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투자자를 위한 기본적인 투자 지침

in #kr6 years ago

안녕하세요! 종그리입니다.

오늘은 특히 초보 투자자분들을 위한 성공적인 투자의 기본 지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유 자산이 준비되있는지 확인하세요

대부분의 자산관리사들은 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2개월에서 6개월 정도의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을 만큼의 비상금을 마련해놓기를 권장합니다. 그렇게 된다면 여러분이 갑작스러운 질환이나 긴급한 상황에 돈을 찾아야 할 때, 투자해놓은 자금을 뺄 필요가 없어집니다. 충분한 저축을 했고 빚도 적어서 여유롭게 갚아나갈 상황이 된다면 투자를 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가능한 한 이른 나이에 투자를 시작하세요!

투자는 일찍 시작할 수록 복리효과 덕분에 재무 목표를 계획하고 달성하기 더 쉬워집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투자를 너무 늦게 시작하거나 적은 금액으로 투자해서 그리 큰 결과물을 얻지 못하기도 합니다. 일찍 출발하지 않으면 따라잡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투자 대상에 대한 기본 개념 이해

실제로 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주식, 채권, 선물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투자 대상에 대한 기본 사항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리스크를 고려하세요

투자에는 잠재적인 보상에 대한 대가로 어느 정도의 위험이 수반됩니다. 현재의 재무 상황과 목표를 고려해서 어느정도의 위험(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는지 결정하세요.

포트폴리오 다양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투자 대상에 자금을 분배하세요. 다양한 기업 및 산업, 투자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획을 세우세요

투자를 시작하기 전, 투자에 대한 전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세요. 생각해둔 재정적인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의 시간과 수익률을 생각해봅니다. 여러분이 어느정도의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는지 고려하고 매달 얼마의 돈을 투자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느 투자 대상에 투자할 것인지 등도 결정해봅니다.

조사하고 연구하세요

연구는 성공적인 투자에 중요한 부분입니다. 투자하기 전에 항상 조사를 하세요. 대부분의 온라인 증권사들은 주식과 펀드 가격 현황 외에도 분석 및 뉴스를 제공합니다. 이런것들을 보고 감정이 아닌 이성으로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리스크와 잠재적 보상에 대해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행동하세요. 특히 '인기종목'들은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합니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파세요

너무 당연한 말인가요? 하지만 당연하고, 기본적일 수록 더욱 잘 지켜야 하는 법입니다. 투자의 기본은 여러분이 지불한 돈 보다 더 많은 돈을 받고 이익을 내는 것입니다. 아이디어는 간단하지만, 이를 실천에 옮기고 꾸준히 행하는 것은 도전적인 일입니다. 주가의 역사를 그려놓은 차트는 미래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보장된 것은 아닙니다. 전문가들은 그것보단 투자대상에 대해 조사할 때, 개인의 투자 목적(즉, 투자자들에게 있어 소득, 성장, 안전 또는 세 가지 조합 중 어느 정도까지를 제공받을 것인지 목표 여부), 감수할 수 있는 리스크가 투자 대상과 얼마나 잘 맞는지에 초점을 맞추기를 권장합니다. 특히 주식의 절정기를 피하고 큰 경기 침체 후에 잠재력이 뛰어난 좋은 주식을 낮은 가격에 살 수 있는 기회를 찾아보세요.

너무 잦은 거래는 피하세요

일부 투자자들은 자신들이 읽은 뉴스나 '인기종목'에 지나치게 반응합니다. 그들은 빠른 이익을 얻기 위해 투자를 하고, 매우 빠르게 사고 파는 것을 반복합니다. 이러한 전략들은 거의 효과가 없으며, 돈을 빨리 잃을 심각한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객관적으로 생각하고 장기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세요. 우리는 도박꾼이 아니라 투자자가 되어야 합니다. 시장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반응하거나 유행하는 종목을 사고 싶은 충동을 피하세요.

매도 시기 결정

성공적인 투자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손실을 내고 있는 투자와 가치가 증가하고 있는 투자를 언제 매도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투자 전문가들은 그들이 판매할 특정 가격(높은 또는 낮은)에 대해 엄격한 지침을 정합니다. 잠재적인 손실을 줄이고 이익을 극대화하려면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접근해보세요. 제가 사용하는 방법은 기준을 가격으로 정하기보다는 1. 주식이 사람들의 관심을 너무 많이 받으며 심하게 과열되있을 때 2.매수 후 나의 판단이 틀렸다고 생각했을 때 3. 기업의 미래나 이익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일이 발생했을 때 매도한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수 후 무작정 보유하는 것이 아니라 포트폴리오를 정기적으로 검토하면서 어떤 것이 가치가 증가하고 손실을 내고 있는지, 각 기업의 상황은 어떠한지 체크해야 합니다.

투자 비용 고려

세금, 수수료, 인플레이션 및 기타 비용은 모두 투자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 실행하세요.

투자 성과 분석

어느 투자자든 투자를 한 후 얼만큼의 수익과 손실을 보았는지 확인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통 HTS에서 제공되니 일정한 주기를 정해 확인하세요.

투자 계획과 포트폴리오

목표를 놓치지 않도록 투자 계획을 정기적으로 검토하세요. 필요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조정하여 목표해둔 리스크와 수익률에 부합하도록 합니다.

Sort:  

Congratulations @jongree!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You got your First payout

Click here to view your Board of Honor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Do not miss the last post from @steemitboard:

SteemFest3 and SteemitBoard - Meet the Steemians Contest

Support SteemitBoard's project! Vote for its witness and get one more award!

Congratulations @jongree!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1 year!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