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변동성을 알려주는 볼린저 밴드, 간단히 차트에 활용해보자!

in #kr6 years ago (edited)




볼린저 밴드가 변동성을 활용하는 지표라면, 투자에는 어떻게 활용해볼 수 있을까요?


1편 링크: https://steemit.com/kr/@nanda-shin/6bcvqm

[코인] 가격의 변동성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볼린저 밴드를 아주 쉽게 배워보자!


변동성과 밴드의 폭


먼저 볼린저 밴드가 변동성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부터 살펴볼게요.

1. 변동성이 커지면 밴드의 폭이 넓어진다.
2. 변동성이 작아지면 밴드의 폭이 좁아진다.


볼린저 밴드는 위와 같은 두 가지 특징을 보입니다.

사실 당연한 이야기이기도 한데요.

볼린저 밴드 공식 = 추세중심선 ± (승수X표준편차)


변동성이 크다는 건 표준편차가 크다는 말이니, 추세중심선의 위 선은 더 올라가고 아래 선은 더 내려오게 됩니다.

그 결과 볼린저 밴드의 폭이 자연스럽게 넓어지게 되는 거죠. 반대의 경우에는 폭이 좁아지고요.


추세와 변동성


또한 볼린저 밴드는 추세 지표임으로, 추세에 따라 변동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도 알아야 합니다.

1. 가격이 상승/하락 추세를 형성하게 되면 변동성이 커진다.
2. 가격이 횡보할 때는 변동성이 작아진다.


추세와 밴드의 폭


추세가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고, 변동성에 의하여 밴드의 폭이 결정된다면?

우리는 3단 논법을 활용해서,

1. 보통 가격이 상승/하락 추세를 형성하게 되면 밴드의 폭이 넓어진다.
2. 가격이 횡보할 때는 변동성이 밴드의 폭이 좁아진다.


위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죠!

그럼 이제 이 내용을 실전에서 확인해볼까요?


실전



다음은 1/11~1/13일 사이의 비트코인 1시간봉 차트입니다.

잘 보시면, 볼린저 밴드의 폭이 좁았다가, 상승 추세가 등장하면서 확 넓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이때, 첫번째 화살표가 있는 부분! 차트가 볼린저 밴드의 위 선을 뚫는 시점이 매수 시점을 고려할 타이밍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 화살표가 있는 부분!

여기서 볼린저 밴드의 밖으로 상승하던 차트가 볼린저 밴드 내로 들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가 매도 고려하는 시점이 됩니다.

실제로 차트가 다시 밴드 안으로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아 가격이 다시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죠.


다음은 1/16~1/18일 사이의 비트코인 1시간봉 차트입니다.



볼린저 밴드를 사용해서 우리는 매도 타이밍도 잡아볼 수 있는데요.

바로 첫 번째 화살표가 있는 부분! 좁은 밴드 사이를 차트가 통과하다, 밴드의 아래 선을 차트가 뚫고 내려갑니다.

이때가 매도를 고려할 시점이 됩니다.

이는 하락 추세가 강하게 형성되었음을 알려주는 신호이거든요.

실제로 가격은 차트가 밴드의 아래 선을 뚫은 이후로 쭉쭉 떨어지게 됩니다. 

두번째 화살표가 있는 부분에 가서야 하락세가 멈추죠.


주의사항


볼린저 밴드를 사용하는 데에는 주의사항이 있어요.

볼린저 밴드는 추세 지표 중 하나일 뿐이므로, 거시적 분석, 내재가치 분석과 함께 활용해야 해요.

또한 볼린저밴드는 상한선을 터치했을 때 팔고, 하한선을 터치했을 때 사는 용도로는 적절하지 않아요.

대신, 주가가 밴드의 상한선 근처에 있을 때는 과열을 염려하고,

하한선 근처에 있을 때는 과매도를 참고하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상 난다였어요! 여기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팔로우 한 번 꾹~ 부탁 드려요:)

그럼 다음 번에 또 만나요! 안녕~


Sort:  

투자 이야기 감사합니다!
볼린져밴드 활용도 좋은 방법이죠.ㅎ

그쵸~ 하지만 저는 완전 쌩초보일 때 마구잡이로 쓰다가 한 번 피본 적이...ㅠㅠ
그 뒤로는 신중하게 쓰고 있어요 ㅎㅎ

짱짱맨 태그 사용에 감사드립니다^^
존버앤캘리 이번편은 왠지 찡함..^^
https://steemit.com/kr/@mmcartoon-kr/20180307
[골든티켓x짱짱맨x워니프레임] 10차 옴팡이 이모티콘 증정
https://steemkr.com/kr/@goldenticket/x-x-10-100

네! 감사합니다~

간단하게 정리 잘 하셨네요. 잘 보고 갑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