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it Today
안녕하세요! Keepit 입니다.
블록체인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흥미로운 사건들을 엿볼 수 있는 창구.
오늘의 스낵뉴스입니다.
1. Blockchain for Social Impact Hackathon 결과 발표
[Medium]Announcing the Winners of the Blockchain for Social Impact Coalition Hackathon
블록체인 기업 엑셀러레이터인 Consensys (설립자 Joe Rubin)에서는 7월에 팀을 구성하여 Blockchain for Social Impact Initiative를 시작했습니다. BSIC (Blockchain for Social Impact Coalition)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공공의 이익을 도모하고 기후변화, 가난 퇴치, 범죄율 감소 등 UN의 SD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실현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9월부터 10월까지 한 달 간 120여 개의 나라에서 60팀이 참가한 해커톤이 진행되었고 그 수상작이 얼마 전 발표되었습니다. 수상팀들의 프로젝트 설명 영상을 소개해 드립니다.
- Financial Inclusion
- 1등 - CoverUS
- 2등 - Team Raise
- Supply Chain
- 1등 - Kind Trust
- 2등 - Mineral Track
- Identity & Vulnerable Population
- 1등 - Record
- 2등 - CBT Success
- Energy & Environment
- 1등 - Nori
- 2등 - Smart Charge
한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피부로 느끼기 어렵지만 은행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Unbanked 인구와 신원을 증명할 방법이 없는 지구상의 수많은 사람들, 그리고 중간유통자들에게 착취에 가까운 수수료를 지불하고 있는 원자재 생산자들에게는 블록체인 기술이 삶을 바꿔줄 영향력이 있습니다. 이런 직접적인 기술의 혜택과 더불어 토큰을 활용하여 새로운 보상 구조를 잘 설계하면 공공의 이익과 개인의 이익을 일치시켜 단순히 좋은 마음으로가 아닌, 실제로 나에게 직접적인 이익이 되기 위해 환경을 보호하고 공공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을 위한 블록체인의 활용 연구도 더 많이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2. 위키피디아의 공동설립자, 새로운 블록체인 위키피디아 프로젝트 착수
[TechRepublic]Why Wikipedia's cofounder wants to replace the online encyclopedia with the blockchain
[Quartz]Wikipedia’s cofounder on how he’s creating a bigger, better rival—on the blockchain
사람들은 위키피디아를 걸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위키피디아는 지식의 보고이자 수많은 대학생들의 구세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위키피디아를 만든 사람들 중 한 명인 Larry Sanger는 그 한계점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위키피디아는 세계에서 5번째로 큰 웹사이트지만 적극적으로 글을 쓰는 사람은 수천 명에 불과합니다. 수십억 명이 활발하게 컨텐츠를 만들어내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비하면 초라한 수준입니다. 온라인 백과사전을 만드는 더 좋은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위키피디아의 공동설립자는 블록체인 위에서 모든 것의 온라인 백과사전을 집필하고자 하는 Everipedia 팀에 합류했습니다. Everipedia는 위키피디아와 다르게 검열이 불가능하며, 블록체인 위에 기록되기 때문에 등록/수정에 관련된 모든 기록이 남게 됩니다.
An open encyclopedia network built by many different users, especially a blockchain network that has a decentralized monetary value, will quickly become significantly more useful than Wikipedia.
위키피디아에서는 컨텐츠를 선별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 온전하게 작동하지 않아 많은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Everypedia는 선별과 관리를 해주는 주체를 강화하는 대신 모든 참여자들이 동등한 위치에서 발언을 할 수 있고 대중이 그 합당성이나 컨텐츠의 질을 결정할 수 있도록 열린 장을 제공합니다.
Philosophers often speak expansively of “the conversation of mankind.” The internet’s version of this is a shouted, half-heard argument in a crowded bar. This cacophony is about to be resolved with more clarity than ever before.
지성가들이 편지를 주고받으며 토론한 내용들이 세대가 지나 명작으로 평가받으며 인류에게 가치를 더해주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사람들의 토론 가운데서 얻을 수 있는 통찰과 지식을 이제 전 세계의 모든 사람들과 연결되어서 주고받을 수 있고, 또 그 기록이 보존된다는 것은 인지를 벗어나는 멋진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또한 현실적으로 Everipedia에서 만들고자 하는 작품이 어떻게 참여자들에 의해 모양이 잡혀갈지 궁금해집니다. 대중이라고 항상 옳은 것은 아니고, 시장이 내리는 선택이라고 항상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기준과 구조를 어떻게 설계해서 균형을 찾아갈지 기대도 됩니다.
3. 한줄 뉴스
이 외에 흥미로운 뉴스들을 한줄 요약과 함께 소개해 드립니다.
- Crowdfunding Giant Indiegogo Opens to ICOs
거대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Indiegogo가 ICO 플랫폼을 시작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적격투자자(accredited investors)에게만 투자를 받고 있고 첫 프로젝트는 현재 9명의 투자자로부터 10억 원가량을 투자 받았습니다. Indiegogo는 2008년에 설립되었으며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중에서 가지는 영향력을 고려해볼 때 아주 큰 플레이어의 등장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ndiegogo는 기존의 브랜드 파워를 이용해 미국의 ICO Hub가 되고자 합니다.
- How to Make Blockchain Projects and ICOs Appealing to Traditional Investors, Explained
전통적인 투자자들은 투자를 할 때 지분을 받으면서 소유권을 인정받거나 의사결정권을 양도받는 구조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반면 토큰은 그러한 권리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이 부분에 대해서 저는 생각이 좀 다릅니다. 어떤 토큰 경제 구조에서는 '회사'라는 주체 자체가 의미가 없는 경우도 많은 데다가, 토큰은 그 토큰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규제 변화의 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ICO 투자에 선뜻 뛰어들지 못하고 있습니다. 불안을 해소할 방안으로 로드맵을 기준으로 달성 여부에 대해 투표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마일스톤을 달성하지 못했을 경우 투자금을 환불해주는 방법도 제안합니다.
- France Approves Blockchain Trading of Unlisted Securities
France Will Allow Blockchain Platforms For Trading Securities
프랑스 정부는 은행과 핀테크 업체들이 상장되지 않은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도록 허가해줬습니다. 프랑스는 지난 5월 워킹 그룹을 구성하여 공공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 꾸준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런던 거래소 역시 IBM과 제휴하여 중소기업들이 손쉽게 주식을 발행하고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5 Big Advantages of Blockchain, and 1 Reason to Be Very Worried
블록체인 기술이 가져다줄 수 있는 장점 5가지와 조심해야 할 점 1가지를 소개한 기사입니다. 블록체인은 투명성을 제공하고, 거래비용을 감소시키고, 거래 체결을 빨리할 수 있게 도와주고, 분산화되어 있으며, 사용자들이 소유하고 통제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한가지 아주아주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점은, 바로 사람들의 기대 수준과 기술의 발전 속도입니다. 사람들의 기대는 항상 기술의 발전 속도보다 높다는 것을 경계해야할 것입니다.
이상 오늘의 스낵과 같은 뉴스를 마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That's all for today's snack news.
Hope you have a great day!
DJ
오늘도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FOMO 와 FUD를 박멸하기 위해 방송을 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Youtube
https://www.youtube.com/channel/UCFYXE2w60jhpCO9uKvjZvVQ
Steemit
https://steemit.com/@orcaman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세상은 온통 혁신에 빠져 있는데, 저는 좁은 시야로 투자할지만 고민하고 있으니 큰일이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팔로우합니다. 자주 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