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NSUN】지표를 보면 세계/한국 경제가 보인다! (feat:경제 왕초보의 주절주절)

in #kr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mnsun 입니다.
오늘은 줌마경제스터디 2주차 과제물인
최진기의 2018 생존경제 1,2편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지난번 첫번째 모임은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시리즈의 1부를 주제로 대화를 나눠봤어요. 저 한편을 가지고도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는지...ㅎㅎ

【MNSUN】 아줌마 경제 스터디 1회 - 자본주의를 생각하다

스터디를 마무리 하고 2주차에는 '자본주의'시리즈를 계속 볼것인가...?
대화를 나눴는데, 이후 4편의 주제들 보다는 좀더 가까운 경제공부를 해보고 싶어서 주제 영상을 바꿔봤습니다.

원래 @granturismo 님이 추천해주신 양정연대표님의 영상으로 공부를 해보려고 했는데 대표님 성함 메모해놓은걸 찾지 못해서, 대체 영상을 찾다가 2018 최진기의 생존경제시리즈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이제와서 보니 딱 제 수준에는 최진기님 강의가 맞는것 같아요..ㅋㅋㅋ)

다큐 자본주의와 비트코인의 역사를 공부하면서 계속 '그렇다면 2018년에는 무슨일이 일어날 것인가? 현재 나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것인가?'에 대해 궁금했는데 궁금증이 많이 해소되더군요. 물론 아직은 잘 몰라서 이리 저리 맞는것 같은 말에 휩쓸려다니지만;;; 임계점에 도달하면 새로운 세계에 대한 눈이 뜨이지 않을까?!!!! 기대하면서!!! 정리 시작합니다.



지표를 체크하면 세계 경제가 보인다.

작년 3/4분기를 보면 2018 한국경제가 보인다.




경제는 기본적으로 양적 연구를 해야한다!


  • 양적연구 = 수치화 시키는 것
    ex) 몸무게가 몇키로입니다. (o) 몸무게가 무지 무거워요.(X)


2008년 이후 세계경제 상황


  • 2008년 세계 경제위기를 불러온 것은 미국이었으며 이후 세계경제를 견인한 것은 중국이었다.
  • 중국 옆에 있던 우리나라는 어부지리로 쉽게 2008년 세계경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계속 궁금해서 알아봐야겠다고 생각(만)한 내용이었는데 한큐에 해결....ㅎㅎ



기초 경제


제목 없음.png

  • 누가 경제성장을 리드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당연히 가계기업이 리드하고 정부가 뒷받침 하는것이 이상적인 경제구조.
but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를 뒷받침 한것은 정부 지출(양적완화)
정부지출 = 빚 or 세금 이므로 한계가 있음.


2017년 경제 지표에 변화가 일어났다?!


  • 2008년 이후 세계 경제 성장률이 2%이상을 넘지 못함. 이 기간이 길어지면서 '저성장, 저물가, 저금리'가 당연하게 여져지는 뉴노말이 대두됨.
  • 그런데 2017년 경제지표에 변화가 일어났다?!


    1. 양적 변화

1.png

  • 다양한 지표들이 세계 경제 성장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2.png

  • 한국의 경제성장율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2. 질적 변화

3.png

  • 2008년 이후 세계경제를 리드해왔던 중국 경제 성장 속도가 하락세임에도 세계 경제가 좋아질것으로 예측된다.
  • 과거 세계경제 주도하던 미국 & 유럽경제 주도하던 독일 역시 경제성장률이 눈에띄게 상승하고 있다.


    7786_4291_4235.png▲ 2017, 2018 국내 경제전망 = 한국경제연구원
  • 과거 한국 경제를 뒷받침 한것은 건설투자였음. 건설투자의 경우 내수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면 긍정적이지만 그렇지 않을경우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뇌관을 안게 되는것.

  • 2018년에 건설투자의 경우 공급물량이 많아 신규착공은 줄어들고, 토목공사의 경우 정부에서 거의 예산을 배정하고 있지 않아 당연히 줄어들것으로 예측됨.

  • 이에 반해 줄어들었던 설비투자가 늘어나고 있음. (일반적으로 기업은 소비가 예측될때 설비에 투자함. )

  • 수출 역시 실적 기대하지 않았던 반도체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새로운 시장이 열려서 예상치 않게 실적이 상승했고, 앞으로도 상승률이 쉽게 꺾이지 않을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반도체를 포함 선박, 석유화학, 철강, 석유같은 한국 5대 산업들도 세계 호경기 흐름에 따라 긍정적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음.

  • 2017년 부터 과거 정부 지출과 건설투자가 아닌 설비투자, 수출이 경제성장을 견인하고있으며 수입이 늘어난것은 내수경제도 활성화 되고 있음을 예측한다.

  • 2018년 민간소비까지 활성화되면 한국 경제는 구조적이고 질적인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결론

2018년 세계경제도, 한국 경제도 성장하는 쪽으로 갈것 같다!




출처
2018 최진기의 생존경제 - [1] 지표를 체크하면 세계 경제가 보인다!
2018 최진기의 생존경제 - [2] 작년 3/4분기를 보면, 올해 한국 경제가 보인다!



정리를 마치고 든 생각



  1. 경제를 공부하지 않았을때는 경제위기 10년 주기설과 최근 봤던 화폐 몰락에 대한 이야기들로 인해 조금있으면 경제위기 올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전혀 그렇지 않았다. 강의에서는 언론의 잘못된 지표 해석에 대해서도 짚어줬는데 이 강의를 듣지 않았으면 휘둘릴뻔 했다. ( 우리 엄마도 맨날 뉴스만 보고 2018년 경제위기설을 내게 말해주곤 했는데...)

  2. 2018년 세계경제가 성장한다고 하니 좋긴 했는데, 문득 지난번 스터디때 '지금 사람들이 쓸 돈이 없으니 돈을 한번 풀어서 어느 정도 경제력이 생기면 그 돈을 거두는 시기가 오지 않을까?' 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던것과, 포스팅에는 쓰지 않았지만 자본주의 책에서 봤던 1914-1929년 FRB가 서민들에게 고통을 안기고 자신들은 수익을 늘리고자 했던 일들이 떠올랐다. 경제가 회복된다고 해서 단순히 좋아할 문제가 아니라 겨울을 어떻게 대비할지 준비하는 시간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다시한번 했다. 그리고 겨울이 오기전에 내가 정신을 차려서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3. 문득 2016년에는 투자하지 않던 기업들이 2017년에는 투자한게 꼭 소비가 예측되서라기 보다는 '최순실-박근혜'의 정체를 알고있던 기업들이 뭐든 해서 불똥 튈까봐 몸을 사리다가 정부가 바뀌니 또 정부 눈치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는건 아닐까...? 라는 생각도 해봤다.

  4. 2008년 경제위기 직전에 미국 정부에서는 경기가 계속 좋다고 이야기 해왔다고 했는데, 그때 지표와 현재 지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비교해보면 좋겠다.



PS.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5부작 나머지 시리즈...



  • 2부. 소비는 감정이다
    이 부분은 익히 들어왔던 것 같아서 보지 않으려고 했는데,
    제가 좋아하는 강의에서 행동심리학과 경제의 연관성에 대한 논문으로 노벨경제학상을 탄 '대니얼 카너먼'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그분의 저서인 「생각에 관한 생각」을 읽어보고 싶어졌습니다. 아마도 책의 내용과 연관점이 있지 않을까 싶어서, 책을 읽기전에 저 편을 한번 봐야겠다는 생각중입니다.

  • 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요건 1주차 스터디 준비를 하면서 영상은 봤는데요.
    결론은 '은행, 증권사 직원을 맹신하지 말아라. 그 사람들도 본인이 파는 상품에 대해 잘 모르고, 돈 많이 벌려고 열심히 파는것 뿐이다.'입니다. 실제 투자하는 분들을 위한 구체적인 설명이 나와서 정리해서 공유하면 좋을 것 같기는 한데, 저한테는 도움이 되지 않을것 같아서 한번 본것으로 패스 합니다~~ (은행이나 증권사를 통해 투자중인 상품이 있으신 분들, 혹은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한번 쯤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 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자들
    제가 이지성작가를 좋아하다보니 아직 한권도 제대로 읽지 못한 인문 철학서적이나 철학자에 대한 관심만 많은데요... ㅎㅎ 지금 우리 자본주의 사회를 지배하는 많은 경제 이론들을 만들어낸 분들이 소개되는 듯 한데, 일단 원문을 읽기 전에 이 영상을 보는게 도움이 될것 같아서 스터디와 관계없이 조만간 시간내서 볼 계획입니다.

  • 5부. 국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복지 자본주의에 대한 내용이라고 합니다. (제가 들고있는 '자본주의' 책에 따르면) 이건 일단 책으로 읽고, 이번에 새로 구입한 플라톤의 국가론을 볼때 함께 생각해봐야겠군요.




이 글이 도움되셨다면 업보팅 & 리스팀 & 가이드독 활용
팍팍 부탁드려요 ^0^


Sort:  

스스로 홍보하는 프로젝트에서 나왔습니다.
오늘도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오늘도 여러분들의 꾸준한 포스팅을 응원합니다.

아고ㅜㅜ 이시간까지...
요즘 신규 요청이 많다보니 방문해야하는 포스트가 어마어마 할텐데....
매일 감사합니다~!!! ^0^

좋은글 감사합니다.^^ 리스팀해요

감사합니다~!!^0^

아무쪼록 경제성장도 그렇고
모든 사람들이 잘 살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하네요.ㅎ

자본주의를 공부해봤을때... 그런 이상적인 사회가 오는것은 무리가 아닐까... 싶지만...
누군가 천재적인 사람이 등장해서 이상적 사회를 구현할 수도 있다는 희망을 가져볼까요...?ㅎㅎ
(근데 미국 대통령이 트럼프가 된것만 봐도.. .흠...)

매나썬님!! 저도 최진기 경제관련 강의 작년에 봤었어요!! 부자언니 유수진 강의에서 보고 알게되어서 봤는데 제가 나름 대학에서 경제학사도 땄는데 저는 그동안 일자무식자였더라고요... ㅎㅎ
그리고 소비는 감정이라는 타이틀에도 무지 공감하고요
매나썬님 글보면서 저도 공부 열심히 합니다아^^좋은 글 너무 감사해요!!!

  • 오오오!! 경제학을 전공하셨군요...덕분에 학교에서 진짜 경제는 알려주지 않는다는걸 다시 확인하게됐네요ㅠㅠ
  • 저는 최진기님 방송에서 나온 모습만 보고 그냥 '박식한 사람'정도로만 봤는데 남다른 분이시더군요;;; ㅎㅎ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가려구요~~
    경제공부 하려고 보니 봐야할께 정말 많은것 같아요ㅎㅎ;;;;
  • 제 포스팅이 도움되셨다니 기쁘네용★

우왕 오랜만에 경제 공부한 거 같아요~! 굉장히 쉽게 풀어서 써주셔서 쏙쏙 이해했습니다!^^ 코인판 안망했으면 소비와 경제가 더 살아났을거 같은데.......ㅠㅠ

으흐흐 감사합니다~ 쪼야님께 도움되었다니 저도 기쁘네요★
안그래도 일본은 코인이 법 테두리안으로 들어오면서 코인효과로 내수경제가 0.5p정도 상승했다는 기사를 본것같아요ㅠㅠㅋ
당장 저만해도 전 고점 찍으면 돈쓸 계획을ㅋㅋㅋ
그래도... 올해안에 가겠쥬...? 가즈아~~~

햇님과 바람라는 동화가 절로 떠올랐습니다.
지금은 햇님이 빛을 비추어 주어서
따스함을 느끼게 되었지만....

과거 한국 경제를 뒷받침 한것은 건설투자였음. 건설투자의 경우 내수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면 긍정적이지만 그렇지 않을경우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뇌관을 안게 되는것.

언제 어떻게 바람이 불어닥칠지를 생각하면 마냥
좋아라 하고 있을때는 아니지 않나 싶네요...

저도 2018년에 위기가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졌기에
지금에서는 예측이나 무언가 예상하기 보다는 그저
다가올 순간에 대한 대비를 하며 살아가려고 합니다.

잘 보고 가요

2018년에는 두루 평안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