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원리 PART 6: IP 주소 & DNS – (3)

in #kr6 years ago

안녕하세요 여러분. 참새입니다.

‘DNS’라고 들어보셨나요? (생소하실 수도 있고 들어본 적이 있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ㅎㅎ)

DNS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입니다.

DNS라는 프로토콜이 무엇을 도와주냐면, ‘www.example.com’과 같은 인터넷 상에서 보여지는 이름을 ‘153.104.63.227’과 같은 IP 주소로 연동시켜줍니다.

즉, DNS는 인터넷 상에서 도메인 주소와 실제 IP 주소로 대응시켜 주는 프로토콜입니다ㅎㅎ

네이버 웹사이트에 들어가고 싶으신데 네이버 웹사이트에 해당되는 IP 주소를 쳐야지만 들어갈 수 있다면 정말 힘들겠죠? ㅎㅎ (DNS라는 프로토콜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 우리는 네이버 웹사이트에 들어갈 때 ‘www.naver.com’만 치면 됩니다. 훨씬 간편하죠!)

컴퓨터는 DNS를 이용하여서 들어가고 싶은 해당 도메인 이름을 찾고, 도메인 이름에 해당되는 IP 주소를 찾고 연결시켜주기 때문에 저희가 굳이 IP주소를 일일히 외우지 않아도 되죠.

문제는…! 하나의 DNS 서버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디바이스들의 ‘요청’을 다 처리할 수는 없습니다. (네이버에 들어가려는 사람만 계산해도 하루에 몇 십만, 몇 백만 명인데 DNS 서버 하나가 하루종일 해당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연결시켜주는 일을 처리하려고 한다면 과부하가 걸리겠죠 ^^;;)

그렇기 때문에 DNS은 여러 구역으로 나누어져서 각각의 DNS 서버마다 담당하는 책임을 달리하게 됩니다. 예를 들자면, 가장 유명한 도메인들인 ‘.com’, ‘.org’, ‘,net’처럼 각각의 도메인들을 처리해주는 DNS 서버들이 따로 있고, 어떤 DNS 서버는 ‘.com’에 관련된 요청들만 처리를 하고, 어떤 DNS 서버는 ‘.org’에 관련된 요청들만 처리를 하고, 어떤 DNS 서버는 ‘.net’에 관련된 요청들만 처리를 하게 되죠. 이렇게 각 서버마다 해야할 일이 정해져 있으면 과부하가 걸릴 위험이 훨씬 더 줄어들겠죠? ㅎㅎ

DNS는 원래 정부나 교육 기관들을 위해서 모두에게 열려있는 (open and public)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로 만들어졌습니다. 이러한 ‘열려있는’ 특징 때문에 사이버 공격을 많이 당하기도 합니다.

DNS에 관련된 사이버 공격의 예로는 ‘DNS 스푸핑 (DNS Spoofing)’이 있습니다. 원래 DNS 서버가 ‘www.code.org’를 ‘174.129.14.120’이랑 정상적으로 연결을 시켜줘야 하지만,

해커가 DNS 서버를 해킹하여서 고의적으로 잘못된 IP 주소 (‘192.60.25.216’)로 바꿔버리는 겁니다. 저가 만약에 www.code.org에 들어가고 싶어서 검색창에 웹사이트 주소를 치고 들어갔는데, 이 웹사이트가 DNS 스푸핑 공격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www.code.org와 똑같이 생긴 웹사이트로 들어가서 개인 정보를 치고 로그인 하려고 한다면 해커들은 저의 개인 정보를 모두 탈취할 수 있겠죠.

DNS 스푸핑의 가장 오싹한 점은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자신들이 들어가고 있는 웹사이트가 DNS 스푸핑 공격을 당하고 있는지 인지하지 못한 채 평소대로 인터넷을 사용하여서 웹사이트에 들어가고 있다는 겁니다. 저는 분명 네이버에 들어가서 로그인하고 네이버를 쓰고 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제 모든 개인 정보는 해킹당했고 신상 정보까지 유출되어 있다면 정말 충격이겠죠?

인터넷에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있고 다양한 유용성이 있지만, 인터넷이 ‘모두에게 활짝 열려있는 특징’은 독이 될 때가 있습니다. 저희는 이런 독에 피해입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다음 포스팅에서 뵈요~

어흥~

참조링크

제 포스팅이 유익하였다면 보팅 , 리스팀, 팔로잉 부탁드립니다 ^^

인터넷의 원리 PART.1: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https://steemit.com/kr/@kim066/part-1
인터넷의 원리 PART 2: 와이어, 케이블, 그리고 와이파이 (Wifi) - 1
https://steemit.com/kr/@kim066/part-2-wifi-1
인터넷의 원리 PART 3: 와이어, 케이블, 그리고 와이파이 (Wifi) - 2
https://steemit.com/kr/@kim066/part-3-wifi-3
인터넷의 원리 PART 4: IP 주소 & DNS – (1)
https://steemit.com/kr/@kim066/part-4-ip-and-dns-1
인터넷의 원리 PART 5: IP 주소 & DNS – (2)
https://steemit.com/kr/@kim066/part-5-ip-and-dns-2

Sort:  

매우 유익한 정보네요.
무서운 내용이기도 하고요.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아~ 많이는 들어봤지만 제대로 몰랐던 내용들이군요.
좋은 정보 잘 보았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구요~ 뉴비가 팔로우 & 인사드리고 갑니다.

반갑습니다. 앞으로도 자주 뵈었으면 합니다 :)

참새님 정말 많은 분들을 위하여 여러가지 기술적인 내용들을 잘 풀어 설명해 주시니 제가 다 감사합니다. 제가 컴퓨터를 시작할 때 이런게 있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역쉬 UIUC. ^^

다소 우울해지는 포스트를 하나 올리고 나서 이렇게 techy 한 글을 보니 조금 기분이 나아지는 것을 보면 저도 어쩔 수 없는 엔지니어의 피가 흐르나 봅니다.

좋은 글 많이 보시라고 보팅하고 갑니다.

@catiot 제 글을 통해 기분이 나아지셧다고 하니, 대단히 뿌듯하네요. 올리신 글 읽고 왔습니다. 어떤 위로의 말도 지금 도움이 안될거라 생각하지만, 진심으로 아내 분께서 쾌차 하시길 기원합니다.

최근 상당히 흥미로운 기술을 발견하였습니다. 스티밋에 계신 많은분들과 이러한 사실을 공유하기위해, 다른 연재는 잠시 미루고, 현재 그 작업을 진행중입니다. 저보다 넓은 안목과 지식을 보유하신 선배님께서 곁에서 지켜봐주시고 좋은 조언 해주셨으면 합니다. 또 더불어 UIUC 의 위상도 같이 올라갔으면 합니다... ㅎㅎ 귀중한 댓글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

참새님의 다음 행보가 기대가 됩니다. 저도 두근두근한 마음 가지고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신기술에 매료될 수 있는 안목을 가질 수 있는 것도 살아가면서 축복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주변 분의 한마디 한마디가 큰 힘이 됩니다. 이 기회를 빌어서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어서 더 기쁘기도 합니다. 여러모로 감사합니다. 언젠가는 UIUC 태그를 나눌 수 있는 분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컴퓨터하다가 DNS는 보기만 했지 알게 된거는 이번이 처음이네요...^^;; 포스팅 잘 보고 갑니다.

편안하게 즐기고 가셨으면 합니다 :)

이런 연재 너무 좋습니다 ㅎㅎ
저도 업무와 연관되서 네트웍 공부를 살짝 맛보았는데
어렵지만 재미있게 배우게 되더군요^^;
관심있는 정보를 스팀잇에서 만나게 되니
더 반갑기도 하네요^^
좋은 정보와 글 감사드립니다 ㅎㅎ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좋은 포스팅을 제공할것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저야말로 감사드립니다.
잊고 있던 공부꺼리를 던져주시니
제 뇌의 OSI 피지컬 계층이 자극되서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ㅎㅎ

그럼 스푸핑 같은 경우는 위에 주소창 주소가 다르게 나오나요?
예를 들어 www.naver.com이 www.naver.net 으로 나오거나요 ㅎ

조금 어려운 내용이였나보네요.ㅜ 전문적인 디테일로 가면 너무 복잡하니, 쉽게 이번 내용은
"인터넷에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있고 다양한 유용성이 있지만, 인터넷이 ‘모두에게 활짝 열려있는 특징’은 독이 될 때가 있습니다. " 라고만 짧게 기억해주시면 될듯싶습니다.:)

아아 넵 ㅎㅎㅎ
단어나 이런게 생소해서 그런가 봐요 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방문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

아이고 용어가 어렵네요~~ 팔로우 보팅하고 갑니다~

감사드립니다 :)

항상 감사히 보고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dns의 쉬운 이해, 감사합니다.

방문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

자동로그인 해두고 사용하던 사이트에서 갑자기 로그인이 풀려잇고 새로 로그인 해야하는 경우에 의심해 봐야하는건가용?

정확히 어떤 증상인지는 모르겠지만, 그건 아니라 봅니다.ㅎㅎ

결정 적인 장면에서 끝나는 드라마처럼, 다음 포스팅을 기다리게 하시는... ㅎㅎ

DNS라는 것은 자주 들어봤는데 IP와 이렇게 연관이 되는군요 ㅎ
잘 보고 갑니다^^

역시나 공부를 할 수 있는 전문적인 내용.ㅎ
편안한 저녁 되시길 바랄게요^^

전문적인 내용 최대한 풀어 작성하였는데 많이 어려우셨는지요???...

아이쿠 예전에 공부한건데 이렇게 생소한 이유는 왜 일까요? 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공부한 내용 한번 정리한다고 생각하시고 편하게 읽어주세요 :)

멋진 포스팅! 감사합니다. 프린터로 인쇄해서 찬찬히 공부해야 할 자료네요.

그렇게 봐주시니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방문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

네트워크에 관심이 있어서 쓰신 글 한번 쭉 봐야겠네요~ ^^

설명 진짜 잘 하시네요 ㄷㄷ 학창 시절 참새님같은 기술 샘을 만났더라면 기기와 기술에 대한 거부감이 훨씬 덜 했을텐데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