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ite Paper가 중요하다](1) Musicoin 뮤직코인 - 백서를 통해서 보는- 블록체인 기반

in #kr7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lordwillbe 입니다.


코인, 토큰 등에 투자를 함에 있어서 반드시 봐야 할 백서(White Paper)를
간단히 요약하는 글과 개인의 생각을 정리해서 올리고자 합니다.

오늘은 그 첫 번째로 뮤직코인 (Musicoin)에 대해서 이야기 드리겠습니다.

(1) Musicoin(MUSIC) 뮤직코인
(2) Edgeless (EDG) 엣지리스
(3) BasicAttentionToken (BAT)
...
...

(1) Musicoin(Music)는 어떤 화폐(코인)인가?


[참조 ​: Musicoin홈페이지 https://musicoin.org]


  • Musicoin은 단지 코인이라기 보다는 음악산업 전반에 대한 생태계입니다.
    소비자가 음악을 들을 때마다
    그 음악의 작곡자 및 뮤지션에게 그들의 작품을 배포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라이센스 계약을 맺게 하며
    즉각적으로 해당 뮤지션에게 비용이 결제되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그래서 Musicoin은 단순한 통화가 아니고 시스템이라고 부르길 원합니다.

  • Musicoin은 블록체인과
    이더리움의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렇기에 음악 청취자가 음악을 듣고자 Play 버튼을 누를 때마다
    자동적으로 사용계약을 체결하게 되며 지불이 이루어집니다.
    이것이 뮤직코인(Musicoin)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이유입니다.
    따라서 이 시스템에서 중간 배포자는 필요치 않으며
    우리가 지금까지 통신사를 통해서 지불해왔던 월간 사용료도 필요가 없습니다.

    아마도 이렇게 된다면 이것만으로도 음원산업은 큰 변화의 중심에 서게 될 것입니다.
    당연히 음원산업이 그렇겠지만 이는 드러나는 표면적 모습일 뿐
    안으로 들어가보면 통신업계, IOT/빅데이터/AI 등 다양한 산업에서
    이 변화의 흐름이 우리에게 다가올 것입니다.

  • Musicoin은 블록체인과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반으로 하기에
    전세계 모든 사람에게 투명하게 공개되고
    누구나 쉽게 블록체인을 볼 수 있으며
    모든 계약과 거래를 볼 수 있게 됩니다.(투명성)
    이게 블록체인의 강점일 것입니다.

  • Musicoin 플랫폼은
    뮤지션이나 청취자(소비자)에게
    어떤 수수료(fee)도 청구하지 않는다 합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청취자로부터 뮤지션(아티스트)에게로 청취할 때 마다 지불이 됩니다.
    백서에서는 이 방식을 (PPP, Pay-per-Play) 이라고 부릅니다.

  • 즉, Musicoin은
    음악의 배포와 소비를 위한 탈중앙화된 분산시스템 입니다.
    뮤지션과 청취자 사이에 어떤 중간 배포자가 없으며
    Musicoin은 뮤지션과 청취자를 직접 연결하는
    투명하고 분산된 플랫폼을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에 블록체인 기반위에서 가능한 플랫폼 입니다.



(2) 음원산업의 디지털화와 새로운 시도


  • 음반산업의 디지털화는 1980년에 시작되었습니다.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Napster의 출현으로
    디지털화는 강력한 힘을 갖게 되었습니다.

  • 이런 디지털 음악으로의 전환은
    이후 Spotify 나 iTunes 같은 서비스를 통해서
    청취자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었지만
    뮤지션들에게는 최선의 선택은 아니었습니다.
    음원산업은 여전히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으나
    대부분의 뮤지션들은 생계를 유지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합니다.

  • 지난 20년간의 이런 음원산업의 흐름은
    최근들어서 변화를 추구하는 자에게
    특별한 기회가 생기게 해주었습니다.
    이는 디지털통화를 사용함으로
    최소의 비용으로 즉각적인 지불이 가능하게 되었고
    코드화된 계약(Coded Contract)을 통해서
    뮤지션은 제3자에 의존하기 보다
    직접적으로 자신의 저작권을 보호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물론 기존 플랫폼에서 수익을 가져왔던 파트에서는 경각심을 가져야 할 기술이지만
    반대로 블록체인 업계나 뮤지션 들에게는 이것만으로 큰 기대감을 갖게할 것 같습니다.


  • (3) 과거의 2가지 모델


    [참조 ​: Musicoin 백서(white paper)]


    • 1) Torrent Model(왼편 그림)
      P2P 모델로써 컨텐츠는
      네트워크 상에서 뮤지션의 동의 없이 서로간에 공유하게 되었고
      어떤 보상도 없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 방식은 뮤지션의 이익이 배제되었기에 지속될 수 없는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솔직히 무료 다운로드를 받았던 우리 입장에서는 가장 좋았던 시절이었겠지요?
      (ㅎㅎ 저만 그랬었나요?)

    • 2) Subscription Model(오른편 그림)
      Subscription(구독)모델로써 중앙집중화된 카탈로그를 통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통신사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방식입니다.

      사용자는 대개 월 9.99달러를 정액지불함으로
      가끔씩 자신이 청취한 음악보다 추가로 지불하게 됩니다.
      이와같은 스트리밍 서비스 방식은
      서비스 제공업체인 퍼블리셔에게는 많은 비중의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과거보다 개선되었다고 하나
      여전히 뮤지션에게 지불하는 비중은 적다고 합니다.
      궁극적으로 로열티 수수료의 80% 이상이 중개인에게 가는 구조라고 백서에 나와 있습니다.


    [참조 ​: Musicoin 백서(white paper)]


    • 가수 James Blunt 는 이와같이 이야기 합니다.
      "나는 1 스트림 당 0.0004499368 파운드를 받는다."
      Spotify에서 1백만 곡을 재생할 경우 James Blunt는 450 파운드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아티스트 들은 이런 비율을 흥정할 수 없으며
      이런 이유로 많은 뮤지션들은 여전히 생계를 꾸려나가기 어렵고
      파트타임으로 일해야 한다고 합니다.


    (4)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도


    [참조 ​: Musicoin 백서(white paper)]


  • 자, 이런 위와같은 상황에서 우리에게 '블록체인'이 다가 왔습니다.
    이 산업이 만약 블록체인의 이더리움과 만난다면 어떻게 변화될 것으로 보이시나요?

    Musicoin은 음원의 창조에서부터 소비, 보상에 이르는
    전 과정을 재구성하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 이 새로운 모델을 'Sharism Model'이라 부릅니다.
    청취자는 뮤지션에게 돈을 지불하고
    그의 대가로 특정 작품(음악)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 받습니다.
    이 모델은 빠르고 거래비용은 적으며
    국경을 초월한 지불방식이 필요로 하게 됩니다.
    다행히도 디지털통화와 블록체인 기술의 출현으로
    이 시스템의 실현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 이 모델을 지원하기 위해서
    Musicoin 이라는 음악 소비에 연결된 디지털 통화를 구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청취자가 음악을 듣게 되면 이 디지털 코인은 즉시 청취자의 계좌에서
    블록체인 내에 있는 '코딩 된 계약(coded contract)'으로 송금이 되고 구현한다고 합니다. (Pay-per-Play)

  • 이런 PPP 방식은 몇 초 안에 수익를 수혜자에게 분배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작곡가에게 50%를 배분하고
    가수에게 25%를 배분하고
    기타리스트에게 25%를 배분합니다.
    이런 분배방식은 전적으로 뮤지션이 관리하게 됩니다.

  • [참조 ​: Musicoin 백서(white paper)]


    • 이 회사의 홈페이지에는
      제안된 시스템의 완전한 기능 구현을 구축했으며
      현재 알파버전을 테스팅 중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5) 결론


    • Musicoin 은 이와 같은 음원산업의 문제를 개선하려고 합니다.
      "뮤지션은 돈을 벌 수 있으며 그 수입은 자신의 지갑으로 갈 것이다.'라고 백서에서는 이야기 합니다.

    • 뮤지션과 청취자(소비자)가 블록체인의 투명성으로 직접 연결되는 모델,
      그리고 스마트컨트랙트에 의해서 즉시적, 즉각적으로 결제, 분배되는 모델을
      Musicoin은 우리에게 제안하고 있습니다.

    • 모든 뮤지션과 그들의 청취자들이 이런 변화에 함께하여
      우리 삶에 음악을 더 의미있게 만들어 갈 것을 그들은 요청하고 있습니다.



    (6) 개인적 소견


    • 사실 이더리움 기반의 Dapp은
      이제 시장이 태동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어떻게 변할지 알 수가 없으며 따라서 이를 전망하는 것은 상당히 조심스럽습니다.

    • 그러나 지금 Dapp 들이 기존 인터넷, 모바일 시장에서
      이미 시장에서 성과를 내었던 게임, SNS, 뱅킹, 클라우드, 보안, 예측 등에 대한 것들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이라
      시장의 가능성에는 크게 의문점을 달고 싶지 않습니다.

    • 다만 해당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 여부는
      과연 '왜 블록체인이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기존 모바일에서 잘 되는 게임이 있는데
      굳이 특별히 다른 점이 없음에도 블록체인 위에 Dapp으로 포팅했다면 그 코인의 가능성에는 의문을 달고 싶습니다.

    • 이제 Musicoin 으로 돌아와서
      이 코인에 대한 개인적 생각을 거론하기 앞서
      음원시장, 미디어시장 등 컨텐츠마켓은 시기가 문제일 뿐이지
      언젠가는 블록체인 기반위에 올라가야 할 시장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개인적 생각 ㅎ)
      (물론 제 생각과 충분히 이견이 있다는 것도 이해합니다.)
      제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블록체인이 추구하는 탈중앙화, 분산, 지불결제, 암호화 및 보안 등이
      이런 컨텐츠 분야와 만날 때 그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아진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 Musicoin은
      블록체인의 탈중앙화의 분산화된 원장기술을 활용함으로
      뮤지션들이 자신의 만든 컨텐츠를
      전세계에 즉각적으로 배포할 수 있고
      또한 그들의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꼭 필요한 분야에 뛰어들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 또한 이더리움 등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함으로
      컨텐츠 배포에 의한 수익분배를 투명하고
      즉각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뮤지션들의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 하지만 컨텐츠 산업 소비자와 제작자들 사이에
      이런 좋은 접점이 블록체인이라는 기술로 활용가능하기에
      궁극적으로 많아지게될 경쟁자들 (예, UJO 뮤직 등)과 어떤 차별성을 보일지에 의문이 듭니다.

    • 앞으로 Musicoin의 진행 방향이 사뭇 궁금해집니다.



    ************************************************************************

    * 참고
    - 다른 암호화화폐(Alt coin 등)의 내용이나 백서(White Paper)가
    궁금하시면 댓글로 올려주세요.
    반드시 언제라고 말씀을 못드리나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백서를 읽어보고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Musicoin 에 대해서 궁금한 사항 있으시면 댓글에 올려주세요.
    다시 백서를 읽어보고 답을 드리거나
    혹은 담당자에게 메일을 보내서 답을 알게되면 답변 올리겠습니다.
    노력은 해보겠지만 너무 큰 기대는 하지 마세요. 실망 하실 것 같아서....


    ************************************************************************

    꾸준히 알트코인(alt coin)에 대한 White Paper 및 News를 게시할 생각입니다.

    도움이 되신다면 구독 @lordwillbe 을 부탁드립니다.
Sort:  

뮤직 뿐만 아니라 문화, 예술 전반적으로 적용될수 있겠네요 나이스

nhj12311 님, 혜안 이십니다. 제 생각도 그와 같습니다. 지금은 영상과 음원산업에서 시작되고 있지만 곧 이것은 문화, 예술 등 컨텐츠 전반으로 확산될 것으로 저는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로 본다면 지금 1위, 2위 싸움은 어쩌면 시장의 태동기에서는 의미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시장의 파이가 커진다면 당연히 같이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nhj12311 님, 훌륭한 말씀 감사합니다.

네 맞습니다. 이를 변화흐름은 컨텐츠 산업 전반으로 변해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11일이 지난 지금에 야 이글봤습니다. 혹시 뮤지코인말고 조금더 공부해볼만한 좋은 코인 추천해주실수잇나요? 시장성보다는 백서로써 잘써진 백서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yuryul님, 블랙3종세트 글 잘봤습니다. 스타일리스트 이신가 보네요. 전 참 옷을 못입어서 늘 아내에게 잔소리 듣는 사람입니다. 정말 dyuryul님과 같이 센스있고 옷 잘입는 분들 부럽습니다.

제가 코인에 대해서 누구에게 추천드릴 정도는 아니라서요. 전 요즘 플로린 보고 있습니다. http://florincoin.org/ 일단 컨텐츠의 배포라는 것이 제 마음에 들고 알렉산드리아 플랫폼이 눈길을 끌게 합니다. 만약 탈중앙화의 서버가 없는 그러면서도 보안이 강조되고 스마트컨트랙트가 적용된 종합 컨텐츠 플랫폼이 완성된다면 큰 힘을 발휘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시장에서 우려하는 단점도 꽤 있습니다. 하나의 컨텐츠도표준화가 안되는데 이런 다양한 컨텐츠를 구성하고 포함하는 플랫폼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표적인 시각이구요. 어쨌거나 말씀과 같이 백서는 충분히 읽어볼만한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차트로 트레이딩을하다가 요즘에는 코인자체를 공부해서 본격적으로 투자를 준비하려하고있씁니다. 감사합니다.ㅎㅎ플로린 참고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스타일리스트는 과찬이십니다..ㅎㅎ 앞으로도 좋은 팀많이 올려드리겠씁니다!

멋지십니다. 기대합니다.

코인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저같은 사람들에게는 고급정보가 되는군요!
역시 백서를 정독하는게 투자보다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시간되시면 스트라티스에 대해서도
한번 언급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좋은글 부탁드립니다!
팔로&업봇드리고 갑니다^^

yirgacheffe2shot님 안녕하세요. 전 개인적으로 백서를 읽는 것을 좋아합니다. 제 업무가 관련 일이기도 하고 또 기업은 살아있는 생물같아서 그들이 추구하는 바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비교해보면 참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스트라티스 코인 가격이 많이 올랐지요? 제가 많이 오른 코인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아서.... 하지만 일정에 집어넣고 백서를 읽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그런데 원래 하고 싶었던 코인들도 있고 요청해주신 코인들도 있어서 .... 괜찮으시면 조금만 기달려주시면 읽고 글을 올리겠습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저평가주 위주로 먼저 해주신다면
저로서도 기회를 얻을수있겠네요^^
천천히 해주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네.감사합니다. 저역시 고수분과 함께하고 싶어서 팔로우&보팅 했습니다.

훌룡한 포스팅에 풀보팅과 맞팔신청합니다
그리고 뮤직은 저의 관심코인입니다

virus707님 안녕하세요. 스팀잇은 처음하는 거라 어찌하는 지 전혀 모르겠네요. 정신 못차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와 관심있는 분야가 같은 분들이 많다는 것에 사뭇 놀라고 있습니다. 참 감사합니다.

아직보팅이나 보상절차 등은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다른 스팀포스팅을 좀 봐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것도 공부해야겠네요~

대성하실분으로 미리 점찍고 친하게 지내고싶습니다..전 오치로 통합니다.

말씀만으로도 하루 스트레스를 확 풀어주시네요. 저역시 조금전 포스팅에 들려서 인사올렸습니다. 자주 뵙고 여쭙겠습니다.

좋은 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글 한 문장 한 문장에 성의와 노력이 깃든 것 같아 더욱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팔로우 및 보팅 하고 갑니다 !

sean.noh님. 감사합니다.
그냥 초보수준으로 옮긴 번역글에 불과한데 이렇게 잘 말씀해주시니 너무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이곳에서 뵙고 이런저런 이야기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팔로우 & 보팅했습니다.

이런 백서 분석 자료 너무 좋습니다 ㅠㅠ 앞으로도 계속 올려주세요!! 보팅이랑 팔로우 해놓을께요~

hanseop15님 안녕하세요. 그냥 단지 원문을 번역한 정도인데 이리 말씀해주시니 참 감사합니다. 틈틈이 시간내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역시 팔로우 & 보팅 했습니다.

잘 봤습니다.
리스팀합니다. ^^

강아지 넘 예쁩니다. 보팅 했습니다.

앞으로의 포스트도 기대되네요. 팔로우했습니다 :)

감사합니다. 아직 스팀에서 이런 글을 써본적이 없다보니 어떻게 해야 잘 의사소통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토론하는 것이라 생각하기에 제가 갖고 어리석은 지식이라도 나누도록 노력하겠습니다. heejin님 소중한 말씀 감사합니다.

음악 생태계를 바꿔 놓을 코인이 등장한 건가요!!
깔끔한 번역과 의견까지 감탄하며 읽었습니다
리스팀 할게요 :)

과찬이십니다. yguhan님.
아직은 그 정도까진 아니지만 이미 기존 음원업계가 다소 신경을 쓸만한 상황은 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역시 이 산업이 앞으로 어떻게 변해갈지 궁금하고 기대되기도 합니다.
보팅 했습니다.

@lordwillbe님 뮤직코인 관련 궁금증이 생겨 여쭤보고 싶습니다
음원 사업으로 시도중인 가상화폐가 musicoin이유일한지, musicoin의 개발진은 어떻게 평가하고 계신지 고견을 듣을 수 있을까요

네. yguhan님 이건 단지 저의 생각일 뿐 입니다. 지금 시장에서는 오히려 musicoin 보다 ujo뮤직을 더 높게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우조가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는 생각도 없진 않지만 전반적으로 운영진의 파워와 뮤지션들이 우조쪽이 조금 낫지 않나라는 생각인듯합니다.

하지만 이건 우조쪽이 마케팅을 강화하면서 일시적으로 나온 잘못된 결과일수 있으므로 여러 관련자분들의 의견을 들어보실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 하나는 이 시장이 정말 아직 개화도 되지 않은 시장이기에 차라리 단독(sole)으로 한 사업자가 뛰는 것 보다는 여러사업자가 경쟁하면서 시장의 파이를 키워가는 것이 전 오히려 낫다는 생각도 들게 합니다.

이상 저의 어리석은 생각입니다.

ujo도 찾아봐야 겠네요
의견 감사드립니다

정말 배울 점이 많은 분이십니다
다음 글도 기다리고 있을게요

아닙니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초보가 아는 척을 좀 했나봅니다. 앞으로 많은 조언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흥미롭네요. 좋은 코인 소개 감사합니다.

네 맞습니다. 블록체인에 적용하려는 아이디어는 상당히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어떻게 구현해나갈지가 궁금해집니다.

혹, 플로린 코인과 싱귤러 디티비에 관해서도 문의드려도 될까요?

아...플로린은 생각하고 있지만 아직 백서를 보질 못했습니다. 하지만 SingularDTV는 저 위의 Edgeless , BAT 다음에 바로 해볼 생각이었습니다. 말씀드렸듯이 음원산업과 영상산업은 거의 비슷하게 움직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leomichael님 덕분에 빨리해야겠다는 의지가 드네요. 소중한 말씀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볼륨 40위 밖에 있는 애들은 쳐다도 안보는데 오히려 플로린은 100위 밖이라 너무 좋았습니다.

역시... 좋은글에는 댓글에도 정보가 있네요! 좋은 코인 알게되어 고맙습니다~ +_+
그 거대한 지식의 장이 블럭체인위에 재건되기를 희망합니다!

thefoolxyz님 안녕하세요. 아마 큰 흐름의 줄기는 바꾸질 못할것입니다. 물론 잔 파고는 늘 있겠지만요. 저역시 블록체인 위에 다양한 Dapp들이 올라가는 세상을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팔로우 & 보팅 했습니다.

플로린은 아직 백서를 제대로 읽지 않아서 내용 파악이 안되어있지만 개인적으로 알렉산드리아 플랫폼에 관심이 많습니다. 만약 그것이 제대로 시장에서 작동된다면 음원, 영상 뿐 아니라 각종 컨텐츠를 아우를 수 제작 플랫폼이 되기에 시장의 반향은 커질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 코인들을 모두 알고 계시다니 leomichael님이 고수시군요. 잘 부탁드립니다.

SingularDTV 와 플로린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혹시나 제가 놓이고 있는 부분이 있는지, 혹은 더 좋은 내용이 있을지 궁금해서 여쭤 봤습니다.
관련글들을 올리려고 하다가 요즘 큐레이팅 활동으로 너무 정신이 없는지라 제 글 한 편 올리기도 벅차네요 ㅎㅎㅎ
아, 에지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ㅋ
나름 고수이신듯 한데 좋은글 많이 부탁드리겠습니다.

leomichael님 저도 팔로우 했습니다.

그런데 저.... 고수 아닙니다. 그저 백서 읽기를 즐겨하는 초보입니다. 저도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

잘 봤습니다.
뮤지코인에 관심이 좀 있었는데 덕분에 많이 알게 되네요.

네. slay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면 저는 감사합니다. 좋은 토요일 오후 되세요.

감사합니다. 저도 틈나는대로 알트코인 백서를 번역하고 있는데 조만간 올리는데로 스팀잇에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뮤직코인에 조금 발을 담그고 있는 사람으로서 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tommycoin 님 안녕하세요.

그러시군요. 저도 번역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좋은 코인정보네요~ 감사합니다~!

coolduck 님 안녕하세요. 관심가져주시고 이렇게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글 잘 보았습니다. 뮤직코인은 저도 초기부터 관심있게 보던 코인중 하나였습니다.^^

jinh072944 님 안녕하세요. 뮤직코인을 초기부터 보셨다구요? 고수시군요.
저는 지식이 짧아서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괜찮으시면 앞으로 조언과 가르침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요즘 뮤직코인 째려보고 있었는데 ㅋ

iieeiieeii님 안녕하세요. 플필 사진이 꽤 예쁘십니다. 저는 플필 사진 하나 넣는 다는게 쉽지 않네요. 이 게으름....뮤직코인 잘 봐주시고 혹 뉴스나 알려주실 사항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블럭체인과 백서(White Paper) 소개 감사합니다!

혹시, Creativechain(또는 Creativecoin)에 대해서도 문의 부탁드려도 될까요?
창작(예술)관련 코인인것은 알겠는데... 저작권(CC)/로얄티 프리/Dapps/Smart Contracts 등의 단어도 보이고, 알파 테스팅 페이지에 꾸준히 무언가 시도해보고 있고, 로드맵 진행%도 가끔씩 상승중이라 계속 눈이 가는데... 영어의 벽으로 어려움이 있습니다.

thefoolxyz님 안녕하세요. 고수시군요.
제가 이 코인은 모르고 있었습니다. Creativechain(또는 Creativecoin)에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일정에 맞추어 올려보겠습니다. 다만 몇몇 예정되어 있는 코인과 질문해주셨던 코인이 있어서 조금 시간을 기다려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저도 저작권 및 컨텐츠 관련 코인들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어서 이런 코인들에 대한 관심이 많습니다.

과찬이십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백서조차 한줄 못읽는데 고수라니요...
그리고, 확인해주시는 동안 Musicoin처럼 뜻있게 성장하는 여러 코인들을 알수 있다면, 기다림은 오히려 환영입니다~!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함께하고 싶어서 팔로우&보팅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스팀잇에서 백서 번역과 코인 소개는 환영받을 수 밖에 없겠죠.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뮤지션 입장에선 좋은데, 소비자가 잘 활용할 지 의문이 들기도 하네요. 유튜브에 검색만 하면 왠만한 노래 다 들을 수 있는 상황이라서 ..
이렇게 또 고수분을 만나뵙게 되어 참 좋습니다. 반가워요! 혹시 큐텀에 대해선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meadowolf 님 안녕하세요. 사실 제가 오늘부터 스팀잇에 글을 올려서 이곳의 특성을 잘 모릅니다. 혹시나 문제가 되는 글이라면 바로 삭제토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잘 몰라서 여쭙습니다만 스팀잇에서 코인에 대한 이야기는 왜 환영받을 수 없나요? 혹시 이유를 알려주시면 앞으로 글 올리는데 참조토록 하겠습니다.

헉 죄송합니다. 고쳤어요. 잘못 썼네요. ㅜ 환영받을 수 '밖에' 없다. 고 했었어야 하는데 .. 혼란드려 죄송합니다 ㅜ

아...그러시군요.
사실 meadowolf님 글 보고 흔히 말하는 쫄았습니다. 제가 무리를 일으켰나해서요. 여튼 그게 아니라 하시니 감사합니다.

큐텀요? 저는 꽤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궁극적으로 자국내 산업을 묶겠다는 그들의 일대일로 정책의 일환이라고 생각되구요. 우리가 이미 조선, 철강 등 많은 산업에서 봐 왔지만 그들 내부에서 플랫폼을 갖춘 후 일대일로 정책으로 나아갈 거라 생각됩니다. (아시죠? 하지만 어리석은 단지 저의 생각일 뿐입니다.)

오 감사합니다. 그데 중국 중앙은행에서 코인을 발행한다는 소식도 있던거 같은데 .. 그게 큐텀 같은 데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나 않을까 싶더라구요.

잘봣습니다! 이렇게 기존산업의 문제점을 고칠려는 코인들을 좋아합니다, 게임같은 코인처럼요

네 맞습니다. fallingamble님.
그것이 블록체인 플랫폼이 자신의 영역을 만들고 나아갈 길이라 생각합니다.

한마디의 말로 정곡을 찌르시니 고수시네요. 이곳은 엄청난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최근에 보이스? 라는 코인도 ICO를 했었는데 인기가 별로 없었던 기억이 나네요. 뮤직코인은 처음 봤는데 매우 흥미롭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로 중개인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 정말 마음에 듭니다. 이제 멜론 지니 같은 포털들이 먹고 살기 힘든 시대가 곧 올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국내에서는 멜론 지니 벅스 엠넷 네이버뮤직 등이 있는데요. 당장 이들이 타격을 받지는 않겠습니다만 궁극적으로 산업계에 울리는 경종은 분명히 그들도 인지하는것 같았습니다. woosungchoi 님 귀하신 말씀 감사합니다.

카톡 좀 부탁드립니다

메일 드렸습니다.

메일 드렸습니다 ^^

답메일 드렸습니다.

기존의 뮤지션들이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말 좋은 시도인듯 합니다. 뮤직코인은 현재 시장에 나와있는 상태인가요? 뮤직코인에 대한 진행상황이 어떤상태인지도 궁금합니다.

successtrainer님 안녕하세요.
네. 현재 Bittrex 거래소에서 거래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아직은 시가총액이 적은 종목으로 다른 코인 대비 변동성이 심합니다. 이 글은 단지 백서를 번역한 글에 불과하므로 투자시에는 꼼꼼히 체크한 후에 진행하셔야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원래 백서라는 것이 그 사업의 미래를 문서로 표현한 것이라서 공통점이 화려한 미래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자신들이 ICO를 하기위해서 백서를 쓰면서 '우리는 문제가 많아요. 우리는 미래가 어두워요'라고 글을 쓰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이 백서를 읽는 우리는 조심히 읽어보고 혹 필요에 따라서 투자할 때에도 몇번을 곱씹어보고 '만약 지금 당장 이 기술이 적용이 안되면 어떻게 될까?'를 상정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잘 아시겠지만 ICO든 coin 투자든 이것은 안되면 바로 기업가치가 0 으로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상장기업에 투자하는 주식투자는 기업 내에 남아있는 순자산(bookvalue)라는 것이 있지만 이런 투자는 그것이 없기에 거의 0 이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 글은 '그냥 이런 플랫폼도 있구나' 정도로 이해해주시고 이런 코인 투자에는 유의해주시고 또 설령진행한다해도 여러 면에서 분석 후 안전마진이 적용 된 가격대에서 진행하시기를 부탁말씀드립니다.

괜히 제 글로 인해서 투자손실 나오는 분이 계시지 않을까 두렵기도 해서 노파심의 글을 올렸습니다.

정말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그래서 댓글에도 보팅 드렸습니다:)

네. successtrainer님 감사합니다.
너무 친절히 말씀해주셔서 저까지 기분이 좋아지네요. 저도 댓글에 보팅 드립니다.

그리고 진행상황은...최근까지 나온 뉴스에 의하면 아직은 베타버전 등이 출시되진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http://www.livemint.com/Opinion/yTBrz6FRHxL2abbehml88O/Musicoin-Cutting-out-the-middleman.html 이 뉴스는 6/8일에 나온 뉴스입니다만

A new blockchain-based pay-per-play service called Musicoin is attempting to change all that. This service allows musicians to get their music directly into the hands of their audience without the need for intermediaries 이런 플랫폼 서비스를 시도하고 있는중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아직 상용화는 좀 기달려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junhokim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좋아하는 음악가의 음악만들어도 코인이 되다니
정말 좋은 코인이네요 ㅎㅎ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ngman100 님 안녕하세요.
네. 요즘 블록체인 기반의 이런 플랫폼이 다양히 시도되고 연구중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동안 퍼블리셔란 이름으로 중개를 해오면서 이익의 상당부분을 가져갔던 중개업체들은 블록체인 위에서 변화를 시도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픽 타고 왔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woo7739 님 안녕하세요.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기회가 된다면 이곳에서 자주 뵙겠습니다.

덕분에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존 음악시장의 대안가능성도 있지만 토렌트 같른 사이트가 있는 한 소비자가 움직일지는 의문입니다.

doogie 님 안녕하세요.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일단 토렌트와 같은 P2P공유가 여전히 활발히 사용중으로 저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먼저 사용의 상당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위 그림의 두번째, Subscription Model(구독모델)에 변화가 올 것으로 생각됩니다. 중개업체의 역할이 변화되거나 그 비중이 감소함으로 상대적으로 수익 및 이익이 뮤지션들에게 더욱 돌아가게 될 것이고 musicoin 이나 ujo뮤직 등이 나옴으로 소비자의 곡당 청취단가도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에게 개인적인 의견을 물으신다면 지금 당장은 아닐지라도
다소의 플랫폼 구현시간, 소비자의 생각의 변화, 블록체인의 지금보다 훨씬 빨라진 트랜잭션타임 등의 여건이 완성된다면 이 모델은 지금 시장을 변화시킬 수 있는 플랫폼이 되질 않을까 ....

단지 어리석은자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lordwillbe 님 답변 감사합니다.
음악 시장은 어떻게 변할지는 저도 모르겠어요.
제 개인적인 경험이라 통계엔 무의미하리라 생각됩니다.

한때는 상당한 리스너였는데, 지금은 음악이 거슬려서 듣지를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생각하거나 쉬는데 음악이 방해가 되어서요.
그 뒤 음반구매도 음악다운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어쩌다 라디오에서 우연히 나오는 음악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허나 뮤지션과 리스너에겐 뮤직코인과 같은 시스템이 나와야 올바른 성장과 문화가 정착할 수도 있겠다는 낙관을 해봅니다.

네. 맞습니다. 저도 나이가 들다보니 과거보다는 음악에 대한 열정이 많이 식어버리나 봅니다. 어쩌면 이게 예술에 대한 처음부터 저의 식견이었을수도 있구요.

그러나 자신이 만든 창작물에 대한 대가는 많은 비중이 그 자신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창작물을 배포하거나 유통하는 분들도 많은 수고와 고생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방식보다는 조금 더 창작자의 수고가 보상이 되는 방식으로 변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백서를 읽어봤습니다.

높은 식견에 참 감사드립니다. 보팅했습니다.

와~ 안그래도 요즘 한참 백서삼매경이였는데..Input이 부족했던 저에게 너무나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valueup님 안녕하세요. 백서 삼매경..좋은 말씀이네요. 저도 삼매경에 빠지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이곳에서 가끔씩 뵙고 말씀나누시지요. 감사합니다.

매우 감사합니다.

이런코인은 꼭 실현되서 실생활에 빨리 녹아들었으면 합니다

뮤지션으로서 문화컨텐츠 관련된 코인들에 대해 유심히 봐봐야 될 것 같습니다. 상용화되어서 아티스트들의 생계에도 도움이 되고, 더 풍요로운 문화 예술 생태계가 만들어졌으면 좋겠어요.

음악산업과 블록체인에 대해서 요즘 큰 관심을 갖고 있는 뉴비입니다. 글 너무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알기 쉽게 잘 써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쇠비자 입장에서는 현재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게 편리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환경으로 생태계가 쉽게 바뀌지는 않을 것 같은데...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채굴이 되는 코인이라 뮤지코인 글을 검색해서 알게되었는데요, 이 비슷한 서비스로 Pindify라는 코인이 있습니다. 혹시 들어보셨는지요?
뮤지코인 트위터 가보니 일단 커뮤니티 참여자들이 별로 없어 보입니다. 나온지 한참 되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