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밋 하드포크 0.20.0 "속도" 제안

in #kr7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마입니다. 얼마 전에 스티밋 하드포크 0.20.0 관련 하드포크 발표가 나왔습니다. 전문을 다 번역해서 게시하면 좋겠지만, 전에도 그렇게 해본 결과 번역기 돌린 것과 별반 차이없이 가독성이 떨어지는 관계로 핵심적인 부분 위주로 번역 공유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하드포크 0.19.0 성공!

앞으로 모든 스팀 보상은 선형 관계에 기반하여 보유한 만큼의 스팀의 양으로 콘텐츠 제작자에게 배포됩니다. 더 이상 기하급수적인 곡선 보상이 아니므로 스팀 세계를 앞으로 더 공정하고 평등하게 만들 것입니다.

다음 하드포크인 Steem Velocity 0.20.0 제안

우리는 2017년 스팀 성장 계획에서 3가지 우선 사항에 대해 나열한 바 있습니다.

바로 커뮤니티, 간편한 입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이번에 우리가 24시간 개발에 힘쓰고 있는 팀의 노력으로 0.20.0에서 노동의 성과를 보여줄 수 있게 되어 기쁩니다. 이번 하드포크의 목적은 계정 생성 과정을 개선하고 수백만 명의 신규 사용자유입되면서 생길 수 있는 마찰을 줄이는 것 입니다.

이번 제안 사항은 Steemit.com과 다른 사이트의 가입하는데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을 지원하여 스팀 생태계에 더 많은 사용자를 끌어 들이기 위해 몇가지 체인 관련 문제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안 사항을 개별적으로 읽기 보다는 전문을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이번 제안은 2가지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1. 스팀 개발자를 위해 온보딩 과정간소화하는 것.
  2. 스팀 생태계의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현재 설계된 스팀에서 계정 생성 작동 방식에 대해 리워크하는 것.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계정 생성하려면 스팀을 태워야합니다.

현재 새로운 계정 생성 과정

  • 초기 스팀 파워로 계정 생성자가 자금을 지원해야 합니다.
  • 왜냐하면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하기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스팀 파워를 각각의 계정에 주어야하기 때문입니다.
  • 현재 시스템은 공격자무료 스팀을 확보하려면 여러 계정을 생성하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입니다. 이것은 프로토콜을 유지 보수하는 전체 비용을 다시 증가시킵니다.

현재 문제점(1)

가입 프로세스의 자동화로 이것을 남용하는 공격자에게 무료 스팀을 제공하고 있다.

계정 생성 평균 비용의 증가

스팀 프로토콜이 비싸짐

개발자와 잠재적 사업 파트너의 스팀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음

현재 문제점(2)

일정 이상 파워다운하면 일시적으로 계정이 잠길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이것은 문제가 있는 것이며 사람들은 자신의 계정에 대한 권한을 상실하지 않으며 출금할 수 있어야 합니다.

새로운 해결 방법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스팀을 태우는 것 입니다. 즉, 새로운 계정에 스팀파워를 제공하는 대신 계정이 영구적인&최소한의 대역폭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장합니다. 그리고 계정을 생성할 때 토큰을 파괴하고 그것들을 토큰 공급에서 제거합니다. 이렇게 하면 가입 시스템악용할만한 동기가 줄어들고 사용자가 완전히 파워 다운을 해도 그들이 일시적으로 트랜잭션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기지 않게 됩니다.


계정 생성 비용 할인

계정 생성 비용은 스팀의 성장제한하는 주요 요소 중 한 가지입니다.

레딧(Reddit) 크기 이상으로 스팀을 키우고 싶다고 가정해봅시다.

레딧

  • 월 사용자 : 2억 3천 4백만명
  • 실제 가입자 : (관대하게 생각해서 50%의 유지율로 보았을 때) 4억 6천 8백만명

스팀에서 이 가입자 수를 수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

  • 필요한 스팀 : 9360만 스팀(현재 가치로 1872억원)
  • 필요한 위임된 스팀 파워 : 135억개
  • 현재 스팀 공급량 : 2억 5천만개

스티밋의 지분으로 계정을 만들고 스팀 파워 위임을 계속해서 취소해서 이러한 수치에 도달하려면 12년의 시간이 걸릴 것 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이 장벽이 없어야지만 스팀이 파괴적인 기술로서 성장할 수 있을 것 입니다.

해결 방안

우리는 계정 생성 비용 할인일일 할당량을 추가하려고 합니다. 이 계정 비용은 스팀, 대역폭, 채굴로 지불될 수 있습니다. 작업 증명 기능을 삭제할 때 같이 사라졌었지만, 하이브리드 작업 증명 시스템의 환상적인 측면이 계정을 만들 때 채굴을 이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 & 채굴의 용도

채굴은 라이트코인 스트립트 알고리즘을 사용할 것입니다. 그리고 할인 시스템으로 계정을 생성할 때에만 사용되고 블록 생산용으로는 이용되지 않을 것 입니다.

할인 수준 설정

할인 수준은 모든 계정이 즉시 생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현재 수요를 기반으로 유동적으로 정해질 것 입니다. 증인들은 일일 할당량에 투표하여 스팀 생태계가 성장함에 따라 이 시스템을 확장해 나갈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기존 계정 생성병행하여 실행될 것 입니다.


위임된 스팀 파워로 계정 생성하는 기능 제거

이 기능은 원래 계정 생성자가 많은 스팀을 사용하지 않고 많은 계정을 만들 수 있게 해줄 의도로 만들어졌습니다. 앞으로는 계정 생성 비용 할인으로 많은 스팀을 사용하지 않고도 많은 계정을 생성할 수 있게 해줄 것이며 그렇게 된다면 이 기능은 제거되어도 괜찮을 것 입니다. 여전히 스팀파워 위임은 가능하지만 계정 생성과 더불어 스팀파워를 위임하는 기능은 앞으로 없어질 것입니다.


극 소수 보팅(Vote Dust) 임계 값 제거

지난 여름에 아주 작은 자동 스팸 보팅을 막기위한 방안으로 극 소수 보팅 임계값 기능이 추가하여 당시의 목표한 바를 달성했었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은 새로운 스팀 사용자커뮤니티에 참여하고 앞으로의 스팀의 발전 방향을 구축할 수 있는 능력을 방해합니다.

극 소수 보팅보상에는 큰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블록체인에서 가치있는 것이었습니다. 진짜 문제는 이러한 공격을 막기위해 업데이트된 대역폭 알고리즘에 있엇습니다. 계정이 이제 0SP로 생성되기 때문에 초기 보팅은 아무 가치가 없을 것 입니다. 이 임계 값을 제거한다면 해당 계정이 커뮤니티에서 자신의 입지를 다져가는 동안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될 것 입니다.


최종 사용자 영향

우리는 이 변화가 미묘하고 유동적인 부분이 많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최종적으로 구현된다면 간단히 사용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이전에도 언급했듯이 모든 스팀 사용자가 스팀을 사용하는데에 이 시스템을 완전히 이해할 필요가 없으며 계정 생성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들만 영향을 받을 것 입니다.

앞으로의 계정 생성 방법

우리는 스티밋과 파트너지분을 사용하여 저렴하게 대다수의 계정을 만들 것으로 기대합니다. 계정 생성 과정수수료&작업 증명 영역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현재유사할 것 입니다. 지분을 이용하여 계정을 만들기 위해서 모든 계정 생성자수수료나 작업 증명을 포함할 필요는 업습니다. 계정을 생성하는데에 충분한 지분이 없을 경우 그 차액을 충당하기 위해 적절한 작업 증명이나 스팀 수수료를 포함해야 합니다. 얼마의 수수료가 필요한지 계산할 수 있도록 API와 툴들을 제공할 것 입니다. 계정 생성자 없이 계정을 만들려면 어떠한 계정 생성자도 그 과정에 특정되지 않을 것이며, 전체 수수료를 충당하기위해 필요한 작업 증명이 필요할 것 입니다. 동적 비용이 너무 높다면 정기적으로 계정을 만드는 것이 하나의 방법입니다.


결론

커뮤니티는 잘 발전해나가고 있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잘 개발되고 있으며, 앞으로 스팀 "속도"가 수백만명의 사용자를 스팀 생태계에 끌어들일 수 있는 핵심 요소가 될 것 입니다.


기술 노트 부분의 번역은 생략하였습니다.

요약

  1. 지금 가입시스템이 많은 사용자를 받기에 문제가 있어서 변경 예정
  2. 현재 가입 방식에 포함된 무료 위임 스팀 파워 지급스팀 소각 방식으로 변경해서 문제점 해결 예정
  3. 채굴계정생성비용 할인 시스템 추가 예정.
  4. 이전에 있던 스팀 파워 위임 계정 생성 방식제거 예정

오늘 포스팅 도움이 많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Steemit에 가입해서 하단 버튼을 눌러주세요~!
큰 힘이 됩니다!



Sort:  

감사합니다 항상 잘보고있습니다2

I liked very much what I saw in your profile very good articles, thanks for sharing I hope to continue enjoying your success articles and congratulations again.

안녕하세요 @maa님 연재글 항상 잘보고 배워가는 사람입니다
늘 유용하고 큰 정보를 주시는 maa님의 글에 반하게 되어 코멘트를 남깁니다
이런 코멘트를 남긴점 먼저 사과드립니다ㅜ 코멘트를 남기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오라 "칼럼 기고"제안을 드리고 싶어서 입니다
대형 매체는 아니고 작은 커뮤니티를 운영중에 있습니다.
생각해 보시고 코멘트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Awesome. Great post...
Upvote and Resteem.!!
Dear friend @maa

Thank you my friend akiyoshi.

I'm sorry that I have not been able to visit your blog often recently.
Thanks for always visiting my blog

No problem, I do not force you to visit my blog. I just love to follow you.

항상 유익한 정보를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잘 읽겠습니다 : ))

감사합니다 :)

Fantastic post as always, followed.

いつものように素晴らしい投稿が続いた。

벌써 다음 하드포크에 대한 내용이 올라왔나보네요
선형보상으로 유저 풀을 넓혀놨으니 이제 그로인해 야기될 수 있는 시스템적인 내용이 나오는건가요?

@maa님 덕분에 항상 좋은 정보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네 이제 가입 속도 측면에서 스팀의 저변을 넓혀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고마운 댓글 항상 감사드리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번역기를 통해 보고 있었는데, 덕분에 큰 도움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어서 다행입니다

번역 감사합니당ㅎㅎ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 정독해서 봤습니다 알짜배기만 쏙 써머리한글 ㅋㅋ 좋은하루되세여

ㅎㅎ 감사합니다 :) 좋은하루 되세요~

잘 이해는 안가지만 잘봤습니다 ㅎ 감사합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지금 가입시스템이 많은 사용자를 받기에 문제가 있어서 가입시스템 바꾸겠다고 얘기하는 내용입니다. ㅎㅎ 가입 방식에서 위임 무료 스팀 지급을 스팀 소각으로 변경해서 현재 문제점을 해결하고, 채굴로 계정생성비용 할인 시스템 추가하고, 이전에 있던 스팀 파워 위임 계정 생성 방식을 없앨거라고 하네요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

속도도 많이 느리긴 하죠!
방금 리플을 여러군데 달았는데 이상하게 다 날라갔네요?
이런식으로 에러도 가끔 일어납니다, 아직은 베타 단계이니 정식버젼이 출시되면 대박일겁니다.

네 저도 방금 비슷한 현상을 경험했습니다. 베타에서 정식버전으로 넘어가면 지금까지 적용되지 못했던 수많은 요소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0^

역시 한국인은 한글이군요. 영어로 읽다가 스팀 탈퇴할뻔(?) 했습니다 ㅎㅎㅎ 마님 감사합니다.

ㅠㅠ 저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이하에서 뵈요

역시 마님! 잘봤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번역감사합니다
스팀소각방식이 어떤 잇점이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지금도 스팀 내는데 소각과 어떤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게 채굴과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지도 이해가 가질 않네요

하드포크 글을 읽고 이해한 바로는 현재 스팀잇 계정 생성 방식이 가입자에게 무료 스팀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것이 스팀 시스템을 공격하고자하는 사람들의 동기로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스팀을 태우고 그에 해당하는 영구 최소 대역폭을 할당함으로써 스팀을 못 받게 만드는 것을 통해서 스팀 공격자들의 동기를 없애는 것이 목표인 것 같습니다. 기존 가입 방식 중 busy.org나 anonsteem으로 비용을 직접 지불하여 가입하는 방식이외에 steemit.com을 통해 무료로 가입할 때 지급되는 스팀에 관련된 내용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지금 steemitblog에 달린 댓글에서도 지적했듯이 시스템이 스팀을 소각시키는 시점의 vest의 금액에 비례한 최소 영구 대역폭 점유율에 따라 계정이 생성되는지 아니면 항상 일정한 최소 영구 대역폭 점유율에 따라 계정이 생성되는지에 대한 것이 의문이네요.

채굴은 앞으로 스팀이 레딧처럼 많은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가입 비용 문제도 하나의 걸림돌이 될 수
있으므로, 스티밋에 가입하는 비용이 너무 비싸면 가입 유인이 적어지기 때문에 증인이 설정한 일정한 할인 비율로 즉시 가입되지 않는 선에서 채굴을 이용하여 일일 할당량에 따라 가입비용을 할인해주는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식이 짧아서 부족한 부분이 많으니 틀리거나 잘못된 점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아 진짜 마님글은 보상이 커서 추천 안할려고 하는데 자꾸 이러시네...

wow amazing...! i like your content keep posting stuff like this, i followed and upvoted
your post and please also upvote and follow me @wicky or click on image. i need more followers
can u please help me to get more followers i am new here? thanks

logo.jpg

와.. 읽으면서 감탄했습니다. 번역과 요약 너무 감사합니다. 늘 좋은 정보 얻어가요.

읽으면서 내 머리속에서 바퀴 돌아가는 소리가 난 것 같아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어려운 부분들이 조금씩 있군요... 찬찬히 다시 읽어봐야겠습니다
번역 감사합니다!

하드포크 20 이해에 도움이 많이 됬습니다

정리를 너무 잘해주셔서 다소 어려운부분이 있지만 잘 이해가 되네요~ 읽어보고 또 읽어보았습니다. 좋은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공부하고 갑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행복한 20포크가 될 것 같군요. 감사합니다.

한번 읽으니 쏙 이해가 되는군요. 기대가 되는 다음 하드포크 입니다!

마님 글 잘 읽었습니다.
변화의 속도가 너무나 빠른 것 같습니다. 하드포크 된지 얼마나 되었다고
대단하네요. 가끔 이런 속도변화에 내가 못 따라가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도 해봅니다^^ 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ㅎㅎㅎ

스팀 이곳은 역동적이라 정말 마음에 듭니다.

Congratulations @maa!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number of posts published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By upvoting this notification, you can help all Steemit users. Learn how here!

항상 좋은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 앞으로의 스티밋이 더욱 기대됩니다

정말 마지막 요약까지!! 너무 감사합니다 ㅋ

잘 보고 잘 습득 하고 갑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모바일 어플은 빨리 나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정말 마님의 글은 스팀잇 선구자 다우십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스팀 소각.. 흥미롭습니다.

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정독 후 보팅 누르고 갑니다!
스팀이나 스팀 달러의 소각의 필요성에 대해 매우 공감합니다.

좋은 정보 번역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앞으로 어플리케이션이 더욱 잘 개발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애플을 사용하고 있는데, 아직 많은 오류들이 있어서 눈으로 포스팅 확인하는 작업에는 도움이 많이 되지만, 직접적인 작업을 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느낌이었습니다. 포스팅 올려주신 거 잘 봤고, 미약한 지식 뿐이었는데 스팀잇과 하드포킹에 대해 많이 배우고 갑니다. 앞으로도 좋은 포스팅 부탁드립니다.

항상 좋은 소식 감사해요^^

코인코리아때부터 꾸준히 보고있습니다 :) 혹시 이전에 이더리움 밋업 오시지않았었나요??? 뵌거같아서...

스팀 시작한 개복치입니다 :)

잘보았습니다~~ 덕분에 또하나 알아갑니다~^^

Good post, I can understand well the contents of this post, although must use google translate from korean to my country language (indonesia), thanks have increased my knowledge about hardfork19,20 and next steemit project..

@maa I'm following you now and wait for the next great article .. thanks.

I am glad, if you follow and visit my blog

스팀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는 것 같아 좋네요 :-)

큐레이션 시스템도 손봐야할텐데요 ㅠ

Congratulations @maa
You took 58 place in my Top 100 of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