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새랑 레이든을 한번 알아보러 가즈아~ 1탄

in #kr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레이든을 한번 알아보러 가즈아~ 1탄입니다.

많은 분들이 모르고 있는것 같기도하고..복잡한 개념 그리고, 마케팅에 무관심한 레이든 개발진을 위하여 참새가 만든 짧막한 시리즈 '레이든을 한번 알아보러 가즈아~' 입니다.
평소에 참새 저는 경어체를 주로 쓰는데요. 레이든 시리즈는 간결함을 통해 좀 쉽고 빠른 이해를 위해 짧은 평어체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많은 이해 부탁드립니다.. (흑흑...)


참새가 작성한 사토시를 읽어보면, 레이든은 결국 이더리움의 스케일링, 빠르고, 간편, 그리고 저렴성을 추구한 프로젝트인데, (물론 사실이다) 이는 정말 '거시적'인 시각이며 좀더 깊게 들어가면 되게 구체적이고 복잡한 시스템이다. 왜그런지 2~3 에피소드를 통해서 한번 알아가 보도록 하자!

우선 레이든 네트워크의 핵심은 '페이먼트 채널' 이라는 기술에서 비롯된다.

페이먼트 채널이 이뤄지는 과정을 알기 이전에, 페이먼트 채널이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자.

예를 들어보겠다.

A와 B라는 사람이 있다.
A는 지불자 B는 수령자이다.

3문장으로 페이먼트 채널을 설명하자면

1.A는 일정량의 토큰을 체인에다가, 예금한다.
2.결제는 라이덴 네트워크 즉 ‘오프체인’ 을 통해 이뤄진다.
3.서로 돈을 ‘주고’ ‘받는’ 활동에 관한 거래계약 합의는, 양쪽의 디지털 시그너쳐 를 통해서 이뤄진다.

이 세가지 스텝으로 '페이먼트 채널'은 만들어진다.

그럼 이러한 '페이먼트 채널'은 이더리움에서 곧 일어날 무수히 많은 스마트 계약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처리하는것일까?

우선 A
위에서 말한 A와 B가 합의한 계약 내용이 ‘이행’ 되었을때, A가 맡겨놓은, 즉 기존에 예금한 토큰/화폐는 퍼블릭 블록체인 즉 이더리움이 플랫폼에서 스마트 계약의 증명 과정을 거쳐 B 수령자에게 입금이 된다.

페이먼트 채널은 A -> B 뿐만아니라, B 에서 C, C 에서 D 로 가는 결제 시스템역시 복잡한 또다른 채널 구축의 필요성 없이 이뤄지게 하려고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축의 장점은, 결국 A-B의 결제 증명, B-C의 결제증명 C-D로 가는 결제증명 이렇게 수없이 많은 증명이 필요없이 한번에 이뤄지는데에 있다.

또한 이러한 채널의 구축은 한번의 계약으로 수없이 많은 이해당사자들이 자동적으로 토큰혹은 화폐를 지급, 혹은 지불 할수 있다는데에서 매우 효율적이라고 할수있다.

페이먼트 채널의 거래 과정도 한번 들여다 보자

만약 참새가 비둘기에게 100BAT 토큰을 10번에 나눠서 즉 10개씩 10번 보낸다고 가정해보자

  • 참새는 라이덴 네트워크를 통해 ‘지불채널’ 을 만든다.

여기서 참새는 본인의 송금내역이 대중들에게 공개할필요도 없을 뿐더러, 증명과정에 필요한 무수히 많은 시간과, 특히 수수료를 낼필요 없다.

오프체인이니 이러한 장점이 있다.

  • 지불 채널내에서 참새가 비둘기에게 보낼 100BAT 토큰을 담보형식으로 가져간다. 즉 에스크로 형식이다.

에스크로
“구매자와 판매자간 신용관계가 불확실할대 3자가 거래를 이뤄질수 잇게 중계하는 서비스”

여기서 페이먼트 채널 ‘스마트 계약’이 만들어진다. 근데 담보를 왜 가져갈까???

왜냐하면 담보를 통해 참새는 비둘기한테 100BAT를 건네줄 능력이 된다는것을 확인 시킬수 있기 때문이다.

자 근데 만약 참새가 20BAT를 건네준 시점에서 더이상 ‘페이먼트 채널’ 을 유지하고 싶지않다. 어떻게 해야할까?

  • 참새가 비둘기에게 더이상 80BAT를 제공해야할 의무가 없다는 스마트 계약을 제시한다.

  • 참새와 비둘기는 사인한다

  • 스마트계약이 이행되고, 남은 80BAT는은 참새에게 돌아간다.

참새와 비둘기의 예로만 본다면 이는 상당히 단순 명료하다. 하지만 좀더 깊게 생각해보자, 이더리움 체인을 통한 안전하고 진실된 거래 동시에, ‘페이먼트 채널’을 통한 빠르고 자동적인 거래가 가능하다. 또한 dapp내에서의 거래 뿐만 아니라 우리 실생활에도 충분히 통용될수있어 보인다.

한번 이러한 기술이 스마트 계약을 통한 기계와 기계간의 거래, 즉 사물인터넷에서 상당히 중요해보이는 지불 시트템을 페이먼트 채널과 스마트계약을 통하여 모든것들이 프로그램화 된다고 생각해보라.

효율성 비용절감, 뿐만아니라 편리성 이 세가지를 패키지화 하는것이니, 이는 대단한것이다.

혹시라도 이 짧막한 글 읽고 당장 거래소가는 논센스 투자자분들 없길 바란다. 다음시간 쌍방 거래 채널, 그리고, 라이덴 프로젝트의 꽃이라 할수 있는 멀티합 전송 역시 알고 결정해도 늦지 않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라이덴은 정말 아직 걸음마 단계에 지나지 않는 프로젝트이다. 아니 솔직히 잉태 단계 프로젝트라 하는것이 더 옳다. 걸음마 단계인데 현재 가격 형성을 하는것을 보면 엄청난 기대심리가 작용하는것은 사실로 보인다.
분명! 리스크 역시 다분한 프로젝트이다. 페이먼트 채널에 관해 알아보았으니, 다음시간에는 나머지 거래 방식들과 함께 라이덴이 넘어야할 몇가지 고비 역시 말해보도록 하겠다.

최근 여러 고래님들과 스티미언님들을 필두로 뉴비 지원 프로젝트가 다시 불타오르는것 같아, 저 참새도 동참하려고 합니다. (더 많은 분들을 뵙고 인사나누고 싶은 마음도 있구요.... ㅎ) 얼마 안되는 파워이지만, 환영하는데 조그만한 도움이 되고싶습니다. 밑 댓글에 본인글 링크를 첨부해주시면, 약소한 파워이더라도 보팅을 ‘꼭’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읽어주신 여러분 감사드립니다.~

제 포스팅이 유익하였다면 보팅, 리스팀, 팔로잉 부탁드립니다 ^^

Sort: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 관심 가지고 있었는데..

남은 2편도 꼭 읽어주세요 :)

라이덴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늘 좋은 글에 감사드립니다 :)
첨 스티밋 왔을때 참새님 글을 정독하며 감탄했던 기억이 납니다.

저도 최근에 공부한 내용들을 새로 오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하여 시리즈로 적어보고 있습니다~ 응원해 주시면 감사할 것 같아요 :)
https://steemit.com/kr/@yusulism/part-1

앞으로도 좋은 글 많이 부탁드리겠습니다.

방문도 많이 해주시고, 댓글도 많이 남겨주세요! 칭찬해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즐기면서 꾸준히 좋은 글 남겨주세요 :) 앞으로도 자주 찾아뵙도록 할게요!

오늘도 역시나 배우고 갑니다!
매일 배우다 보니 제 머리가 과부하가 걸리네요 ㅎㅎㅎ

저도 온종일 이일 저일 하니 머리에 과부하가... ㅜ

참새님 반가워요~
얼마전에 팔로우는 했었는데 댓글은 처음 남기는것 같네요^^ 좋은 정보 잘 보고 갑니다! ㅋ

팔로우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좋은 정보 올릴수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

Please vote my post

오늘도 유익한 포스팅이네요 ^^ 참새님덕에 스팀잇이 더 재미있어 지고 있어요 ^^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kim066 님, 좋은 정보만으로도 감사드리는데요 뉴지 지원까지 해 주신다니 정말 멋지십니다~~ 감사합니다^^

꾸준히 지원하려고 합니다. 감사드립니다. @kimsungmin

네 정말 감사합니다~~ ^^

아주 유용한 정보 제공 감사합니다.
현재 레이든 토큰으로 명명되어 있나요?

틱커 RDN 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려운 말씀이지만 노력해 보겠습니다.

https://steemit.com/kr/@edwardcha888/feat

뉴비지원에 감사드립니다.

천만에 말씀입니다 :)

참새님 오늘은 예까지 들어주셨네요 ㅎㅎㅎ
뉴비지원 프로젝트 기대하겠습니다!!

지속적으로 지원해드릴예정입니다:)

이해가 쏙쏙 되네요 ^^

감사드립니다 :)

ICO 직전에 라이덴 사이트에 나오는 설명들 읽으면서 시장가치가 없을거라고 예측한 저를 비난이라도 하듯...(몇 개 안되는 제 글에 라이덴에 부정적인 내용이 블록체인에 치부?로 남았..) 바이낸스 등 상장 직후 라이덴의 시장가치가 급등하던게 생각나네요. 이해하기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남은 글도 관심있게 읽어주세요 :)

항상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방문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정말 감사합니다!!! 라이덴 네트워크는 참새님 글을 바탕으로 공부하면 되겠네요..ㅎㅎ
항상 간지러운 부분을 찾아서 긁어주시는 거 같아요.ㅎㅎ
다음 글 읽기전에 저두 조금더 찾아보고 공부하겠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사이드 체인하고 비슷해보이는데 차이점이 있을까요?
나중에 여력이 되시면 비교글 한번 쓰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