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래의 인문학 강의[009]: 제1장 역사 ||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1

in #kr6 years ago

제1장 역사는 결코 사실이 아니다

----- 그렇다면 오늘날, 역사란 무엇인가?

▷ 역사란 무엇인가를 묻는 이유
▶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 1 : 현재가 바뀌면 역사도 바뀐다
▷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 2 : 소결론에서 끌어낸 세 가지 진리
▷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 3 : 스킬라와 카리브디스 사이를 항해하는 오디세우스
▷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 4 : 카의 블랙유머--고대사 픽션이 부러워요





현재가 변하면 역사도 변한다

이야기는 역사에 대해 극단적으로 다른 인식을 가졌던 두 사람의 글을 인용하면서 시작됩니다. 영국에서 대략 60년 간격을 두고 두 번 있었던 『케임브리지 근대사』 간행 책임자의 글이었어요. 하나는 절정의 자신감을 가지고 있던 대영제국 시절(1902년)에, 뒤엣것은 그 자신감을 거의 상실했던 시기(1956년)에 쓴 것입니다.

제가 강의할 때면 늘 강조하는 것인데 모든 연도를 다 기억하지는 못한다고 해도 중요한 연도는 기억해두거나 연표를 참고하라고 말합니다. 그래야 따로 알게 된 정보가 연결되면서 좀 더 넓고 깊게 이해할 수 있거든요. 위의 글 역시 잘 이해하려면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조금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근대의 영국은 대영제국이라고 불렸어요. 그 시기는 대충 미국 독립전쟁이 끝난 1783년에서부터 인도가 독립한 1947년까지[1]로 봅니다. 그 시기에서 가장 번영했던 시절이 빅토리아 시대인데 그게 1837년부터 1901년까지예요. 빅토리아 여왕이 “대영제국은 해가 지지 않는다”라고 말했던 시기가 1883년이었고, “우리에게 패배는 없다”고 말했던 게 1889년입니다. 19세기말은 대영제국의 절정기였던 겁니다.

사실 우리가 그동안 대영제국이라고 하면 그저 식민지를 ‘좀 가진’ 시절이 있었던 영국을 말하는 것 같지만 그런 정도가 아닙니다. 지도(이미지 11)를 보기 바랍니다. 이 지도는 영국이 침략한 적이 있는 국가들을 표시한 것입니다. 언제나 그랬던 것은 아니었겠지만 침략한 국가를 식민지로 만들지 못한 경우라고 해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말하자면 전 세계를 지배한 적이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아마도 그 덕분에 영어가 세계공용어가 될 수 있었던 것이겠지요.


이미지11
이미지 11


바로 그 시기에 영국의 권위 있는 한 역사가(액턴 경)가 그랬다는 겁니다. ‘우리는 구하지 못할 정보가 없고 문제가 있다면 뭐든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젠가 완전한 역사를 쓸 수 있을 것이다.’(글쓴이 요약) 그런데 대영제국에 해가 진 1947년에서 10년이 지난 뒤, 말하자면 자신감이 폭삭 사그라들던 시절 영국의 또 다른 역사가(조지 클라크 경)는 60년 전의 액턴 경의 말을 언급한 다음, ‘후대의 역사가들은 그런 기대를 조금도 하지 않’을 뿐 아니라 객관적인 역사적 진리 같은 것은 없다는 교리를 들먹입니다.

만일 이런 시대적인 분위기의 변화를 안다면 역사에 대해 저토록 다른 인식을 가진 이유가 시대의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으리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겁니다. 당연히 카도 곧바로 그런 해석을 내놓습니다. 이런 두 역사학자의 생각 차이는 세월이 흐르는 동안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이 완전히 달라졌기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요.

그렇다면 이런 차이를 만든 시대의 변화란 어떤 것이었을까요? 카는 한참 뒤에 가서야 이 질문에 대해 명확한 답을 내놓습니다. 여러분들은 여기에서 ‘사실’이라는 낱말이 표면적으로 드러난 현재 모습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는 것을 기억해 두기 바랍니다. 그러지 않으면 헷갈릴 수 있으니까요. 이 장에서 끊임없이 사용되는 ‘사실facts’이라는 낱말이 가진 다양한 개념은 나중에 다시 살펴보기로 하고 카의 설명을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액턴 경이 그렇게 낙천적이고 자신만만하게 발언할 수 있었던 것은 당대 사실들이 대체로 만족스러웠기 때문입니다. 그냥 그대로 현실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불변의 사실’로 취급해도 충분히 행복하던 시절이었다는 것이지요.[2] 그랬으니 쓸데없는 고민을 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대영제국의 영광이 사라지면서 늘 맞닥뜨리는 ‘사실’들이 마뜩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현재의 표면적 사실만이 아니라 이면적 사실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합니다. 만족스럽지 않은 현실을 만든 역사(과거)에서 무엇인가 배워야 만족스러운 미래를 꿈꿀 수 있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떠올랐다는 거지요. 현재의 사실이 불변의 상황은 아니며, 그것은 과거를 돌아보고 반성하면 좀더 만족스러운 미래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교훈을 얻으리라는 진보적인 생각을 하게 된 것입니다. 마침내 역사란 죽은 과거가 아니라 ‘현재에도 살아 있는 과거’에 대한 이야기이며 역사가의 관점으로 재구성된 것이라는(또는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소결론에 도달합니다. 그런 다음 이런 결론에 담긴 중요한 세 가지 ‘진리’를 정리합니다.


[1] 홍콩을 중국에 반환한 1991년으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2차세계대전 이후 인도가 독립하면서 사실상 대영제국의 막이 내렸다고 보는 게 보통이다.
[2] 한국어 사전에서 ‘사실’을 찾아보면 이런 설명이 나온다. 실제로 있었던 일이나 현재에 있는 일. 말하자면 현재 드러난 표면이 사실인 것이다. 표면적 사실이 만족스럽지 않을 때는 대개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유를 분석하고 변화를 위해서 해야 할 일을 찾는 것이다.


(C) 강창래, 2018

다음 글
▶ [010] 제1장 역사 ||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 2


이전 글
◀ [008] 제1장 역사 || 역사란 무엇인가를 묻는 이유


첫 글부터 정주행
▲ [000] 강의 소개 및 전체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