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의 구체적인 비즈니스가 없는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단순하면서도 최선의 사업 모델 입니다.
현재 많은 토큰들이 저자보상으로 토큰 가치제고에 사용하고 있는데,
저자 보상이 늘어나는데는 한계(그것보다 언제까지 유지해야 하는 것에 대한 딜레마)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스팀잇의 임대 기능을 추가였다고 보시면 됩니다.@glory7님이 지적하신 것 처럼,
저는 스팀엔진 토큰들이 자기가 발행한 토큰에 대해 가치 유지 수단을 가지고 있을까? 에 대한 의문에서 이 프로젝트를 구상하였고,
토큰 홀더들은 스팀파워를 임대하고 보상으로 받은 mini 토큰을 가치 zero에 매도할 홀더들은 없다는 판단에서 @minigame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초기에는 토큰 가치 상승에 상당부분 재투자가 이루어져야 하겠지만, 향후는 @minigame 자체 스팀파워에 증대에 좀 더 비중을 둘 예정이며, 구체적인 향후 계획은 별도 포스팅으로 토큰 홀더들에게 안내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minigame은 @minigame으로 생각해 주셨으면 합니다.
결국 기존의 명성(명성이랄 것도 없지만)에 의존하기 보다 @minigame 자체의 가치에 투자를 받고 싶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거 읽고 토큰 시장에서 좀 매입하고, 스파 임대도 곧 하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