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논어 28: 예의라는 한계

in #kr6 years ago

예,禮 라는 글자에는 정말 많은 뜻이 함축 되어있습니다.
이 글자의 본질을 사람들이 얼마나 이해하고 얼마나 파악하고 있을까요? ? ? ? ? ? ?
공자가 사람을 상대하며 말을 할때는 그 사람의 이해정도와 수준에 맞게 대화했다고 생각되어집니다........

도덕경 38장에서 말하고 있는 禮를 보면 그 당시 사람들이 禮을 이해하는 정도와 수준이 느껴지고 도덕경38장역시 그에 맞게 쓰여진것입니다. . . . .

수천년전에도 이러했을진데 지금날에는 너무나 뜻이 왜곡 되어 졌다고 생각합니다.

소옹이 말했던 禮와 정이천이 말하는 禮는 다를수 없습니다. 다른것이 있다면 그것을 받아드리고 실행하고 구현하는 방법론이 다른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