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중수를 위한 스티밋 길라잡이 #7 : 고래의 보팅 유무와 나의 보상과의 관계는?

in #kr6 years ago

앞으로 좋은 작가가 많이 와도 고래 모두가 셀봇하면 트랜딩 못 가겠죠.
고래들이 좋은글 많이 발굴하면 트랜딩엔 읽을 글 많아지고요. 좋은글이 많이 올라갈수록 신규도 많이 유입되고요...
(결국 고래가 선택권이 있군요)

이 논란은 신규 유입을 누구로 보냐도 영향이 있습니다.
투자자를 모아야 한다와... 사람을 모으면 그 사람들이 투자를 늘릴것이다. 라는...

Sort:  

고래가 모두 셀봇하면 이라는 가정을 하면 그렇게 되겠지요. 그렇지 않으면 어떨까요?

현실적으로 아래 가정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지금 KR 커뮤니티의 평균 스파량을 보면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고래는 투자가이고, 작가는 생산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람을 모으면 그 사람들이 투자를 늘릴 것

님께서는 좋은 글이면 100% 셀봇해도 문제가 없다고 했습니다. 그럼 고래 글이 트렌드에 올라가도 문제가 없는 것 아닌가요?

앞으로 좋은 작가가 많이 와도 고래 모두가 셀봇하면 트랜딩 못 가겠죠.

를 아래와 같이 바꾸는게 제가 쓴 의도를 잘 표현한덧 같아요

앞으로 좋은 작가가 많이 와도 고래 모두가 낮은 수준의 자신의 글에 셀봇하면 트랜딩 못 가겠죠.

전 고래의 셀봇을 하지 말자는 주장이 아닙니다. 고래중에도 글 잘 쓰시는분이 있고 그 글의 트렌딩은 당연한거죠.

고래가 100% 자신에게만 셀봇하지 않는 이상 좋은 작가에 대한 큐레이션을 할 것입니다. 그냥 있는 것 보다는 수익률이 좋으니까요. 그 말은 좋은 작가는 고래 만큼 보상을 많이 받아서 트랜딩에 갈 수 있습니다. 걱정하시는 일은 벌어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만.

증인은 1회 이상 셀봇하면 어뷰징이라고 보십니다. 글의 Quality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이 횟수가 너무 낮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아마 퀄리티 높은 글을 얼마나 자주 올릴 수 있냐에 대한 생각 차이 아닌가요.
제 생각도 통상 퀄리티 높은 글은 하루에 하나가 맞겠지만...
명절, 휴가 등... 날에 따라선 2회도 올릴 수 있겠죠...
이건 충분히 논의 가능하다 생각 합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