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책] 그들은 책 어디에 밑줄을 긋는가, 도지 에이지

in #kr6 years ago (edited)

xxlarge.jpeg

그들은 책 어디에 밑줄을 긋는가, 고수들의 미니멀 독서법

도이 에이지, 이자영, 비즈니스 북스
평가: ★★★★

독서 목적

나는 성인이 된 후로 연간 50권 이상은 꼭 읽어왔다. 작년 상반기에는 매 주마다 4권 씩은 읽었지 싶다(많이 읽는게 능사는 아니지만 안 읽는 것보다야 백배 낫다). 어떻게 그렇게 읽을 수 있냐고 주변에서 물어오면 '책 읽는 법을 공부해야 한다'고 말한다. 우연히 읽었던 책 읽는 방법에 대한 책이 내 독서 습관을 완전히 바꾸었기 때문이다. 그 후로 종종 '어떻게 책을 잘 읽을 수 있을까'라는 물음을 갖고 책을 고른다.

독서능력을 향상시킬 방법을 얻고자 이 책을 선택했다.

작가의 말

글자 수가 많지 않은 책이라 해도 책 한 권에는 몇천 줄의 문장이 있다. 단 하나의 밑줄이라도 그을 수 있다면 책값을 충분히 회수하고도 남는 성과를 올릴 수 있다.

나는 지금까지 경제경영서를 2만 권 남짓 읽었다. 이런 경험을 통해 책 한 권에 100개의 밑줄을 긋는 것보다 100권의 책에서 하나의 밑줄을 발견하는 것이 현실적이며 얻는 것도 많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내용 요약

  • 중요한 건 재미가 아니라 가치다.

만약 누군가가 책을 읽고 난 후 감상을 물었을 때 재미있다. 재미없다로 답을 하고 있다면 주의가 필요하다. 책의 감상을 말할 때에는 책에서 무엇을 느꼈는지, 자신의 세계를 넓히는 데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 이런 대답을 하지 못하는가? 그렇다면 고민해 볼 일이다. 당신의 목적의식이 불분명해서일까? 아니면 그 책이 가치가 없어서일까?

서평이나 독서 감상문을 쓸 필요는 없다. 단 한 줄이라도 좋으니 내게 도움이 되는 문장에 밑줄을 긋고, 그 한 줄이 몸에 배게 하자. 그러면 그 책은 가치 있는 한 권의 책이 된다.

  • 왠지 불편하고 낯선 문장에 밑줄을 그어야 하는 이유

내가 '옳다'는 사실을 확인해 봤자 힘을 키울 수 있는 양식이 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새로운 생각이나 노하우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편협함에 자신을 가둘 위험이 있다. 반대로 읽었을 때는 다소 거부감이 들지만 어딘지 모르게 신경쓰이는 문장이 있다. 이런 문장과 만났을 때에는 두 눈 딱 감고 밑줄을 그어 보기 바란다.

밑줄을 그었을 때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더라도 나중에 다시 읽었을 때에는 결정적인 한 줄이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새로운 발견이나 도움이 되는 부분, 그리고 내 생각과 '다른' 부분에 밑줄을 그었을 때 그 깨달음이 성장의 양식이 된다.

  • '결과'에만 줄을 긋는 안타까운 사람

어떤 사실과 현상을 '원인'과 '결과'로 나눠서 생각해 보면 밑줄 긋는 방법을 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바로 결과가 아니라 원인에 밑줄을 긋는 것이다.

  • 글 앞머리에 '밑줄' 그을 만한 문장이 있는 책을 산다.

본질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그것을 독자에게 잘 전달하는 저자는 글이 시작하는 부분에서 이미 밑줄을 긋게 만든다. 경제경영서는 소설과 달리 마지막까지 해야 할 말을 남겨둘 필요가 없다. 좋은 책은 느닷없이 좋은 문장을 던진다.

  • 베스트셀러에서 얻을 것과 버릴 것 - 책 밖에도 밑줄 칠 만한 부분이 있다.

그 책은 왜 베스트셀러가 되었는가? 정답은 단순하다. 평소에는 책을 읽지 않는 사람들이 샀기 때문이다. 당신의 비즈니스 고객이 대중이라면 베스트셀러를 읽고 '왜 팔리는지, 그 이유'를 연구해 보도록 하자. 베스트셀러는 '내용'을 읽기 위해 펼치는 것이 아니다. 그 책이 어떻게 해서 히트했는가, 어떻게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았는가를 알기 위해 읽는다. 책에서 단 한 군데도 밑줄을 그을 부분이 없어도 괜찮다.

광고, 설명문, 제목... 무엇이 히트의 요인인가? 책 '밖'에 밑줄을 긋는다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 배움은 성공을 향한 에너지다.

후쿠자와 유키치가 말한 대로 신분 차별을 없애는 방법은 '배우는 것'이다. 예전에는 요리사가 '천한 직업' 중 하나였다. 하지만 맛을 탐구하고 교양을 익히고 최고의 요리에 다다른 요리사들을 지금은 '셰프'라 부르며 존경하게 되었다.
(...)
하지만 성공은 다르다. 성공은 다른 사람이나 과거의 나와 비교했을 때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항상 '상대평가'이다. 그냥 생각만 해서는 성공을 할 수 없고 성공하기 위해서는 배움과 실천이 필요하다. 그래서 매일 책을 읽고 밑줄을 그어야 한다.

배움 실천

  • 읽는 책마다 대표 문장 하나를 기록한다.
  • 베스트 셀러를 읽을 때에는 히트 요인을 따로 생각하고, 정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