잇은 아직 불완전한 서비스로 개선의 포인트가 많습니다. 그렇기때문에 스팀잇 자체가 계속 성공하리라는 장미빛 생각을 하진 않습니다.

스팀잇의 미래는 그렇게 장미빛은 아니다 @jayden.yoo

다만, 이러한 시도와 반응의 결과가 더 나은 서비스들이 등장하는데 디딤돌의 역할을 해주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스팀잇이라는 서비스가 좀 더 심도 있는 글쓰기가 가능하다는 부분에 대해서 공감합니다. 이는 아무래도 아직 독자층, 이용자층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글에 보상이 작게나마 연결되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스팀잇에는 정말 봐야할 중한 글이 많네요. 글 잘 보았습니다.

관심가지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Congratulations @jayden.yoo!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number of upvotes
Award for the number of upvotes received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or on SteemitBoard.

To support your work, I also upvoted your post!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Upvote this notification to help all Steemit users. Learn why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